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응달과 햇빛이 교차하는 지점에 물줄기를 뿌려주면 무지개를 쉽게 만들어 낼수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가 영리하면 개줄을 스스로 풀수가 있을까? 개의 목에 맞게 둥글게 잘 매어두었는데

개가 종종 스스로 개줄을 풀고 돌아다니는것을 보았다.

개줄을 물어 뜯어서 풀려진것도아니고,동그랑땡 개줄 모양만이 덩그러니 남겨진채 개가 머리만 쏘옥빼어 내어 돌아다닌다.


개의 목크기에 맞게 개줄단계를 조절해서 묶어놓았고 개의 머리가 확실히 개의 목부분보다 더큰데,어떻게 빠져 나오는 것일까?


개가 앞발을 이용하여 사람처럼 모자를 벗듯이 밀어내어서 벗기는지,아니면 개가 마법으로 머리를 축소해서 빠져 나오는 것인지 그 순간을 본적이 없어서 알수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가  개줄에 묶어놓으면 머리만 쏘옥빼내는 습관을  교정시켜야 할텐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촛불켜고 기도하면 해결방법이 떠오르지 않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인이 묶어놓았을때 제멋대로 개가 목줄을 풀고 돌아 다니는 습관을 고치기위하여 떠오른 방법

첫번째:잘못된 습관에는 몽둥이가 약이다.그런모습을 보일때마다 매를 든다 (나 삐뚤어 질거야~)
두번째:개가 숨쉬기 곤란할 정도로 개줄을 아주 꽉조여 버린다(개버릇 고치려다 죽을수도~)
세번째:
개머리를 좀더 크게 만들기위하여 겨울벙거지 모자를 씌워둔다.(벙거지는 못벗길까?)

                                            촛불키고 떠오른 생각은 모두 "꽝"

덧에 걸린 동물은 다리에 걸려도 못빠져 나온다는데,개줄에 걸린 개는 어떻게 개머리보다 작은 개줄구멍을 쉽게 빠져오는지 촛불이 곡할 노릇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연히 절에서 나눠준 달력을 보다가 일주일을 나타내는 요일마다  불교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붙어있었다.



올해 달력만 그런것인가하고,지난해 달력도 살펴봤더니 요일마다 똑같은 단어가 붙어있었다.



월요일은 보시,화요일은 지계,수요일은 인욕,목요일은 정진,금요일은 선정,토요일은 지혜,일요일은 만행이었다.



불교가 나타내는 일주일에 요일마다 표현되어진 단어가 가지는 의미는 어떤것일까? 그것에 관련된 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월요일:보시:남에게 댓가를 바라지않고 베푸는 날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화요일:지계:계율을 지키는 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요일:인욕:욕되는것을 참는 날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목요일:정진:삶에대하여 생각해 보는 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금요일:선정:마음의 흐트러짐을 경계하는 날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토요일:지혜:옳고,그름을 가려내는 마음의 자세를 가지는 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요일:만행:자비심을 가지고 행하는 수행의 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프로그램을 사용하다 숨겨진 그림을 우연히 보았다.무엇일까? 이리보고,저리봐도 알수가없었다.


컴퓨터오류로인한 현상일수도있고,프로그램자체의 로딩속도에 영향에따라 숨겨진그림이 나타난것일수도있고,아무튼 평소에는 못보던 현상이기에,기록해둔다,


여러각도에서 무슨그림인지 알아내기위하여 살펴봤다.,하나의 그림이 아래그림들처럼 전혀 다르게 보일수도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바위덩어리같기도하고,가오리가 헤엄쳐다니는것같기도하고,우주속의 한장면 같기도하고,아무튼,저 그림이 나온곳은,그림이 나와야할 부분이아니라,프로그램의 정렬패널이기에,그림의 위치조정항목이 나와야할 부분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프로그램의 패널부분들중에 특정패널이 그림모양으로 나타났다.일부러 만든그림이 아니라,특이한 현상으로 나타난것이기에,저 그림이 정체가 뭘까? 여러각도에서 바라다봤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같은그림을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니,무슨 코드암호같기도하고,벽돌을 쌓아놓은것같기도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검은공간의 부분이 무엇인지 보기위하여,층으로 놓아보았지만,무엇을상징하는 그림인지는 알수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회색부분을 확대.변형해보니 무지개같기도하고,우주의 행성간의 띠구름 같기도하다.어째든 같은그림인데도,다양한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들은 일반인이 보거나,잘알수없는,자신만이 알수있는표시를 프로그램안에 넣어두는 경우가 많다.저 그림이 정체를 아시는분 있으세요? 혹시 귀신이 그린 그림(?)^^;;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지개는 빨,주,노,초,파,남,보 7가지색이지만,빨강,파랑,노랑 3가지색만있으면 칼라의 모든색을 만들어낼수가있습니다.미련한사람은 빨강,파랑,노랑 3가지을가지구있으면서두,7가지색을가진사람을 부러워합니다.

