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복숭아 나무 뿌리에 왕복숭아 나무를 접목시켰는데 접목한 가지가 고사해서 죽은줄 알았는데 자세히 살펴보니 접목한 나무가지가 죽었는데도 뿌리에서 자체 줄기를 내어서 자라나고 있었다.

뿌리가 줄기의 광합성을 받지 못하면 나무는 죽을것인데 나무몸통이 고사했는데 그것을 이겨내고 자체뿌리만으로 새로운 줄기를 만들어내어 부활해버렸다.

이런 경우는 접목한 왕복숭아가 열리지는 않고 아마도 개복숭아만 주렁주렁 열릴것같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야산에서 자라는 개복숭아의 열매에는 특별한 것이 들어 있는데 이것의 효능은 심각한 부상이나 중병으로 인하여 병원에 있는 환자에게 개복숭아를 먹이면 밥맛이 살아나고, 삶의 의지가 강해지며 긍정적인 삶의 기운을 만들어내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특별한 기운을 가진 열매라는 점이다.

개복숭아 자체 성분의 과학적 효능에 대하여는 잘모르겠으나 민간설화등에 나타나는 먹으면 장수하는 하늘이 내린 복숭아로 천도복숭아가 알려져 있지만, 실제적으로 이러한 역할을 하는 복숭아가 개복숭아이다.

간장에 매실을 담가두는 것보다 오히려 더 귀한 것이 개복숭아를 간장에 담가두는 장아찌인데, 매실보다 더 좋은 건강효과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개복숭아를 간장에 담아둔 지 일주일정도 지나서 꺼내보니, 겉 표면이 약간 쭈글쭈글해졌으나 아직도 탄력이 남아있었고 먹어보니 아삭하고 동시에 간장 맛이 났다.

 

 

개복숭아의 의미를 잘 새겨, 병원에 입원한 사람이 주위에 있다면, 개복숭아를 가지고 가져 선물하여 생으로 먹게 해주면, 좋고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수 있다.

 

병원에 있는 사람에게 선물하는 개복숭아는 시장에 가서 사서 가져가는 것은 효과가 없고, 스스로가 직접 야산에 난 개복숭아를 따다가 드려야 긍정적인 삶의 기운을 불어넣어줄 수가 있다.

개복숭아를 따다가 드렸을 때 나타나는 반응으로 환자가 오래 살수 있을 것인지 조만간 죽을 것인지 예측해 볼 수도 있는데

따다 드린 개복숭아에 아무런 반응이 없거나 전혀 먹지 않으려고 할 때 예측상으로 얼마 못살고 돌아가실 삶의 의지를 가지고 있기에, 마음의 준비를 하는 게 좋겠고,

개복숭아에 반응을 나타내고 한 개라도 먹으면, 향후 건강과 장수에 긍정적이라는 의미로 건강해진 상태로 퇴원하게 될 것으로 판단하더라도 이상할 게 없는데 복숭아나무의 의미가 동서양을 막론하고 귀신을 쫓아내는 것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게인 오후에 빗방울에 맺혀있는 까만포도처럼 익어 매어달린 뽕나무열매의 맛은,달콤하면서,입안을 알싸하게해주었다.

달콤한맛은 역시,자연그대로의 맛속에서 느끼게 제일좋은것같다.

달콤함에서 순도 100%인 설탕을따라갈것은 없겠지만,그런달콤한보다는 자연그대로의 열매에서 나오는 상큼한맛이 더 좋다.

어느새인지 모르게,자란 빨갛게익어가는 개복숭아두보이든데,먹어볼생각이 안들만큼 쪼메했다.다음에갈때는 먹어봐야겠다.


비온뒤에 녹색의 푸르름이 더 맑구,투명해보였다.뽕나무열매를 먹어본지 강산이변할만큼,까마득하다.뽕나무열매의 맛은,어릴때먹었든,어른이되어서 먹었든 맛이변화가 없이 달콤했다.크기가 엄지손가락만큼한 뽕나무 열매가 포도송이처럼 알음알이 열려있었다.


먼저 사람들이 따먹어서인지,위부분에는 별루없구,밑둥에 잎사귀에 가려진부분에 많이달려있었다.뽕나무크기가 1m두 채안돼는데두,열매는 많이달려있다."뽕따러 가세"라는 말이 예전에는 변강쇠나 그런데, 장난으로 나오는 말인줄았는데.시간내어 뽕따러 갈만한 맛을가진  열매라는 생각이든다.지금은 뽕열매가 한창인때인것이다.

뽕따러 가세~,뽕따러 가세~, 우리도한번 뽕따러가세~^^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