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모리에 대한 일반상식입니다.컴퓨터의 부품인 메모리는 sd램이라구 불리는것두있구,ddr,ddr2등의
일반적인 컴퓨터부품에 사용되는 이런 메모리말구두 다양한 메모리종류가있습니다.
일반적인 컴퓨터에 사용되는 메모리에대한 상식입니다.

256mb,512mb,1g,2g,4g 이처럼 배수로 올라가는 메모리용량표시들옆에는 pc100,133,1600,2100
,2700,3200,4200,5300,6400
등의 pc라는 표시두 함께표시되어있습니다.

pc100,pc133으로 표시되는것은 sd램이구,pc1600-3200까지 표시된것은 ddr램이구,pc4200-6400까지
표시된것은 ddr2 메모리입니다.

여기서 sd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던램이 ddr로 넘어가면서,메모리의 실제속도(쿨럭)을 표시한게아니라
실제속도와 정보처리량을 곱하기하는 방식으로 표기하므로인하여,pc100,pc133,pc200,pc266,pc333,
pc400,pc533,pc666,pc800으로 표기되어야 정상인데,
pc200부터는 곱하기 8을하여 pc1600 이렇게
표시하면서,sd램과 ddr램의 표시방법이 천단위로 넘어가게되어집니다.

메모리의 실제속도는 그러므로 pc1600은 ddr200,pc2100은 ddr266,pc2700은 ddr333,pc3200은 ddr400
등과같은 의미의 표시입니다.

컴퓨터 정보처리의 최소단위는 bit이구 8bit가 모이면 1byte가 됩니다.xp운영체제가 32bit운영체제이구
윈도우비스타 종류중에 64bit를 지원하는것두있습니다.

ddr램은 64비트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므로,이것은 64비트는 8byte이기에,ddr램은 64비트처리방식
이다라는것을 강조하기위하여,메모리의 실제속도를 표시한게아니라,곱하기 8을하여,뭐가 뭔지
모를 메모리용량옆에 부가하여 pc라는 요상한 표시를 하게됩니다.그러므로 메모리용량옆에
ddr400이라구 표현된것은 메모리에 실제속도를 정확하게표시한것이며,pc3200이라구 표시되어
있다면,실제속도인 400곱하기 ddr램이 64비트정보처리를한다는것을 강조한 8byte를 곱하여
표시된것이므로,ddr400mhz=ddr pc3200과 같은의미표시입니다.

이러한 제조사들의 용량표시방법은,뭔특별한 의미가있는게아니라,편리할대루,강조하고픈
것을 이용한다는것을 할수있는데,이러한것은 메모리의 속도표시뿐만아니라,하드용량표시에두
이런 짓을합니다.1024mb=1giga입니다.그러나 예를 들어 150기가의 하드를 사서 컴퓨터에 사용해보면
142정도로 표시되는데,8기가정도가 사라져표시되는것을 볼수가있습니다.이것은 이론상의
1024mb=1giga아니라,1기가 1,000mb로 제조회사들이 하드를 만들기에 1가에 대략 24mb가
적어짐을 알수가있기에,이러한 하드에 표시된용량과 실제표기하드의 용량이 다르게 됩니다.



자신의 사용하는 컴퓨터의 메모리가 어떤메모리인지 알아야 업그레이드를 시키거나 추가하여
사용할수있는데 이경우,sd램, ddr,ddr2는 각자 서로가 호환이 안되기에,정확이 사용하는 메모리를
알구 구입해야합니다.또한 메모리용량인 512mb옆에 표시되는 pc100-6400까지의 의미를 알면
자신의 메모리가 sd램인지,ddr램인지,ddr2인지 이론상으로 구분할수가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메모리용량옆에 표시되는,pc는 같은종류의 메모리라면,속도가 다른 메모리를
함께사용하면 낮은쿨럭과 동기화되어움직입니다.그러나 간혹 아예 pc표시가 다르면,같은
메모리종류라구해두,메인보드가 인식하지 못하는경우도있습니다.

메모리용량옆에 표시되는 pc표시는,컴퓨터의 cpu의 fsb속도와 동기화되게 맞춰추면 최적의
속도를 내는 컴퓨터가 될수있다는 이론상의 논리두있습니다.그러나  그같은 이론상효과가
실제컴퓨터 사용자가  체감할수있는 차이를 느낄수냐햐면 그렇지는 않기에 메모리의 pc
표시가 cpu의 fsb속도와 다르다해두,구지 맟춰서 사용해주려고할필요는 없습니다.

