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스피커는 오른쪽과 왼쪽이 짝을 이루어 스피커로 사용이 되는데 왼쪽 스피커를 활용하여 자신의 귀와 모양에 맞는 이어폰으로 만들어 사용을 할수가 있다.



스피커의 껍데기는 필요치않고 그안에 것을 어떠한 형태의 케이스로 만들어 활용할지는 만들어 내려는 이어폰의 용도에 맞게 스스로가 제작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의 스피커의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다가,이어폰의 선이 짧아 좀 길었으면 생각하던차에,



뜸금없이 핸드폰에 사용하는 이어폰은 줄이 길다라기에,선 굵기도 비슷하니,앞대가리만 짤라서 이어주면 선이 넉넉한 컴퓨터 스티커 이어폰으로 사용할수있겠다 싶었다.



그래서 서로 앞대가리의 접촉단자의 모습이 다른 이어폰을 짤라서 연결해보았다.






                       그 과정에서 일반상식적으로 착각했던부분이 무엇이었는지에대한 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생각하길,이어폰의 피복속에 선은 전기선처럼 구리같은 몇가닥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줄 알았다.앞모양이 다른 양쪽 이어폰의 선을 짤라서 피복을 벗겨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언듯봐서 구리철선가닥이 들어있길래,철선만 연결해서 간단히 테이프를 붙여주면 되겠지 했다.
\(*`Д´)/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리철선가닥들을 헤치고 자세히보니,머리카락크기만한 색깔있는 선들이 조밀하게 들어있어서 번거롭지만,같은 모양의 선을 서로 연결해주면 되겠지했는데,앞대가리 접촉단자방식이 다른 이어폰은 이어폰속에 들어있는 선의 갯수조차 달랐다.

괞한짓을 했구나하는 생각이들면서,이왕 짜른거 결과는 확인해봐야지라는 생각에 비슷한 선끼리라 연결해서 이어보려고했지만,이어폰의 피복속에 들어있는 가는선들은 피복을 벗겨서 이으려고하니,오징어 다리마냐 주욱,주욱 늘어졌다.(づ_T) 이어폰 피복속의 선과선은 짤라붙여서 이어서 사용할수가 있는게아니라,랜선의 랜잭처럼,가는선 자체를 집어넣어야하는사용이 가능할듯싶은 모습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왕 베린것,선이고 뭐고 양쪽부분을 똘똘말아 꼬아서,소리가 나는지 안나는지 스피커에 연결해서 결과를 확인해봐야지 했다.결과는 "전혀 들리지 않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겨울철이라 전기의 소모량이 많아지는 계절이다.가전제품중에는 어떻게 사용하느냐에따라 똑같은 제품이라도

전기세가  많이나오거나,적게나오게할수있는것들이 있는데 그중에 하나가 컴퓨터이다.


컴퓨터의 전기세는 컴퓨터를 어떻게 사용하면 절약할수있을까?


컴퓨터는 사용습관과 설정방법에따라 몇배차이의 전기세를 만들어내게된다.



컴퓨터를 하루종일 또는 장시간 사용하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의 컴퓨터의 전기세를 절약하는데 필요한 상식이다.컴퓨터의 전기세를 절약할수있는 방법을 하나하나 세부적으로 그림과함게 살펴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첫번째:컴퓨터의 시디롬은 자주사용하는 경우가아니한,시디롬과 연결되어진 파워선은 평상시 빼어놓고 사용한다.매일부팅할때마다 시디롬을 찾게할 필요가없겠고,필요할때 파워선만 연결해서 사용하면된다.요즘은 저장도구인 usb가 대중화되었기에,구지 시디롬을 사용할필요성이 적어졌고,어쩌다한번 사용하는 시디롬을위하여 전기를 연결해두어 낭비할 필요가없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번째:컴퓨터의 바탕화면빈공간-마우스오른쪽버튼-속성-화면보호기에서 화면보호기를 없음을 선택해주고,모니터전원항목에 전원을 선택한후,전원구성표항목에서 아무거나 선택되어지게 나두는게아니라 가정용/사무실용으로 선택해준다.모니터끄기,하드디스크 끄기,시스템최대절전모드의 3가지항목 모두 사용안함을 선택해준다.

