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가 지식인에 물었습니다."이 정도 컴퓨터사양이면 얼마나 할가요?


답변을 주신분들의 글을 읽어보다가 컴퓨터에대한 상식에있어


초보자와 컴퓨터에 관심있는 유저와의 재미난 차이점을 발견할수가 있었는데


먼저 내가 가지고 있었던 컴퓨터중에 하나인 모델의 스펙은 이러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cpu:  intel pentium2  233mhz
            Ram :32 sdram SYSTEM:window 98 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graphic card:  tnt2-riva 
          CDROM:42배속  최고급 AUTO BALLING 기술적용
             AUDIO:CRYSTAL4180 고급서라운딩

사용자 삽입 이미지

               LAN:REALTEK 8139( 내구성 최고)

                   HARD DISK:4 GIGABYTE 

부가적으로 이컴퓨터 성능에서 가능한 것도 적어 질문했는데,리니지 1 원할하게 돌아가구 각종인터넷 게임: 고스톱,바둑,훌라,테트리스등등 게임이 씽씽 돌아갑니다.인터넷 웹셔핑과 게임하는데 아주 적합한 성능을가지고 있습니다.앞으로 10년간 더 사용해도 인터넷이나 게임하는데 아무런 불편이 없을것입니다.이 컴퓨터 얼마정도에 팔면 좋을가요?

컴퓨터가 좋은성능인지,어떤지 구별할수없는 초보자들이 눈에띄게보는 보는것은 제품의 모델성능구별이 아닌 제품옆에 쓰여진 최고급,고급서라운딩,내구성최고같은 문구나 부가적으로 설명해놓은 해설에 더혹해하는 경향을 가지고있었다.물론 이러한 성능의 컴퓨터에서 해설되어진 내용이 틀린점은 없고,실제로 적시되어진 게임이 가능하고 잘관리하면 10년넘어서도 사용할수도 있겠지만,

컴퓨터의 개별제품성능에 관심을 가지고 구별할수있는 사람이라면,아무리 제품옆에 최고급,최고기술,내구성최고라는 수식어가 붙어있다고해도 단번에 컴퓨터제품의 스펙이 후져있음을 캐치하기에

"공짜로 줘도 안가집니다ㅡㅡ;;;; 진짜 돈 쥐어주면서 가지라고 해도 생각해볼 사양이네요."라는 답변^^이 정상일지 모른다.초보자들이 컴퓨터를 살때 현명하게 유의해야할 부분이 최고급,최신기술 어쩌구 단어가 붙어있는 컴퓨터에 혹해하지 말아야한다는 점이다.

컴퓨터모델들에 있어서 나올때마다 그것은 언제나 항상 붙어있는 상투적단어일뿐이다.저 컴퓨터도 시간을 꺼구로 돌려보면 그당시에는 최고급,최신기술이 적용된 컴퓨터였을것이다.컴퓨터에붙는 부가적인 단어들은,상대적으로 요즘은 컴퓨터부품기술수준이 몇달사이에도 빠르게 변하기에 구입하고 몇달뒤면 다시 컴퓨터는 새로운모델들이 출시되고 최고급,최신기술이 붙여판매되기에 그런단어기준으로 컴퓨터에 혹하면 안된다.

"최고제품, 오늘만 특별구입찬스,초특가,이가격대비 이런제품 두번다시 보기힘듭니다"등,세부적인 부품설명보다는 전체적으로 두리뭉실한 설명을하는 컴퓨터는 되도록 구입하지않는것이 현명하다.컴퓨터에 적용되는 부품들은 부가적인 단어나 설레발까는 해설이아니라 ,컴퓨터가 가지는 부품들의 개별 스펙성능기준으로 판단하여 구입하는 습관을 가져야한다.

컴퓨터의 성능을 구별할수없는 수준이라면,다음과 같은 사항만 알고 체크해보는것도 좋은 성능의 컴퓨터를  잘구입할수가 있는방법이다.판매하는곳이 개별부품 단위에대하여 뭔지는 모를지라도 설명을 자세히할때 신뢰를 가질만하고 막연히 좋은제품입니다,최고급,최신사양,안되는 게임이 거이없다라든식의 두리뭉실한 전체적인 설명을하는경우는 구입하지않는것이 좋다.

컴퓨터는 겉모양은 거이다 비슷하고,똑같지만 그안에 어떠한 부품으로 조립되어지느냐에따라,가격차이가 천차만별이 되는 제품이기에,어떤부품으로 만들어진 컴퓨터인지 물어본후,뭔지 모를지라도 들어간 부품명들을 적어놓거나 카탈로그를 통하여 확인한후,그 부품모델을 인터넷검색을 통하여 좋은 성능과 가격을 가지는 부품인지 확인해보고 구입하는 습관이 좋다.저 질문한 컴퓨터의 행방은 향후 어떻게되었냐하면,공짜로 줘도 안가집니다정도는 아니고,폐컴퓨터수집하는 분에게 3,000원받고 팔았다 .가져다주는 기름값이 더 나왔을지 모르겠지만 o('-'o) (o'-')o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도 아자,아짜 느그미짜트 화이팅해라^^ 오늘은 나의 컴퓨터에대하여 이야기해 보려고합니다.


