아무도 사용하지 않는 세계에서 오로지 자신만이 사용하는 스마트폰벨소리를 갖고 싶다면 이것을 다운받아 벨소리로 사용하면 된다.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 세계에서 오로지 자신만이 사용하는 스마트폰벨소리를 갖고 싶다면 이것을 다운받아 벨소리로 사용하면 된다.
이들의 월급 수준을 27만원을 강제하면 오늘날 우리나라의 경제수준에 맞는 것일까? 방통위와 미래부의 대답은 아마도 우리나라가 중국이나 인도 공무원 수준이냐?
70-80년대 우리나라 경제수준이냐 이러고 볼멘소리하고 거세게 투쟁할게 확정적임을 쉽게 예단할 수는데 이러지 않고서야 통신회사 보조금 27만원 규정이 왜 문제인지 생각해보고 바꾸려는 의지도 행동도 복지부동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미국도 일본의 통신회사에서는 심지어 아이폰도 2년약정만 하면 공짜로 고객들에게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우리나라는 27만 원짜리 이상은 공짜 단말기를 주면 안 된다는 규정을 만들어 논게 이게 무슨의미인지 모르겠다.
우리나라가 중국이나 인도수준의 스마트폰을 만들어 사용해야만 한다는 뜻인지 폴더 폰이 아니고서야 우리나라 기업이 만드는 보통의 스마트폰이 27만 원짜리가 없기에 우리나라에서는 아무리 2년약정을 해도 공짜로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는 단 한 개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인데, 이러한 해괴한 규정을 고수하는 이유가 뭔지 이해 할 수가 없다.
헌법과 법률어디에도 미국이나 일본의 소비자보다 중국이나 인도수준의 소비자모델을 지향해야 한다는 규정이 없는데 왜 미국이나 일본의 통신회사에서는 2년약정하면 공짜로 제공되는 스마트폰이 많은데 우리나라의 통신회사에서는 공짜로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스마트폰이 단 한 개도 없는 이상한 규정을 고수하는가 하는 점이다.
소비자들이 2년약정하면 최소한 공짜로 통신회사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이 2-3종류는 있을 정도의 보조금정책을 만들어 놔야지 27만 원 이하의 스마트폰이 나오지 않는 한 아니 되오~ 아니 되오~라면 선진국의 소비자들이 받는 혜택을 국가가 과도하게 억압하고 임의로 제한하는 짓거리이기에
방통인지 미래부인지 아무튼 이런대 있는 인간류들은 뇌가 없는 것인지 왜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가능한 2년약정에 무료 스마트폰제공이 왜 우리나라에서 불가능한가에 대하여 생각해봐야 하지 않냐 는 점이다.
skt이든 kt이니 LG유이든 삼성이나 엘지에서 나오는 그 어떤 종류의 스마트폰이든 자국민이 27만원 한도 내에서 무료로 제공할 스마트폰이 없다는 것이 현실이기에 대 놓고 스마트폰 27만원정책에 반기를 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최소한 2년약정에 삼성이든 엘지든 팬택에서 만든 것이든 2-3종의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준으로 책정되고 난후 기타를 논해야 올바르다 생각한다.
방통이든 미래부가 뭐라고 씨부리든 상관없이 선진국OECD국가 중에 스마트폰 27만원 보조금정책을 하는 나라가 한국 말고는 단 하나의 국가도 존재지 않고 있으며, 중국이나 인도수준의 스마트폰사용자의 환경에서나 가능한 27만원 규정이라는 것이다.
우리나라 기업이 생산한 스마트폰 중에 27만원으로 살 수 있는 종류의 스마트폰이 단 한 개도 존재하지도 않는 것을 뻔히 알면서 최소한 2년약정 했을 때 2-3 스마트폰 모델은 통신회사에서 서민들에게 제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을 만들어야지 않겠는가?
다음 주부터 영업이 재개되는 LG유가 대 놓고 방통위인지 문어대가리인지 뭔지가 제한해 놓은 27만원 규정을 박살내주기를 기원한다. 엘지유가 선도적으로 못한다면SKT이든 KT든 누군가는 반드시 이규정을 깨버려야하는것이 국가와 서민을 위한 애국이라는 생각이다.
어떠한 변명이나 명분을 가다가 붙여도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의 삼성이나 엘지의 스마트폰이 통신회사에 2년약정하면 무료인 스마트폰이 넘쳐나는데 그러한 회사를 보유한 우리나라 국민은 자국에서 2년약정을해도 기본으로 제공되어질수있는 스마트폰이 단 1개도 없다는 게 말이 되는 짓이냐 하는 것이다.
