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이 하나도 안보여,

무슨말인데?

바탕화면이 배경그림만 나오네,어떻게 해야하는지 가르쳐줘,

바탕화면 아이콘이 사라지다니 그럴리가있나,설정방법을 변경하여 장난쳤겠지,


바탕화면에 아이콘들은 전체를 숨겨 바탕화면 배경그림만을 나오게하여 사용 할수가있는데,의외로 컴퓨터상식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당황하게된다.



바탕화면의 전체아이콘을 숨기는방법과 바탕화면에 아이콘들이 모두 사라지게하여 사용했을때 어떠한 장점이 있을수가 있는지 컴퓨터 일반상식에 대한 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바탕화면은 위에 그림처럼 배경그림과 아이콘들이 함께 나오게되는데,바탕화면 빈공간-마우스 오른쪽버튼-아이콘 정렬 순서-바탕 화면 아이콘 표시에 체크되어있는것을 체크해제해버리면 아래의 그림처럼 나타나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 컴퓨터의 바탕화면에 아이콘들이 전체숨김상태가되어,배경그림만이 덩그러니 보여지게된다.컴퓨터 일반상식에 관심을 가지지 않은 사람인경우,아이콘들이 다 사라져보여 인터넷작업을 할수가 없기에 당황하게된다.이럴경우 첫번째 그림단계처럼 바탕 화면 아이콘표시에 체크해제가 아니라,체크해주면,숨겨진 바탕화면 아이콘들이 모두 나타나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탕화면의 아이콘이 전체숨겨진 상태로 사용했을때 얻을수있는 장점인,첫번째:컴퓨터 바탕화면 배경그림을 지저분한 아이콘들이 없이 깨끗하게 볼수있으므로 시각적으로 좋다.두번째:바탕화면이 아이콘이 없으므로,부팅단계에서 조금더 빠른상태의 바탕화면 작업속도을 볼수가있다. 세번째:컴퓨터 상식을 모르는 사람들이 컴퓨터 인터넷작업을 못하게 할수가있다.

이런 장점을 가지고 사용하면서,바탕화면의 아이콘선택을 할수있게 해주는 기능이 위에 그림단계이다 컴퓨터바탕화면 맨아래 파란색줄이 작업표시줄이다.위에 그림처럼 작업표시줄 빈공간-마우스오른쪽버튼-도구모음-바탕화면에 체크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의 바탕화면에 지저분한 아이콘들이 나타나지않게하고,깔끔한 바탕화면을 유지한채 사용하면서도,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을 작업표시줄에 위치하게하여 위에그림처럼 사용할수가 있다.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는경우,컴퓨터 일반상식에 관심을 가진 사용자는 바탕화면 아이콘숨기기 장점을 활용하는것 이겠지만,잘 모르는 사용자인 경우는 컴퓨터를 켜더라도 인터넷작업을 할수있는 아이콘들이 모두 숨겨져있기에 바이러스나 기타 오류에의하여 발생한것이 아닌가하고 당황하게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간단한 상식과 저장해두고 싶은 그림 그리고 물속에 비친 웃기는 귀신(?)사진에대한 포스팅이다.


바탕화면에 있는 새폴더들이 아이콘은 꼭 정해진아이콘을 사용해야만하는것이아니라,자신이 보기좋고 기억하기좋은 아이콘들로 간단히 바꿔서 사용할수있다.


포스팅에 저장해두고싶은 그림은,원본그림은 별모양이 안좋았는데,색반전해보니,어두운바다위를 홀로 날아오르는 쪼메 좀 괞잖은 모습인거같아서 저장해둔다.



물속에 비친 치우천왕같은 도깨비사진은 내가보기에 그렇다는것이고^^;; 실제로 그렇게 보일지는 보는관점에 따라 다르게 보일것같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폴더의 아이콘들은 위에그림처럼 휴대폰모양이 아이콘들로 바꿔서 사용할수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폴더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속성-사용자지정-아이콘변경을 선택하여,새폴더속에 저장되어있는 파일자료들을 쉽게 기억하고,상징하는 아이콘을 선택하여,확인-적용-확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을 색반전해보면 참으로 허접한 그림인데,색반전상태에서 보여지는 그림은 거친파도와 흐린날씨를 이겨내고 창공으로 홀로 날아오르는 하얀새가 인상적인 모습으로 바뀌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사진은 처음봤을때 무슨형태인지 알수가 없었는데.뚜러지게 쳐다보다보니 아래의 사진형태처럼 보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눈,코,귀 입,머리카락을가진 괴물귀신같은 모습으로 보이지않는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