전원구성표의 설정은 컴퓨터의 전원소비를 최적화해주기위한 설정인데,아무렇게나 해놓고 사용할수록 전기세가 더많이 나오게된다.왜 일반상식적으로 알고있는 화면보호기를 사용하지말라고하는 이유는 화면보호기를 사용하여,컴퓨터바탕화면을 번쩍,번쩍이도록 나둘것이라면 그 대기시간에 오히려,컴퓨터본체의 전원은 그대로두고,모니터화면에 달린 전원을 꺼두는게 더낫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번째:컴퓨터의 그래픽카드는 고성능일수록,자체발열을위하여 쿨러가 장착되어있는데,이렇게 쿨러가 장착되어진 고성능의 그래픽카드를 사용할수록 컴퓨터의 전기세는 비례하여 많이 나오게된다.그러므로 가정용/사무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인경우는 되도록 그래픽카드에 쿨러가 안달린 저사양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것이 컴퓨터의 전기세를 줄여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번째:컴퓨터의 하드디스크는 용량이 클수록 하드를 읽어내는 속도뿐만아니라,컴퓨터의 전기세를 더 잡아먹게된다.작업용도에 맞는 적정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것이 전기세를 절약할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섯째:컴퓨터의 내부에는 쿨러들이 여러개달린 케이스들이있는데,쿨러가 많이 달리는 케이스일수록 컴퓨터의 전기소비량은 많아지게된다.컴퓨터의 발열은 컴퓨터의 전기세를 더 많이 나오게하는 원인이되기에 발열을위하여 쿨러를 여러개 달아주는것보다,컴퓨터의 사용위치에 신경을 더써야한다.

컴퓨터의본체를 사면이 막힌 꽉막힌상태에 들여놓고 사용할수록,발열이 심해지고,결국 쿨러의 활동빈도가 높아지게되고,결과적으로 전기세가 많이나오게된다.그러므로 컴퓨터의 본체는 되도록 사방이 탁트인 공간에위치시키는게좋고,어쩔수없이 닫힌상태로 사용해야하는경우에도 사면의 벽면과 최소 10cm간격이 생기게하고 사용하는게 컴퓨터의 전기세를 절약하는 방법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섯째:컴퓨터본체의 케이스를 벗겨보면,위에그림처럼 하얀막대기처럼 늘어져있는곳이 있는데,이곳을 뱅크또는 슬롯이라고 부른다.이곳에는 여러가지 부품을 장착하여 사용하게되는데 오래된 컴퓨터일수록 사용하지도않는 부품을 그대로 슬롯에 끼워진채 사용되는경우가 많다.사용되지않는 부품들이 끼워져있다면,빼어놓는게좋고,슬롯에 빈곳이 많을수록 전기세는 절약되게된다.

또한 컴퓨터본체외부에 무심코,usb나 기타 이종부품을 항상끼워둔채 내버리고 사용하는습관도 컴퓨터의 전기세를 더 많이나오게하는 원인이된다.컴퓨터와 연결해서 사용하는 이어폰이든,usb든 기타 이종의부품들은 사용하고난후 컴퓨터본체와 분리시켜놓고 사용하는습관이 컴퓨터의 전기세를 절약하는 방법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헤드셋(헤드폰)은 이어폰과마이크가 달려져있다.별도로 마이크기능만 할수있는것이 있거나,이어폰기능만 있는것도 있다.


이러한 기기들을 사용함에있어,마이크기능이 되지않는 경우가있다.마이크가 되지않을때 제품에 이상이 없다면,생각해볼 문제가,압축방식인 코덱에 관한것이다.


소리나 영상에관련된 파일들은 재생플레어에 따라 다양한 코덱으로 사용되어진다.이런경우 여러가지 재생플레이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경우




윈도우미디어,곰플레이어,윈엠프등  여러가지를 함께 사용하는경우,코텍충돌로인하여 소리가 나지않거나,영상이 재생이 안되거나,잘 사용되어지던 마이크소리가 되지않는경우같은 오류가 나타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이나 소리에 관련된 파일을 재생하는 플레이어는 1-2개정도 사용하는것이좋고,여러가지를 함께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재생플레이어등에 있어 코텍충돌로 인하여 발생하거나,소리나,영상,마이크기능이 이상이 있는경우 가장빠른 해결책은 시스템복원기능을 이용하여 잡다하게 깔린 코텍이나 재생플레이어들을 깔리기이전 상태로 복원시켜주면 된다.



일일이 여러개 깔린 코덱들을 하나씩찾아,삭제해줄수도있지만,일반적으로 컴퓨터자체에 내장된 시스템복원기능을 이용하여,한번에 깔리기이전 상태로 만들어,소리나,영상,마이크기능등의 이상이나 코텍충돌로 나타나는 오류를 해결하는것이좋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