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진과 동영상이 들어있는 스마트폰에 사진과 동영상을 삭제뿐아니라 스마트폰 메모리 포멧까지 시행한후 과연 스마트폰에 사진과 동영상의 복구정도는 어떤수준까지 가능한지 포멧과정부터 복구과정까지 전단계를 진행해보니

삭제나 포멧같은 형식으로는 스마트폰에 들어있었던 음성이나 사진,동영상등이 손상됨이 없이 원래 그대로 복구가 되었다. 이결과는 사용하던 스마트폰을 삭제나 포멧등을 한이후에 중고폰으로 넘기더라도

그안에 자료들은 필요한 경우에 모두 원래대로 복구가 되어지기에 개인정보에 관련된 사진이나 동영상등이 의도치않게 유통되어질 가망성이 상당히 높음을 알수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먼저 생각해 두고 진행할 것

업그레이드하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 겔2의 운영체제를 한 번도 업그레이드 한 적이 없다면 시간은 2시간 이상 걸릴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갤2의 안드로이드 순정버전인 진저브레이드에서 아이스크림 그리고 젤리빈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아이스크림에서 젤리빈으로 1번만 업그레이드 해주는 갤2는 업그레이드 시간이 그만큼 짧게 끊나나 그렇지 않은 경우 진저브레이드에서 바로 젤리빈으로 업그레이드는 되지 않기에 자신의 휴대폰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버전이 진저브레이드로 표시되어 있다면 최소 2시간 이상 여유시간을 날 때 업그레이드를 진행해야 한다.

아래의 사진들을 통하여 일반적인 업그레이드 진행 단계를 알 수가 있는데 진행과정상 기억하면 좋은 것은 먼저 휴대폰과 컴퓨터를 USB선으로 연결한 후 kies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자동적으로 휴대폰과 연결시 업그레이드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버전이 있다면 있다는 메시지가 나타나기에 그 화면에서 업그레이드를 시작하면 된다.  

 

 

 

 

 

 

 

 

 

 

업그레이드 과정상에 같은 화면과 단계가 최대 3번 정도 반복된다고 아까 한 과정인데 하고 생각하지 말고 화면에 나온 단계대로 반복해서 실행해야 한다.

실행과정에서 백업부분에서 유의할게 자동동기화부분과 자동백업부분에 체크하고 진행과정을 진행 해줘야지 그렇지 않으면 내장메모리부족이라는 메시지창이 나오며 진행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나머지 잡다한 과정들은 화면에서 지시하는 대로 그대로 따라서 진행버튼을 진행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스마트폰의 공장초기화와 달리 스마트폰의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는 연락처, 사진, 음악 기타 사용하던 앱등 모든 것이 그래도 보존되면서

오류나 편리성에서 더 나은 사용 환경을 스마트폰에 제공하므로 kies프로그램과 연결시 업그레이드 버전이 있다는 메시지가 나온다면 항상, 절대적으로 분명하게 따라서 업그레이드를 하는 습관이 좋다.

갤2가 아니라 3.4.5 그리고 아이폰이든 그 어떤 회사의 스마트폰이든 공통에 해당하기에 업그레이드 할 운영체제가 있다는 메시지가 있다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xp처럼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시 또 돈을 내고 사서 업그레이드하라는 놀부 같은 심보가 아니라 무료로 업그레이드를 시켜주겠다는 것이기에

업그레이드를 받는 것은 일종의 혜택을 받는 것이다는 개념으로 새로 나온 것이 있다면 지금 사용이 잘되는 데 번거롭게 뭘 이라고 생각할게 아니라  업그레이드를 하면 혜택을 더 받는 기회라는 일반상식을 가져야 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컴퓨터 자판의 프린터스크린 키를 누르면 컴퓨터바탕하면을 스크린 샷으로 찍을 수 가 있다. 스마트폰의 키에도 이러한 기능이 있는데  

차이점은 컴퓨터의 자판키는 하나의 키이지만 스마트폰의 스크린 샷은 스마트폰의 홈키(정중앙키)와 전원 키를 동시에 누르면 스마트폰바탕화면이 캡처되어 갤러리에 저장되어진다.

