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가 풀을 뜯어 먹는 것을 본적은 있어도 새가 풀을 뜯어 먹는 것은 본적이 없는데 새도 벌레같은 곤충만을 먹는게 아니라 가끔은 풀을 뜯어먹는 생물임을 사진과 영상을 통하여 확인 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봄이 짝짓기의 계절이라는 것은 인간만이 아니라 곤충이나 벌레들이 주변에서 짝짓기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수가 있기에 자연의 순리임을 알수가 있다.

 

 

 

 

 

인간은 다른 동식물과 다르게 365일 짝짓기가 가능하지만 일반 동식물에 공통적인 짝짓기의  계절은 봄이고 그러한 영향을 인간도 다른 계절에 비하여 더 높게 느끼기에 봄에 결혼을 하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중에 하나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생활속에서 여름처녀,가을처녀,겨울처녀는 일상적인 느낌으로 사용되지 않는데 봄처녀는 일상적인 단어로 인식이 되는 것도 감성적으로 봄은 다른 계절에 비하여 본능이 더 살아나는 계절로 조물주가 만들었음을 느낄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흙과 돌을 불연재로 불에 타지 않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로 실험해보면 흙과 돌도 일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연기가 나면서 타버린다.

용광로 같은 고로가 아니더라도 주위에서 쉽게 그러한가 활용할 수 있는 것이 돋보기인데 이것을 통하여 햇빛의 초점을 정확하게 모으면 1-2초내에 연기나 나면서 타버리는것을 볼 수 있는데

돋보기의 초점을 모아 가장 잘 타는 종이를 불이 붙게 하려면 초점이 온도가 최소 250도 이상이 되어야하는 것이기에 돋보기로 모아지는 초점이 온도가 별거 아니라고 생각한다면  착각이다.  

 

 

실험으로 햇빛아래에서 돋보기의 초점을 모아 개미, 벌레, 거미등과 같은 것을 맞춘 순간 첫 번째 반응은 엄청난 초점의 빛세기에 실명이 된 듯 동작이 우왕좌왕 하더니  

 

 

돋보기 초점이 1-2초 지속되는 순간 퍽~소리가 나더니 더 이상 미동하지 않고 저세상으로 가버렸다. 얼마나 돋보기 초점의 온도가 뜨거웠으면 그렇게 작은 벌레들도 일괄적으로 인간이 귀에 퍽~ 하는 소리를 내게 하는지 따져 보면

일상생활에서 일반인이 갑자기 최고의 순간온도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도구를 찾는다면 돋보기 초점만한 것이 없음을 알 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구더기를 잡아먹는 곤충은 존재할까? 조류가 구더기를 잡아먹는것을 종종 볼수가 있다.곤충도 구더기를 잡아먹을까? 벌레의 종류나 이름은 알수가 없지만,곤충도 구더기를 잡아먹는것을 영상으로 확인 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