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쁘다고 맛이 좋은게 아니야 vs 못생겨도 맛은 좋아라는 논점에 관하여 글을 적어보고자 한다.먼저 예쁘다고 맛이 좋은게 아니야는 의미를 들여다보면,


예쁘면서 맛이 좋을수도있고
,예쁘지만 맛이 없는경우의 수를 다포함하는 반면에

못생겨도 맛은 좋아는 정확하게 못생겼는데 맛은 좋다라는 의미만을 가지고있다.

다양성면에서는 예쁘다고 맛이 좋은게 아니야가 더 좋은데,그런데 왜 반대의 의미인 못생겨도 맛은 좋아는,



단정적이 되어졌는지 그 의미를 들여다보니
,그럴수밖에 없을거 같다.농산물은 농약과 화학비료를 무진장 쳐서 키운 과일들이 빛깔좋고,표면이 곱기는하다,그러나 건강이나 영양측면에서는 맛이 좋은경우도 있긴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반면에 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투입하지 않은 농산물은 벌레도 먹고,겉표면도 투박하지만 맛은 꿀맛이다.농산물에 있어서의 자연의 진리인 못생겨도 맛은 좋아는 맛으로 증명이 되어진다.

사람의 겉모습을 성형을하여 예뻐진다고해도,유전의 법칙은 성형과는 상관없이 자식의 모습에 나타나게되는데,자연법칙으로 봤을때 성형은 임시방편일뿐이다.화학비료나 농약을 인공적으로쳐서 빛깔이 곱더라도 한두번은 그냥 사서 먹을지모르지만 최후의 선택에 있어 경험을 통하여 소비자는 맛으로 결정한다.

사람과의 인간관계도 때깔좋은사람에게 일시적으로 끌린다해도,결국 최후의 선택은 경험을 통한 맛에의하여 결정되게된다. 맛이 좋은것을 찾을수있는 지혜의눈을 가질것인지,맛없는 것을 찾아 길들여진 허영적인 환상에 집착할것인지는 분명한 답이 나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선 순조와 철종시대에 살았던 김삿갓이라는 사람이 참 재미있는 시조를 남겼는데,김삿갓이 여인과 첫날밤을 치루었는데,뭔가 못마땅했는지 붓을 꺼내들고 시를 이렇게 적었다.


털이 많고 속이 넗으니 내가 처음은 아닌가보다하고 글을적자,얼굴상이 죽상인 김삿갓의 얼굴을 본 여인이 빙그레 웃으며,붓을 들고 그 시에 첨가하여 이렇게 적었는데 뒤뜰의 밤나무의 밤송이는 벌과 나비가 까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벌어지느니라적고는 다시 잠자리에 들었는데,그 글을본 김삿갓이 오히려 스스로 부끄러워지며 둘사이에 꿀맛이 더 깊은 밤을 지샛다고 전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선조들이 속궁합을 중시한것은 삶의 경험을 통하여  전해준 맛의 결정체이다.예쁘다고 맛이 좋은게 아니야vs 못생겨도 맛은 좋아중에 선택하라면 난 못생겨도 맛은 좋아를 선택하겠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갑자기 옛날옛적에 이야기들이 생각난다.배추도사~무우도사가 들려주는 권선징악적인 내용을담은 만화영화가있었다.

배추도사와 무우도사의 케릭터를보다보니 이분들이 상징하는것은 남자인지,아니면 여자를 나타내는 케릭터인지 궁금해줬다.

그래서~ 배추도사와 무우도사의 성정체성은 어떤케릭터를 상징하는지 나름대로 살펴보고자한다.~^^* 


먼저 무우도사의 모습을보면 길다랗고 끝부분이 뭉뚱하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맛있게 씹어먹는 알타리무로 만드는 김치를 총각김치라고하는것을 보면,무우도사는 남자다.그렇다면 남겨진 배추도사는 여자의 정체성을가지는 도사일까,케릭터를 자세히보면 무우도사나 배추도사는 콧수염같은게  둘다 나있기에 콧수염은 남자케릭터일것이라고 생각할지모르지만,턱수염과 콧수염은 다르다.여자도 겨드랑이에 털이나는것처럼,코털은 여자도 난다 ㅎ.ㅎ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우도사와 배추도사가 가지는 수염은 무우와배추의 뿌리를 상징하기에,그것이 무우도사와 배추도사의 성정체성을 난타낸다고는 볼수는없다.가장 정확히 알수있는사람은 배추도사나 무우도사케릭터를 처음에 만든사람일것인데,일반적인 배추의 특성은 잎포기가 겹쳐,한꺼플씩 벗길수록 곱고 하얀 배추속이 나오는것을보면 배추는 여자이미지를 가졌기에,배추도사는 여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우도사는 남자고 배추도사는 여자다라는 나의생각에 불만(?)이 있을지모르지만,무우도사와 배추도사의 케릭터의 성정체성이 정해진것이아니기에 자신의 생각을적으면 될뿐이고 나의생각으로는 확실하게 알아볼수있게 배추도사에게 브라자를 그려넣어주었으면 쉽게구별이 되었을거같기도하다 ㅎㅎㅎㅎㅎㅎㅎ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우는 흰색만이아니라 빨간색 무우도있다.무우가 빨간색이기에,무우잎도 빨간줄알았는데,잎은 일반무우와같고,뿌리열매만 빨간색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에서나오는 왼쪽은 무우도사님,오른쪽은 배추도사님,배추도사와무우도사가 무엇인지 모르는분은 찾아서 봐보시길,상콤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갑자기 요리와관련된것중에,돼지보쌈이 생각이났다.돼지보쌈은 밤에먹는게 젤맛있다^^ 돼지에대하여생각해보다가,돼지들중에는 검은돼지,회색돼지,하얀돼지등 여러가지색깔의 돼지들이있는데,보쌈에서보여지는 돼지껍데기는 왜모든것이,하얗게보이는것일까? 돼지를 삶으면,색깔이 다 하얗게 변하는것일까?


엉뚱한생각이들었는데,곰곰히 생각해보니,돼지의 피부는 원래하얗구,그위에 단지 털들이색깔만이 다른것이다.털이없는 인간은 피부를기준으로하지만,돼지는,피부를 기준으로 검다,희다,회색이다가아닌 을가지구 구분하는걸보면,





인간의기준으로 돼지가 생각한다면 자신보구 사람들이  검은돼지라구하면,"아니거든,나 흰돼지거든"이럴것같다.좀 고상하게 표현해보면 "인간의 기준으로하는 원칙은,절대성이없다"



각설하구^^;; 돼지보쌈은 맛있다.마음이 통하는사람과 밤에 모여앉아 먹는 돼지보쌈두 맛있구,혼자
야금,야금먹어두 맛있다.사람과의 관계에있어 맘이상한 사람이있다면,살포시 돼지보쌈을 챙겨가서 함께
먹자,상했던 관계가 눈녹듯 사르르르~,돼지보쌈하나에 넘어가다니,돼지보다 못한눔(?)^^;;
kungmi는 이런경우는 돼지보다못한 못한눔소리들어두좋다,돼지보쌈은 맛있기때문이다ㅎㅎㅎㅎㅎㅎㅎ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