 

또 하나 다른 점은 컴퓨터의 스크린 샷은 비엠피로 저장되지만 스마폰의 스크린 샷은 피엔지로 저장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학교나 회사 등 직장에 설치된 무선공유기를 통한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무료로 사용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나요? 

학교나 회사 등의 아이피들은 많은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니 일부러 고정아이피를 사용하는데 아이피를 부여받지 못한 컴퓨터들은 선이 연결되어도 수동으로 아이피 설정을 해주지 않으면 제대로 인터넷을 할 수가 없다.

아래 그림절차는 학교나 직장의 일반컴퓨터의 고정아이피의 주소와 기본게이트웨이 디엔에스를 어떻게 부여해 줬는지 찾을 수 있는 순서이다. 

예를 들어 아이피주소:192.168.0.2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0 기본게이트웨이는 192.168.0.1 DNS서버주소는 학교 같은 경우 KT를 사용한다면 168.126.63.1 보조DNS 168.126.68.2 이런 체계로 설정되는데

위에 절차과정을 들어가본후 거기에 써진 그대로 동영상의 스마트폰설정 화면절차 대로 따라 들어가 휴대폰의 고정아이피 선택 항목에 그대로 옮겨주면 되는데

 

 

단 아이피주소는 기존에 컴퓨터들에 부여되었던 것을 적어 넣으면 충돌이 생겨 두 개가 동시접속하면 어느 한쪽이 로그아웃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되므로

예를 든 아이피주소체계인 192.168.0.이후인 맨 마지막에 위치는 숫자를 멀찌감치 기존 회사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숫자를 고려하여 떨어진 숫자를 임의로 적어 넣어준다. 예를 들어 192.168.0.201처럼.......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겨울 애기배추는 영양가득, 어린이 감기예방 최고.......

 

 

                          같은 컵도 보는 방향에 따라 달라 보인다.

스마트폰에서 “서버와 안정적인 데이터 연결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올 때는 스마트폰의 날짜와 시간을 현재시작으로 설정하고 난후 다시 시도하면 정상적으로 진행이 된다.

공기계 스마트폰에서도 wifi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앱을 다운로드받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데 그 절차과정에서 위와 같은 메시지가 나온다면, 위에처럼 설정하고 다시 시도하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물에 담겨져 있는 시간이 10분 이내라면 핸드폰의 침수정도는 사진의 그림과 같은데 핸드폰의 모서리와 중간일부분이 약간 젖은 정도에 해당하고 액정이나 메인보드 등에는 침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가 있다. 10분 이내에 물속에 담겨져 있는 핸드폰이라면 사용가능하고 그 이후는 전체적으로 완전침수가 되기에 버려야 한다. 핸드폰이 물속에 들어갔을 때에는 10분 이내에 건져내면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그 이후에는 건져내봐야 오류나 이상 현상 등으로 사용보다는 폐기처분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더 좋다.

10분 이내에 건져낸 핸드폰이라면 제일 먼저 전원이 자동으로 꺼져 있을 것인데 이때에 제일 먼저 핸드폰에서 밧데리를 분리한 후 햇빛이 잘 비추고 바람이 통풍이 좋은 곳에 끈과 빨래 집게 등을 이용하여 3일정도 널어 둔다. 사용이 될까? 안될까? 이런 조급한 마음에 전원을 일시적으로 켜 본다든지 하는 행동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10분 이내에 물에 잠겨 던 핸드폰이라면 3일 정도 말리기만하면 99.999%가 정상 작동하기에 조급히 분해하거나 기타 서비스센터에 가져가서 수리를 받지 않더라도 정상적으로 전원이 켜지며 사용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