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여름철 컴퓨터는 시피유의 사용량 %인지에 따라 인터넷작업 속도의 차이가 나타내는데 시피유 사용량이 높을수록 컴퓨터의 반응속도가 느려지는 것은 당연하다.

똑 같은 작업환경에서 단지 인터넷 창을 열었을 때 cpu사용률의 변화를 인터넷창의 기본 시작페이지를 네이버, 네이트, 다음, 구글 순으로 설정하여 테스트해 보았는데 아래의 그림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네이버 시피유 사용률 패턴

 

 

                                    네이트 시피유 사용률 패턴

 

 

                                            다음 시피유 사용률 패턴

 

 

                                      구글 시피유 사용률 패턴

 

인터넷 창을 처음 열었을 때 시피유의 순간 점유율이 가장 높은 순위 시작페이지는 네이버=다음-네이트-구글 순이었는데 이 말은 인터넷 창을 열었을 때 가장 빠른 속도로 사용할 수 있는 시작페이지는 구글로 정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빠름을 알 수가 있고 네이버와 다음이 처음 인터넷 창을 열 때 순간 cpu사용량이 높은 것은 순위를 가리지 못할 정도로 비슷하게 높은데,

그 이후의 시피유점유율이 계속 높은 상태가 좀더 다음이 유지되는 시간이 높았기에 네이버가 다음에 비하여 약간 더 우수한 시작페이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시작페이지를 무엇으로 해놓았든 즐겨찾기에 검색포탈을 여러 개 추가해서 필요할 때 열어서 보면 불편할것이 없기에 시작페이지는 인터넷 창을 처음 열었을 때 가장 빠릿빠릿하게 반응하는 시피유 사용률이 낮은 검색포탈로 시작페이지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현명한 여름철 컴퓨터사용습관이 된다는 것이다.

시피유 사용률이 높으면 그에 비례하여 컴퓨터의 인터넷 작업속도가 느려지고, 결과적으로 뉴스나 기타 페이지를 찾아서 볼 때 좀더 느리게 페이지게 열리는 경험을 자주하게 된다는 의미이고, 특히 여름철에는 공기가 덥기에 시피유 사용률에 더 민감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것을 무시하고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즉, 자신의 컴퓨터가 요즘에 나오는 성능 좋은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다면 별차이가 없겠고, 4-5년전의 컴퓨터를 지금도 사용하는 사람들이라면 참조해서 시작페이지를 바꿔서 사용해보는 것도 인터넷 창이 빠르게 반응하는 좋은 결과를 나타내준다는 의미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네이버

 

                                                      네이트

 

                                                        다음

 

                                            일반모니터화면

 

왜 모니터 선을 RGB라고 불렀었는지 알 수가 있게 아주 세밀하게 확대해보면 모니터에 보이는 모든 물체가 빨강, 녹색, 파랑색만이 남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현미경 수준으로 찍은 이 모니터의 사진을 계속 뚜러지게 쳐다 보면 신기한 현상이 있음을 눈으로 느낄 수가 있다. 자세히 바라보면 정지된 사진인데 첫눈에 팍 들어왔던 빨강.녹색.파랑줄보다는 검은 줄이 찐해졌다 흐맀해졌다하는 검은 선이 움직이는 듯 한 환상에 빠져들게 된다. 그러한 느낌이 들때 중지해야지 계속 들여다보다 머리가 헤가닥하는 무슨 일(?)이 생긴다면 그것은 계속 뚜러지게 본 사람의 책임임.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안 로그인이 더 좋은 것 이라면,사용자의 의사에 상관없이 항상 보안 로그인으로 되면 될텐데..왜 선택사항으로 해놓았을까요?


은행이나 증권등의 금융거래를 할때 처럼 금전이 움직이는 경우,정보를 입력하기 전에 먼저 키보드 보안이나,설치모듈을 깔게 하고 그것이 먼저 작동한 후에라야 기타작업을 할수 있도록 합니다. 이 경우 지체 되는 시간이 좀 걸리게 됩니다.

이처럼 귀찮은 단계의 진행되기가 덧 붙여지기에 보안로그인은 선택사항이 되는 것 입니다.로그인보안은 은행거래처럼 키보드보안이나 이런 형식의 모듈을 먼저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로그인되는 ip기준으로 보안단계가 설정되므로,예를들어 보안수준을 높인다면,서울에서 사용하던 사용자가,갑자기 출장으로 부산에서 이메일 로그인을 하면,보안이 적용 되었을 경우는 아예 로그인이 안돼는 황당한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그렇기에 로그인 보안선택은,사용자가 선택해서 사용할수있게 하는것이 더 현명하기에 그렇게하는 것입니다.

보안 1단계,보안 2단계,보안 3단계 이처럼,로그인 보안단계를 설정하는 것은 ip동일성여부를 가지고,보안이 적용되기에,대역이나 거리가 전혀 다른곳에서 로그인을 시도하려는 경우는 아이피가 전혀 다르기에 로그인을 할수 없도록 보안이 가동 되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