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더운 여름이 다가올수록 가장 몸조심하는 동물이 개들인데,우리나라 사람들이 개고기를 먹는음식문화에대하여 생각해보았다.



역사적으로보면 개고기문화는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이라고 할만큼 널리 민간에서 우리나라의 역사와 함께 수천년동안 이어져 기록되어진 식용고기이다.


개고기를 먹는것을 반대하는사람들의 논리는 인간과 친밀하게 키우던 동물을 잡아먹는것은 "야만"이다라는 논리가 주인데,




개고기문제는 이러한  감정적문제로 바라다볼게아니라 문화라는 입장에서 바라보지않는한,해결될수가없는 문제이다.중동국가에서 돼지를 먹지않는것,이것은 그들 나라의 음식전통이고,돼지를 먹는 나라들이 "야만"국가는 아니다. 인도에서는 소고기를 먹지않는다고,인도가 소고기를 먹는 유럽이나 미국사람들을 "야만인"들이다라고 하지않는것은 나라마다 먹거나,먹지않는 수천년동안 내려온 나라마다의 전통음식문화에 기반한다.

우리나라는 개고기를 먹는것은 불법도아니고,그렇다고 합법도아니고 어정쩡한 위치에 놓여있다.이러한 결과 개고기를 합법적으로 위생적환경에서 도축하여,먹을수있는 환경이 되지않고,바다나 산,사람들이 잘보지않는 은밀한 장소에서 개를 도축하여 유통되어지는 현실인데,이러한 국가의 눈가리고 아옹식의 대처때문에,개고기를 먹는사람도 비싸게먹고,위생환경또한 별유쾌하지 않는 모습이 지속되어지고있다.

개고기가 병원에서 오래입원했던 환자들처럼 체력적으로 약해진사람들에 보양식으로 효과가 있다는것은 과학적으로 증명되어졌고,개고기가 사람의 몸에 먹어서 해로울게없는 안전한 돼지,닭,소같은종류의 고기라는것은 분명하다.

개고기를 먹는것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논리속에는 음식의 개념을 자신들의 기호에맞게 규정하려는 무책임함이 존재하고있다.인간과 친밀하고,감정적교류가 되어지는 개를 잡아먹는것은 안된다라고하지만,이러한 주장이 모순이 생기는게,인간과 동물은 개만이아니라,돼지나 닭,고양이도 감정교류가되어지고,개가 인간과의 감정교류가 인간이 보기에,좀더 순응적일뿐 개는 인간이아닌 가축동물의 일종일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을 고기로 먹거나,먹지않거나는 나라마다의 수천년간 내려온 전통음식개념에 따르면 되는것이지,대부분이 국가는 개고기를 먹지않으니 우리나라도 먹지말아야한다거나,야만인들이다라는 식의 이런개념은 몰상식하다.이런식의 논리는 소고기를 먹지않는 인도사람들이 보기에는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야만인들이다.

나라마다 존중해줘야할 음식문화가 존재한다는것이고,사람이 기르는 동물인이상,그것을 음식으로 하거나,하지않거나는 수천년 이어져온 음식문화전통에 따르면 된다.또한 개고기를 먹기싫어하는 사람에게 강제로 먹으라는것도 아니기에,자신이 먹지않는다고 타인들까지 먹지못하도록 강요하려는 자세가 더 야만이다.

우리나라는 개고기를 식용으로 수천년간 먹어온 전통음식문화를 가지고있다.다른나라가 먹든,안먹든 우리나라의 전통음식문화기준을 다른나라에 맞출필요는 없는것이고,그렇게 강요하려고해서도 안된다.개고기를 먹을 자유는 국가가 이래라,저래라할수없는것이고 국가가 할일은,수천년간 전통음식으로 오늘날까지 이어져왔다면,눈가리고 아웅이아니라,고기의 한종류로 합법적으로 규정하여,위생적인 환경에서 도축되고,유통되게할 책임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글을 썼다고 내가 개고기를 좋아하나보다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먹어본적은 없다.내가 먹어본적이 없는것은 나의 음식기호이고,딴사람들의 전통음식기호까지 강요하려는것에는 반대이다.누가 뭐라고해도 역사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에 있어 "개고기는 고기의 한종류일 뿐이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종대왕은 조선시대에 성군으로 알려져있다.그러나 세종의 무슨병으로 죽었는지는 역사의미스테리루 남아있다.무려 22명의 자식을 둘만큼 왕성한 정력을가진 왕이었음을 알수가 있는데,역사에 기록된 병의 증상은,피부에 궤양이 있었음을 알수있구,단순히 피로하여 걸리는 대상포진이라는 설두있구,매독이나 임질등의 성병에 걸려죽었다는 설두있다.

매독등이 성병은 유전이되기에,이후 세종의 아들이나 손자들이 어떠한 모습을 보여는지살펴보면,단순한 대상포진인지,아니면 설로만 나도는 성병에 걸려죽은것인지 유추해볼수가 있겠다.



세종의 왕위를 이어받은것은 문종인데 문종은 젊은나이에 재위2년못되어죽었고,같은 형제인
세조또한 왕위에 올랐으나,몸에 피고름이 생기는 종양으로 재위기간 고생하다가 죽은기록이
보인다.또한 세조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은 예종또한 재위1년을 채우지못하구 19살이 나이에
죽었고,예종의 아들은 4살정도쯤에 죽었음을 역사는 기록해주고있다.

세종-문종-세조-예종-손자에 이르는 가계도에서 피부궤양이나 조기에 죽은것을보면
체질적으로 무엇인가 유전되어진병으로 죽지않았나 유추해볼수가있다.

태종의 자신이 죽은후 상중에두,세종이 육류가 없으면 밥을 안먹으니 고기를 먹게하라는
유훈을 남긴것을보면,세종은 오늘날에 만원짜리 보여주는 핸섬하구 날씬한 얼굴체형보다는
비대한체격을가졌음을 유추해볼수가있다.세종의 초상화는 김기창화백이 그려다구
알려져있다.실제 세종대왕의 얼굴은 우리가 지폐로보는 핸섬한 얼굴이아닌 전혀 다른
못생긴 비대한 몸집을한 모습일수있다는것이다.

그림상식중에 잘못된개념이,나쁜사람은 얼굴이못생기구,괴물처럼생기게그리구 좋은사람은
이쁘구,잘생기게그리는데,현실과 동떨어진 그림표현법이라구 볼수있다. 나쁜짓잘하는 사람중에두
얼굴이 잘생기거나 이쁘사람이 많다는것이구,훌륭한 사람들중에두 몰골이 별볼이없는 사람두
많다는것이다
.무조건 훌륭한 사람은 미남.미녀로만 그리는것은 잘못된 그림이라구 볼수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