영업을 재개하는 LG유가 선도적으로 방통위하고 미래부의 현실적이지 못한 보조금 27만원 가이드라인을 과감하게 깨버리길 국민의 한사람으로 진심으로 응원한다.
스마트폰의 모든파일중에서 메디아-오디오-링톤스라는 파일폴더안에 만들어진 mp3파일을 집어넣으면 벨소리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위에것은 아무런 효과를 넣지 않은 기본버전
위에것은 페이드인,페이드아웃 효과를 넣은 벨소리버전
위에것은 빠른템포의 효과를 넣은 벨소리버전
소리가 맘에 들면 mp3 파일로 여러 가지 리듬으로 올려놓았으니 자신의 휴대폰에 위에 적은 경로에 집어넣어 사용하면 된다.
하늘을 보면 생각나는 그러한 벨소리.......만들고 보니 몽골의 탱그리가 북을 치며 하늘에 기원하는 그런 느낌 ㅋㅋㅋ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충전 어댑터가 정품뿐 아니라 다양한 충전기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충전기의 핀수가 5핀 짜리가 있고 같은 전압인 5v에 뒤에 나오는 암페어가 0.7~2.0까지 다양한 용량의 충전기가 있을 때
어떤 충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고 시간도 절약되냐하면 정격출력이 5V 2.0A로 표시된 충전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스마트폰의 충전기 모양이 5핀으로 똑같을 때 같은 5V전압이면 07-2.0사이에 있는 어떤 충전기도 서로 호환이 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오토바이의 밧데리상식에 대한 글에도 썼지만 전압만 같으면 뒤에 나오는 암페어는 크면 클수록 좋은 충전기라는 점이다.
아주 쉽게 예를 들어보면 바닷가의 바닷물을 전압이라고 보고 이것이 5V라고 할 때 바닷물위에 튜브모양의 뜨는 밧데리가 떠있을때 뒤에서 밀려오는 파도는 전류인 암페어로 규정하면 파도에 의해서 해변의 모래 위까지 밧데리가 밀려 나오는 경우를 밧데리의 완충이라고 봤을 때
전압이 일정하다는 바닷물위에서는 뒤에서 파도가 7쳐서 밀어주느냐 아니면 20번 쳐서 밀어주느냐에 따라 해변으로 밀려 나가는 속도는 더 빨라지게 된다. 이처럼 암페어의 차이는 파도처럼 때려주는 횟수의 능력을 나타냄이다.
그러므로 같은 조건에서 7번 파도치는 것보다 20번치는 놈이 밀어주는 힘이 좋기에 해변에 일찍 도착하게 된다. 충전기가 0.7A이든 2.0A이든 5V의 전압을 사용하는 기기에는 어떠한 것을 선택해서 충전해줘도 전혀 상관이 없다.
차이는 단지 파도처럼 같은시간안에 7번치는 것보다 20번치는 것이 효과가 더좋은 것처럼 2.0A를 선택하는 것이 충전시간이 빨라지고 밧데리의 충전능력이 더 좋다는 점이다. 스마트폰의 충전기의 표준설명서에서 0.7A가 정품충전기라고 주위에 2.0A충전기가 있는데도 0.7A충전기로 충전시키는 것만큼 어리석은 행동도 없다.
특히 자주 기사나 언론에서 언급되는 부분이 정품충전기가 좋으냐 아니면 정품충전기가 아니더라도 괞잖으냐 하는 점이다.
똑같은 암페어인 규격인 경우는 정품충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심리적으로나 안정적으로 더좋지만 정품충전기가 정격출력이 5V 0.7A이고 비정품충전기가 정격출력이 5V 2.0A일 때 어느 것이 더좋냐고 하면 불량이 아니라면 당연히 비정품충전기인 5V 2.0A로 충전되는 충전기를 사거나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상식과 과학에 합당한 선택이라는 점이다.
남녀관계로 보면 같은 길이를 가진 절구로 같은시간안에 7번 내리치는 것과 20번 내리치는 것 중에 능력자를 고르라 하면 일반 상식적으로 20번이 아니겠는가?
스마트폰 충전기를 볼 때 정품이냐 아니냐보다는 전압을 먼저보고 전압이 같다면 충전 불량만 아니라면 어느 것을 써도 괜잫은데 뒤에 암페어용량인 A, MA로 표시되는 용량이 큰 충전기를 되도록 사용하여 충전하는 것이 좋은 충전습관이 되고 충전기를 잘고르는 사람이 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