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물고기를 사서 먹으라고 할 게 아니라, 물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주는 것이 진정한 동맹인 것이다. 한국군의 차세대 전투기는 물고기 자체보다는 물고기를 잡는 법을 전수해주는 국가를 선택해야함은 순리이다.

 

일본은 이미 1930년대부터 자국산 전투기를 생산했고, 현재에도 물고기만을 구입한 것이 아니라, 일본자체 전투기모델을 생산하도록 미국이 전적으로 기술이전을 해주는데, 유독 우리나라만 스텔스기능뿐만 아니라 전투기의 핵심 기술들을 이전을 안 해줄 뿐 아니라 한국 자체의 기술로 자체생산 할 수 있는 기술이전을 해주지 않고 있다.

항상 물고기만 사서 먹으라는 것인데, 이것은 진정한 의미의 차별이다. 우리나라의 경제력과 지정학적 위치상 최상의 자체 전투기를 생산 보유할 필요성이 반드시 필요한 국가에 해당한다.

일본,중국,러시아등 주변국가중에 자체 전투기를 생산하지 못하는 국가는 오로지 우리나라뿐인데, 후진국형 경제인 중국조차 자체 전투기를 개발하여 전투기 주권국가의 반열에 오르는데, 우리나라가 언제까지 물고기만을 사다가 먹어야하나, 우리나라도 이젠 자체개발하여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충분한 환경이 되었다.

동맹이 기술이전을 해주지 않으면, 그렇지 않은 상대방이 기술이전을 해주겠다면 그러한 선택을 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고 상식적이며 나라의 국익과 미래의 국력에 도움이 되는 현명한 선택이며 이치에 합당하다.

스텔스이든 뭐든, 전투기의 핵심기술을 자체개발하여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이전해주는 것을 사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가 외국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자주국방을 해야 할 때가 그리 얼마 남지 않았다. 반드시 도래할 이러한 상황이 멀지 않았는데 자체 전투기를 생산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좋은 스텔스기를 사온다 해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

유로파이터를 구입하는 것이 가장 빠른 기간 내에 자체 전투기 생산국가의 반열에 오를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은 부연 설명한 필요 없는 진실이다. 어떤 이유가 됐든 자체 전투기 생산 반열에 오를 수 있는 정책방향으로 구입해 해나는 것은 애국이요, 아무리 좋은 기능과 성능을 가진 전투기라도 기술이전 없는 것을 선택하는 결정을 하는 것들은 국가의 향후 미래 안보 상황을 고려 했을 때 매국노라 할 만하다.

독일의 잠수함이나 미사일을 구입하여 결국 우리나라가 자체 개발 생산하여 수출까지 하게한 선택을 하게했던 선구자적 안목을 가진 정책결정자들이 있었던 것처럼 국가의 훗날을 위해서 차세대전투기 구입 시 선택에서도 필요한 때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일본군: 백병전및 육탄전에 있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전투력의 역사를 보여주는데, 세계를 제패했던 몽골군이 일본원정에서 전멸한 이유나, 조선시대 우리나라가 이종무의 대마도정벌시 육전에서 대패를 당하여 그 두려움으로, 바다위에서 진을 치고, 패잔병의 무사한 철수만을 구걸했던 역사가 있고, 근세에 있어서는 러시아 육군을 지상전으로 이겼으며,2차대전시에 있어서도, 미군이 본토상륙을 두려워하고 실행치 못했던 이유가 일본군과의 육탄전에 있어서 엄청난 미군의 피해가 예상되었을뿐아니라, 그렇게 한다고해도 승리할 수 있다는 예측이 불가능했기 때문이었음. 임진왜란 당시, 우리나라가 일본군을 이길 수 있었던 유일한 방법이 아래의 한국군의 장점이 존재했기 때문이었고, 이것을 의지한 승리이외에 일본군을 지상전으로 이겨보겠다는 시도를 다시는 하지 않음.

 

 

한국군: 우리나라는 고래로 활을 사용하는 원거리 공격에서 세계의 최강이었고, 이러한 전통은 포병의 역사로 이어져 왔다. 임란시 행주대첩이나 이순신장군의 해전에서 일본군을 이길 수 있었던 것도 행주치마로 돌을 날라서 이긴 민간설화보다는, 거의 전적으로 화포의 우세로 인한 포병의 우위에 있었다. 해전에 있어서도 원균이 해전에서 전멸하고, 이순신장군이 연승을 할수있었던것도, 이순신장군은 어떠한 경우라도 일본군과의 지상전및 백병전을 피하려고 했고, 활과 화포를 기반으로 하여 적의 배를 침몰시키는 전술을 행한 반면, 원균은 지상전과 백병전으로라도 적진으로 들어가 일본군과 싸우라는 황당한 어명에 의하여, 일본군이 지상전을 벌일 수 있는 구조의 지형에 해군을 위치시켜기 때문에 전멸을 당할 수밖에 없었다. 근세에 들어서도 청나라가 조선의 조총 병을 지원을 원했던 것이나, 가까이는 월남전에 있어서 전사에 남을만한 해병과 육군의 전투 또한 한국군의 포병지원이 없었다면 승리할 수 없는 전투들이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군은 아무리 활이나 화포가 낙후되거나,볼품없는 포를 가졌다해도 그것의 정확도나 활용에 있어서는 세계최고 수준의 전투능력을 보여줬고, 한국포병의 전통은 역사이래. 세계 최강이었고, 일본군을 이길 수 있는 장점으로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중국군: 중국군은 역사이래로 오늘날까지 한국군과 일본군을 상대로, 포병이든, 지상전이든, 해전이든 아무리 우수한 무기를 가졌다해도, 일대일 전투가 벌어졌을 때 이겨본적도 이길 수 있는 정신력을 보여줬던 적이 없었고, 오로지 승리할 수 있는 방법이 100:1 정도의 압도하는 군사수를 자랑하는 인해전술로 인한 어쩌다 승리하는 경우만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고, 역사이래. 중국군이 한국군이나 일본군보다 적었을 때 승리했던 역사기록은 전후후무하게 존재하지 않고 있다.

 

결론적으로 삼국의 군대의 장점을 비교해보면, 중국군은 무리의 힘을 이용한 승리의 자부심을 가지는 정신력을 유지해오고 있고, 한국군은 원거리공격인 화살이나 포병전에있어서 세계최강의 전투력을 가지고 있는 역사적 전통과 자부심이 존재하고, 일본군은 맞장을 뜨는 육탄전이나 백병전에 있어 세계최강의 전투력을 가지는 정신력을 보여준 역사를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