어찌되었든 메모리의 종류와 pc표시의 의미정도는 일반상식적으로 알아둬야하며,
그래야 자신의 컴퓨터의 메모리업그레이할경우 뚱단지같은 메모리나 인식안돼는 메모리를
구입하는 오류를 줄일수가 있습니다.

자신의 컴퓨터의 메모리종류가 어떤것인지 알구싶은때는,직접 컴퓨터를 분해해서
램을 꺼내서 보는 노가다방식두있겠지만,메모리는 기본적으로 메인보드의 메모리 슬롯이 
지원하는 메모리만 사용가능한것이므로,메인보드명을 찾아 지원하는 메모리슬롯이 어떤것인지
보면,자신의 컴퓨터가 어떤 메모리를 장착하구 사용하구있는지,알수가있습니다.

메인보드의 슬롯이 꼭 어떤램만을 지원하는게아니라,슬롯이 sd램슬롯두있구,ddr램슬롯두있구
이처럼 슬롯이 동시에 여러가지램을 사용할수있게,슬롯이 장착되어 만들어진 메인보드들두있습니다.

그러므로,다른종류의 램끼리 호환이 안된다구해서,자신의 컴퓨터는 특정 메모리만 사용할수
있는게아니라,메인보드슬롯이 지원한다면,이종의 메모리라두 사용할수가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모리의 종류는 SDRAM,DDR,DDR2와
노트북용 메모리가 있다.

RD램이나,플래쉬램등등은 일반가정의
컴퓨터에서 범용으로 이용자가 사용할수있는
메모리가 아니라므로,알필요는 없습니다.
RD램으로 만들어진 컴퓨터두 있으나,아주
구형컴퓨터에 극히일부에만 존재합니다.

위에 그림에서처럼,노트북용메모리는
일반컴퓨터에 장착되는 메모리의 크기의
절반정도하구,
노트북메모리두,SDRAM,DDR,
DDR2로 나눠지겠지만,크기는 일반컴퓨터의
절반정도크기이므로,일반컴퓨터의 메모리와는
호환될수없는것은 당연하겠구요.

메모리는 메인보드가 겸용으로 SDRAM,DDR램을
다 사용할수있는 메인보드라구할지라두,어느
하나의 램만 끼워서사용할수있는것이지,SDRAM,DDR램을
두개혼용해서 사용할수는 없습니다.

하드의 경우는 SATA1,SATA2하드는 서로호환이되어
아무것이나 사다가 사용할수있지만

메모리는 DDR,DDR2는 서로 호환이 안되므로
자신의 메인보드에 맞는 메모리를 사다가 업그레이드를
해줘야합니다.또한 메모리는 이종의 종류의 메모리와는
같이 사용할수가 없습니다.

메모리는 DDR,DDR2는 위에 그림에서처럼 메모리에 붙어
있는 종이에 DDR,DDR2를 확실하게 구별하여 적어놓구
메모리용량두 함께 표기되어져 있습니다.

SDRAM메모리인 경우는 메모리의 용량은 적어놓지
않기에,구별법은 KMM366S823CTS 이렇게 표시되어
져있다면,S뒤의 숫자 8의 배수인경우는 두자리수
8의 배수가 아닌수는 한자리수만을 가지구 곱하기
8를 해주면,SDRAM의 메모리용량을 알수가 있습니다.

위에 경우는 82는 8의 배수는 아니므로,한자리수 8
에 곱하기 8를 하면 64MB의 메모리임을 알수가 있습니다.

M464S3254 CTS 이렇게 표시되어져 있다면
S뒤에 32는 8의 배수이므로,두자리수에 곱하기 8를
하므로 32곱하기 8하면 256MB의 메모리임을 알수가 있습니다.

요즘의 신형컴퓨터에 나오는 메모리는 모두 DDR2이며,
2-3년전의 모델이면,DDR메모리며
,5년이상 지난 컴퓨터인
경우는 SDRAM메모리를 사용하는 컴퓨터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자신의 컴퓨터의 메모리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은
시작-실행-DXDIAG-확인하면 자신의 컴퓨터의 메모리용량과
자신의 컴퓨터의 CPU용량과,다이렉트X버전을 모두 확인할수
가있습니다.

누군가 메모리를 512MB에서 1GB로 업그레이드를
해줬다구 돈을 받아갔다면,진짜 메모리가 업그레이드 된건지,
확인은 해봐야겠죠,

또한 자신의 메모리를 사다가 업그레이드를
직접했다구해도,메모리가 슬롯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었을
경우,메모리는 정상작동을 안하는경우가 있으므로,정상적으로
메모리가 작동하는지 메모리용량은 꼭확인해 봐야겠죠?(づ ̄ ³ ̄)づ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