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의미
알로에는 가을이 꽃피는 시기이나 온난화의 영향인지 요즘에는 겨울에도 솔방울 같은 붉은빛의 꽃을 볼 수가 있다.
알로에는 9월을 상징하는 꽃이면서 꽃말이 “꽃도 잎새도” 였다. 알로에대하여 글을 적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 것은 알로에의 꽃말 때문인데
보통 꽃들의 꽃말은 들으면 이해하기 쉬운 간단한 의미의 사랑, 희망, 인내, 나를 잊지 말아요 등등인데 특이하게도 알로에의 꽃말은 들어도 뭔 의미인지도 모르는 상태인 “꽃도 잎새도” 이다.
알로에는 건강에 좋은 식물인 것은 널리 알려져 있어 다양한 건강식품과 화장품 등으로 만들어 진다.그러나 정확한 꽃말의 의미는 해설되어 져 있지가 않다. 이것의 의미를 알기위해서는 알로에 꽃을 본적이 없다면 이해할 수가 없다.
사진처럼 알로에 꽃은 소나무의 솔방울모양이면서 또한 소나무의 잎새와 같은 형태를 띠고 있다. 소나무는 늘 푸르러 지조의 상징으로 표현되는데 푸르른 부분은 소나무의 잎새인 솔잎이지 솔방울부분은 아니다.
소나무의 꽃이면서 열매인 솔방울과 솔잎은 별개이지만, 알로에의 꽃은 열매인 솔방울 모양이면서 소나무 솔잎처럼 잎새도 꽃에 일체로 붙어있다. 이것은 소나무처럼 열매와 잎새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지만
알로에는 열매와 잎새는 하나이며 푸른 게 아닌 붉음을 의미하기에 삶과 죽음, 고난과행복의 양쪽 면이 하나가 되려면 피의 대가나 어려움의 대가의 과정을 거쳐야함을 의미하는 소나무가 지조를 상징한다면
알로에 꽃은 극한에 다다를 만큼의 어떠한 어려움일지라도 이겨내고 반드시 성취를 이루어 낸다는 태양의 붉음을 의미하는 불굴의 의지를 상징한다.
그러므로 알로에 꽃말이 무엇인가라고 했을 “꽃도 잎새도”라는 모호한 개념을 알고 있을게 아니라, 알로에의 꽃말은 양극단을 극복하는 불굴의 의지라고 말해주면 알맞은 상식에 해당한다.
진급이나 기타 시험공부 등을 할 경우에 방안에 넣어두며 합격을 도와주는 생물과 식물이 금붕어나 알로에를 포함하는 선인장종류가 월등이 우수함은
금붕어와 알로에는 그자체가 긍정적 에너지를 상호작용하게 하여 합격에 도움을 주는 특이한 생물들에 해당하기 때문인데 알로에하면 불굴의 의지를 떠오르면 가장 올바른 꽃말에 합치되는 개념이다.
벚꽃과 여자의 공통점 7가지
1.날리울때는 "바람"이 분다.
2.필때 관심받고,지면 무덤덤하다
3.눈처럼 하얌을 지향한다.
4.사랑에 두려움이 없다.
5.밤에 더 아름답다.
6.가까이 다가갈수록 모양이 똑같다.
7.보는게 좋다.
블로거의 두번째 로망,일반뉴스로 자신의 블로그글이 나오는것,첫경험의 로망두 이루어졌습니다.
감사하구,기쁩니다.토끼의 모토가아닌,거북이모토로 꾸준히 블로그활동을하면,누구에게나 기회는
주어지는곳이 블로그라는것을 보여주고있습니다.
일반인들두 얼마든지,꾸준히 블로그를 운영한다면,저처럼 뉴스란에두 자신의 블로그글이 소개가될수있구,
첫경험의 기쁨두 얻을수있다는것입니다.
지금까지 kungmi의 두번째 로망,일반뉴스란에 자신의글 기사화되기에대한 첫경험으로 대대손손(?)
전하고픈 가문의 영광인 기록이었습니다(^^*)
어려을적 읽었던, 황순원의 소나기에 나오는 글내용이 떠오른다.
머슴아가 무우를 뽑아서 윤초시네의 손녀딸에게 주고
맛있게 먹다가,여자애가 맛이 없다구 무슨맛으로 먹냐구
무우를 던져버리자,머슴아두 따라서 "맞아,맛이없는듯이"
던져버리는 장면이 나온다.
이 장면에서 생각했던게, 사내애가 진짜루 맛이
없어서 무우를 던져버렸다는 뉘앙스가 느껴지지
않았다.
윤초시네 손녀딸은 자라온 환경이 머슴애와는
달라기에,무우보다,자두나복숭아가 더 익숙한 환경
이었는지도 모른다.
사내애는 맨날 배고플때는 무우라도,맛있게
먹을수 있음에 감사하는 삶을 살았을수도 있다.
그러나 어린 사내애지만 사랑한다는것,좋아한다는
것의 의미를 가지구 있었다구 느껴졌다.
사랑의 의미는 단순하게 보면,나의 입장이 불쌍하니
너의 입장두 나의 불쌍한기준에 따라오라구 하는게 아니라,
나의 입장은 불쌍해두,너의 입장을 이해주겠다는 자세이다.
설혹,엉뚱하구,뚱딴지같구,바보같은 행동이나,
의견을 보일지라두," 넌 생각하는게 왜 그모양이냐"
"배불러 자빠진소리하네" 이런말보다,대갈박 잘굴려가지구,
자신두 상대방처럼 바보두돼보구,맞아,맛이없네(진짜루 맛있더래두^^;;)
우리나라의 고전에 부모님의 생신날 즐겁게 하기위하여
60넘은 아들과 며느리가 아기들이 입는 색동저고리를
입구 애처럼 춤을 췄다는 이야기두 있다.
자신에게 소중한 사람이구,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남을 의식해서
색동옷입구,아이처럼 춤추는 바보같은 모습을 보이진 못해두,
"그래,나두 그렇게 생각해" 말이라두 맞짱구 쳐주자.
사랑하는 상대방이 얼빵하거나,바보같은 의견을
보일지라두 사랑한다면? "무우를 같이 던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