좋은글이나 사진을위하여 좋은컴퓨터와 카메라가있어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모르겠지만,좋은글과 사진을 만들어내는데에는 하드웨어의 성능과 비례하지않는다.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본체는 펜티엄3 cpu가 550메가헤르쯔의 컴퓨터를 사용하는데,일반인들이 생각하기에 어느정도인지 감이 잘 안올수도있기에,말하자면 10년이 훌쩍넘은 컴퓨터본체이다.




사진은 130만화소의 핸드폰카메라를 사용한다.블로그에 글을쓰거나 편집하거나 사진을 올리는데 펜티엄2-3중간모델본체와 핸드폰카메라로 만들어진 사진과글들이 포탈들의 메인이나 포토베스트에 올랐던걸보면 좋은 사진기나 성능좋은 컴퓨터가 있어야 좋은사진과 글을 쓸수있다고 생각할 필요는없다고 생각한다.


컴퓨터는 성능만이 중요한게아니라 컴퓨터에 얼마나 관심과애정을 가지고 사용하느냐에따라 10년이 넘은 컴퓨터로도 충분히 일상생활의 인터넷작업에 불편함이 없다는것이다.아무리 좋은성능을 가진 컴퓨터를 사용하고있더라도 주위를 둘러보면 오히려 나의 컴퓨터보다 인터넷작업의 속도를 느리게사용하는 컴퓨터들을 많이본다.

컴퓨터사용습관을 어떻게 길들이느냐에따라 좋은성능의 컴퓨터도 버벅거리며 사용하게되고,성능이 낮은컴퓨터라도 원활하게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다.지금은 컴퓨터본체가 볼품이없어졌지만,그당시에는 지금의 화폐단위로해도 현재판매되는 컴퓨터가격의 몇배를 주고산 컴퓨터였다. 이것저것 만지고 사용하다보니 불편함이 없기에 지금까지도 잘사용하고있다.cpu의 심장이 멈추지않는한 계속 사용할 생각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너무 오랜된 컴퓨터모델이다보니 cpu의 부품이 생산되지않기에,멈추면 나의 손때뭍은 컴퓨터와 이별을하게될것이다.내컴퓨터의 cpu는 요즘 일반인들이 잘볼수없는 슬롯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cpu이다.컴퓨터를 잘모르는분들이보면,이게 cpu가 맞아,그런생각이 들지도모른다.


난 이런구닥다리 컴퓨터본체에서도 플래쉬프로그램도 잘구동하여 사용하고,엑셀,파워포인트도 다 잘사용하고있다.단지 초기구동시 약간의 인터벌의 속도지연을 느낄수있을뿐이다.

본체의 나이에 맞지않게 요즘의 프로그램들을 깔아서 사용해도 잘사용되게 해주기에 기특한 마음이다.가끔 임시인터넷파일폴더내의 파일들을 삭제하는것을 미루고 언론기사를 읽어보려고 들어갔을때 인터넷창이 인터벌로인하여 사람이 모습이 아래그림처럼 나올때도있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사내용에 실린 소유진의 사진모습이,요로코롬 인터벌이 생겼다 보임^^>



임시인터넷파일을 비우는것을 오래잊어먹지않는한 이런경우는 드물다.컴퓨터본체가 나이가들어서인지 소음이 커지긴했지만 그것도 나와함께한 과정이었구나 생각하니,기특하고 고마운마음이 들뿐이다.자동차든 컴퓨터든 쓸만한데도 더 좋은놈이 나왔으니,쉽게버려버리는것,자신도 모르는사이에 삶의 의미를 삭막하게 물들이는것입니다.오늘도 아자,아짜~ 화이팅!!!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모리에 대한 일반상식입니다.컴퓨터의 부품인 메모리는 sd램이라구 불리는것두있구,ddr,ddr2등의
일반적인 컴퓨터부품에 사용되는 이런 메모리말구두 다양한 메모리종류가있습니다.
일반적인 컴퓨터에 사용되는 메모리에대한 상식입니다.

256mb,512mb,1g,2g,4g 이처럼 배수로 올라가는 메모리용량표시들옆에는 pc100,133,1600,2100
,2700,3200,4200,5300,6400
등의 pc라는 표시두 함께표시되어있습니다.

pc100,pc133으로 표시되는것은 sd램이구,pc1600-3200까지 표시된것은 ddr램이구,pc4200-6400까지
표시된것은 ddr2 메모리입니다.

