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현장르포 "동행"의 인터넷 다시보기 서비스로 시청을 하려고했는데,

재생되는 윈도우 미디어의 표시가 음소거형태로 나타나며,"적절한 압축해제..."라는

오류메세지를 표시하며 영상만이 나왔다.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는지에대하여 윈도우미디어의 버전의 다운과 업에대하여 살펴보고,


어떻게하면 정상적인 미디어재생이 될수가있는지에대하여 살펴보자.


위에 표시는 윈도우미디어 6버전을 실시간 재생으로 지정했을때에 나타나는 화면으로 미디어에 표시된 스피커표시가 양쪽으로 보여지는것을 알수가있다.


위에표시는 윈도우미디어 9버전으로 재생되도록 설정했을때 나타나는 모습으로 스피커모양이 하나로 단순하게 표시되어 재생되어짐을 알수가 있다.

실시간방송이나 다시보기 서비스등에있어서 오류가 생길때는 윈도우미디어의 재생버전을 살펴보는것이 좋다.기본적으로 윈도우운영체제를 사용한다면 윈도우미디어 9버전이든 10버전이든 11버전이든 프로그램추가제거상에서 표시되어지는 버전이 하나일뿐이라도,상위버전은 하위버전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기에 상위버전의 제거를 실행하면 롤백기능이 수행되어 낮은버전으로 복원되어진다.

윈도우미디어를 낮은버전의 미디어로 재생하고 싶을때는 실행창에 regsvr32.exe msdxm.ocx 로 적어넣고 확인을 하면되겠고.

설치된 가장 높은버전의 윈도우미디어로 재생되게하려면 실행창에 regsvr32.exe wmpdxm.dll 을 적어넣고 확인을 하면된다.

윈도우미디어의 6버전으로 재생시 윈도우미디어의 소리표시가 음소거형태로 변한다면 일단은 높은버전의 윈도우 미디어로 재생될수있도록 실행창에 regsvr32.exe wmpdxm.dll 을 해준후,프로그램추가제거에서 통합코덱이니 한번에 해결해주는 코텍이니 같은 명칭은 제각각이겠지만,깔려져있는 코텍을 제거해주면 음소거 표시로인한 실시간이나 다시보기서비스시 영상만 나오고 음성이 나오지않는 오류를 해결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헤드셋(헤드폰)은 이어폰과마이크가 달려져있다.별도로 마이크기능만 할수있는것이 있거나,이어폰기능만 있는것도 있다.


이러한 기기들을 사용함에있어,마이크기능이 되지않는 경우가있다.마이크가 되지않을때 제품에 이상이 없다면,생각해볼 문제가,압축방식인 코덱에 관한것이다.


소리나 영상에관련된 파일들은 재생플레어에 따라 다양한 코덱으로 사용되어진다.이런경우 여러가지 재생플레이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경우




윈도우미디어,곰플레이어,윈엠프등  여러가지를 함께 사용하는경우,코텍충돌로인하여 소리가 나지않거나,영상이 재생이 안되거나,잘 사용되어지던 마이크소리가 되지않는경우같은 오류가 나타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이나 소리에 관련된 파일을 재생하는 플레이어는 1-2개정도 사용하는것이좋고,여러가지를 함께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재생플레이어등에 있어 코텍충돌로 인하여 발생하거나,소리나,영상,마이크기능이 이상이 있는경우 가장빠른 해결책은 시스템복원기능을 이용하여 잡다하게 깔린 코텍이나 재생플레이어들을 깔리기이전 상태로 복원시켜주면 된다.



일일이 여러개 깔린 코덱들을 하나씩찾아,삭제해줄수도있지만,일반적으로 컴퓨터자체에 내장된 시스템복원기능을 이용하여,한번에 깔리기이전 상태로 만들어,소리나,영상,마이크기능등의 이상이나 코텍충돌로 나타나는 오류를 해결하는것이좋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