모든색깔을 만들수있는 색을자신이 가지구있음에두,숫자상의 차이가 다를뿐,자신은 무지개색 모두를만들어낼수있수있음을 생각치못합니다.

색깔의숫자는 단지 눈에보이는 갯수일뿐이구.신은 인간마다 갯수를 다르게주었을지라두,공통적으로 모든것을 이루어낼수있는 기본색깔은 누구에게나 다주었습니다.




창밖으로 나가 밤하늘을 바라봐보세요.까마득히 먼곳에 별들이 각양각색의 빛을 내며 밤하늘을 반짝입니다.
거대한 지구만큼한 무수한별들조차 내가바라볼때는 아주자그많게보이는데,별이 꺼구로 나를 내려본다면
바닷가의 모래알만큼의 흔적두 안보일것입니다.


내일은 어버이날입니다.요즘에는 조화로 만들어진 카네이션보다,생화를 화분에 담은 카네이션들두 많이팔구있었습니다.
집에 사온 어버이날에 사용할 2개의 카네이션화분을 핸드폰카메라루 찍어봤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일하루만큼은,아무리 위대한일을 하시는분이건,가장하찮은 일을하시는분들이건 상관없이,바쁘다느니,어쩌구하지들마시구 ,부모님의사랑에대해 잠시시간을 내서라두,감사의 마음인 카네이션를 달아드립시다.밤하늘의 별이든,바쁜일이든 자신이 살아가는한은 언제든지 볼수있지만,부모님의 존재는 그렇지않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옆의 그림을 5분정도 중심점을 계속보구있으면,자기두 모르는사이에 최면이 걸리게된다.밤에 잠이안오는분인경우,이그림의 중앙점을 응시하면 5분이내에 잠이들게된다.

최면은 과학이라구볼수도없구,그렇다구 과학이라구 안할수도없는분야로서,일반사람들이 가지구있는시각은 보여지는 대상의 변화에 집중했을경우는 자신의지와는 상관없이 몽환적상태로 바쪄들게되는데 이것은 사람의 정신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져있다.

옆의 그림을 5분동안 응시하구두,묘한기분과 잠이
오지않는다면,대단한 시각적능력과 정신력을 가지구있다구 볼수가있다.




최면에 쓰이는 무지개7가지색과,일정한비율로 고정으로 움직이는 물체의 이동을만들면,최적의 가수면
상태로 만들어진다는 이론에따라 만들어보았다.실제루 중심점을 5분정도계속 응시한결과,뭔지모를 몽환적
분위기상태에서,잠에빠져들었다.



사람의 뇌는,일정부분에 생각을 집중하여 시각화되었을경우,사람의 팔이나 다리를 칼로 무마취상태로
수술을해두,고통을느낄수가 없다구한다
.어떤생각에 골몰하거나,어떤대상에 집중했을경우는,주위의변화나
움직을 인식하지못할뿐아니라,고통에대한 반응두 무감각해진다구한다.이러한 사실은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최면술만으로도  무마취로 정형외과수술을하구,생각이 집중화로 인하여 눈이 시각화범위가 고정되어,
주위에대한 변화를 전혀인식하지못하게된다구한다.



일반적인 생활에서두 이런현상은 볼수있는데,무엇인가에 골똘한사람에게는,다른사람에게 잘들리는
소리나,시각을 전혀인지하지못하구,주위환경에 반응하지못하는 상태가되어,대갈박을 한대 때려줘야
그때서야,어머나~ 깜짝이야하면서,주위에 상황변화를 인식하게되는 상태가된다.뭔 생각을 하구있었는데
사람이 나가구,오는것두 몰랐냐?등등,눈을 똑바루 뜨구있었다구하드라두,뇌에 어떤부분에대한 생각이
골똘한 사람에게는,전체적인 주위상황을 눈뜨구도,인지하지못하는 상태가된다는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밤에 잠이안오거나,숙면을 취하고싶은사람은,위에 움직이는 그림을 5분간 중앙점을 뚜렷하게 응시해보길바란다.눈꺼풀이 저절로 감기어 잠에빠져들게 될것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