여기서 sd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던램이 ddr로 넘어가면서,메모리의 실제속도(쿨럭)을 표시한게아니라
실제속도와 정보처리량을 곱하기하는 방식으로 표기하므로인하여,pc100,pc133,pc200,pc266,pc333,
pc400,pc533,pc666,pc800으로 표기되어야 정상인데,
pc200부터는 곱하기 8을하여 pc1600 이렇게
표시하면서,sd램과 ddr램의 표시방법이 천단위로 넘어가게되어집니다.

메모리의 실제속도는 그러므로 pc1600은 ddr200,pc2100은 ddr266,pc2700은 ddr333,pc3200은 ddr400
등과같은 의미의 표시입니다.

컴퓨터 정보처리의 최소단위는 bit이구 8bit가 모이면 1byte가 됩니다.xp운영체제가 32bit운영체제이구
윈도우비스타 종류중에 64bit를 지원하는것두있습니다.

ddr램은 64비트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므로,이것은 64비트는 8byte이기에,ddr램은 64비트처리방식
이다라는것을 강조하기위하여,메모리의 실제속도를 표시한게아니라,곱하기 8을하여,뭐가 뭔지
모를 메모리용량옆에 부가하여 pc라는 요상한 표시를 하게됩니다.그러므로 메모리용량옆에
ddr400이라구 표현된것은 메모리에 실제속도를 정확하게표시한것이며,pc3200이라구 표시되어
있다면,실제속도인 400곱하기 ddr램이 64비트정보처리를한다는것을 강조한 8byte를 곱하여
표시된것이므로,ddr400mhz=ddr pc3200과 같은의미표시입니다.

이러한 제조사들의 용량표시방법은,뭔특별한 의미가있는게아니라,편리할대루,강조하고픈
것을 이용한다는것을 할수있는데,이러한것은 메모리의 속도표시뿐만아니라,하드용량표시에두
이런 짓을합니다.1024mb=1giga입니다.그러나 예를 들어 150기가의 하드를 사서 컴퓨터에 사용해보면
142정도로 표시되는데,8기가정도가 사라져표시되는것을 볼수가있습니다.이것은 이론상의
1024mb=1giga아니라,1기가 1,000mb로 제조회사들이 하드를 만들기에 1가에 대략 24mb가
적어짐을 알수가있기에,이러한 하드에 표시된용량과 실제표기하드의 용량이 다르게 됩니다.



자신의 사용하는 컴퓨터의 메모리가 어떤메모리인지 알아야 업그레이드를 시키거나 추가하여
사용할수있는데 이경우,sd램, ddr,ddr2는 각자 서로가 호환이 안되기에,정확이 사용하는 메모리를
알구 구입해야합니다.또한 메모리용량인 512mb옆에 표시되는 pc100-6400까지의 의미를 알면
자신의 메모리가 sd램인지,ddr램인지,ddr2인지 이론상으로 구분할수가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메모리용량옆에 표시되는,pc는 같은종류의 메모리라면,속도가 다른 메모리를
함께사용하면 낮은쿨럭과 동기화되어움직입니다.그러나 간혹 아예 pc표시가 다르면,같은
메모리종류라구해두,메인보드가 인식하지 못하는경우도있습니다.

메모리용량옆에 표시되는 pc표시는,컴퓨터의 cpu의 fsb속도와 동기화되게 맞춰추면 최적의
속도를 내는 컴퓨터가 될수있다는 이론상의 논리두있습니다.그러나  그같은 이론상효과가
실제컴퓨터 사용자가  체감할수있는 차이를 느낄수냐햐면 그렇지는 않기에 메모리의 pc
표시가 cpu의 fsb속도와 다르다해두,구지 맟춰서 사용해주려고할필요는 없습니다.

어찌되었든 메모리의 종류와 pc표시의 의미정도는 일반상식적으로 알아둬야하며,
그래야 자신의 컴퓨터의 메모리업그레이할경우 뚱단지같은 메모리나 인식안돼는 메모리를
구입하는 오류를 줄일수가 있습니다.

자신의 컴퓨터의 메모리종류가 어떤것인지 알구싶은때는,직접 컴퓨터를 분해해서
램을 꺼내서 보는 노가다방식두있겠지만,메모리는 기본적으로 메인보드의 메모리 슬롯이 
지원하는 메모리만 사용가능한것이므로,메인보드명을 찾아 지원하는 메모리슬롯이 어떤것인지
보면,자신의 컴퓨터가 어떤 메모리를 장착하구 사용하구있는지,알수가있습니다.

메인보드의 슬롯이 꼭 어떤램만을 지원하는게아니라,슬롯이 sd램슬롯두있구,ddr램슬롯두있구
이처럼 슬롯이 동시에 여러가지램을 사용할수있게,슬롯이 장착되어 만들어진 메인보드들두있습니다.

그러므로,다른종류의 램끼리 호환이 안된다구해서,자신의 컴퓨터는 특정 메모리만 사용할수
있는게아니라,메인보드슬롯이 지원한다면,이종의 메모리라두 사용할수가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