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의 액자나 칠판등의 모습을 어떻게 만들어 낼까? 사진이 있다면 테두리선에
 

 만들어진 그림이나 기타 고유한 문양을 넣어서  자신만의 액자를 만들어 보자.


기존의 사진에 테두리를 어떻게 활용하여 액자를 만들수 있는지


그과정에 대하여 아래의 그림을 통하여 쉽게 배울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를 드는 이러한 배경그림이나 사진이 있을경우 사진과배경위에 액자느낌을 만들어 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먼저 그림판에 배경이되는 사진을 열어서 불러온후,ctrl+a를 하면,그림판의 그림이 점선으로 선택되어진 모양으로 변한다.이때에 다시 ctrl+c를 해서 그림을 복사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ctrl+n을 해주면,새로운 작업창이 나타나는데,나타나는 작업창에 크기는 이전에 열어줬던 그림이나 사진의 크기와 일치되는 창인데,이곳에서 폭과 높이를 대략 30픽셀정도 추가하여 승인을 해주면,넓어진 폭과 높이만큼 사진의 테두리를 만들어내는 액자의 부분이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구모음판에서 불꽃놀이봉처럼 생긴 자동선택도구를 선택한후,새로운창에 30픽셀정도 늘어난 여백을 선택해주면 그부부만 점선으로 변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점선으로 변한부분에 페인트통 도구를 선택한후 임의의 색상으로 채워준다.여기서는 회색으로 채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필터-스케치효과-분필과 목탄을 적용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칠판의 모양을 가진 액자사진이 간단하게 만들어 짐을 알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밤하늘의 별을 가장 쉽게 그리는 방법은 무엇일까? 손으로 그려도 되겠지만,자동으로 별을 그려주는 기능을 알고있다면

간단하게 어두운 밤하늘에 빛나는 별들을 표현해 줄수가 있다.


별을 그리고 표현하는 방법은 수많이 있고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여기서는 가장쉽게 그릴수있는 방법에 대한 상식글이며,

아래의 그림을 통하여 별을 어떻게 그리고 활용할수있는지에 대하여 알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판의 사각형도구를 선택하여 마우스왼쪽을 누르고 있으면 위에처럼 세부항목으로 다각형 별도구가 나타나고 이것을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밑에 나타나는 그림의 속성에서  옵션을 선택하면 도구설정이 나타난다.여기서 스타일을 선택하고,변의수는 별은 오각형으로 표현되지만 사실은 별은 오각형이 아니라 원뿐이다.별빛이 빛날때 몇개의 빛으로 할것인지 여기서 선택해준다.별의 끝점크기는 별빛의 빛나는 넓이의 크기이므로 작을수록좋고 0.1부터 정해줄수있다.두가지를 정해준후 확인을 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 그림판에 마우스를 올려놓고 그리면 자동으로 마우스가 원을 그리는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별빛의 빛나는 모습을 만들어준다.


                     별빛을 만든다면  다양한 그림의 상황에서 별빛을 가져다가 활용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이나 글씨 사진등의 특정부분에 깨알같은 글자를 쉽게 채워넣는 방법에대한 상식글입니다.


글자를 하나씩 적어서 특정부분에 수많은 글씨를 넣을수도있지만,그러한것은 많은시간이 소비되기에,간단히 마우스선택만으로 만들어낼수가 있습니다.

특정부분에 이러한 채움은
글자뿐만아니라,다른 사진이나 그림을 채워넣을수도 있습니다.

그림이나 사진속에 특정이미지를 채워넣는 방법에대하여 그림으로 한번 보는것만으로도  간단히 누구나 쉽게 할수가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먼저 그림이나 사진의 특정부분에 채워줄 글자나 모양 그림을 만들어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만들어준 글자그림을 불러오기를해준 위에 그림처럼 자신이 채워놓고자하는 부분을 만들어줍니다.여기서는
영어글자인 mi속에 글자나그림을 집어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쓰여진 글자부분을 선택한후 수정-분리를 선택해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자그림을 채워넣을 부분을 먼저 선택해준후 위에그림처럼 페인트통도구표시옆에 비트맵을 선택해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쓰여진 글자속에 특정이미지가 간단히 채워짐을 알수가 있습니다.마찬가지로 채워줄 다른부분도 먼저 선택한후,페인트통도구표시옆의  비트맵을 선택한후 페인트통도구표시를 선택하여 채워넣어주면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완성된그림을 비교해보면,어떤내용의 상식인지를 쉽게 이해할수가있겠고,특정글자나,그림,사진부분에,글자나 이미지를 간단히 집어넣어 활용할수있음을 알수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옆에그림처럼,어떤그림한장이 있을경우,눈,코,입등이 움직임을 나타내려는경우,여러가지 그림이 있어야하는것이아니라,한장의 그림만이있으면,다양한형태의 움직임을 만들어낼수가있다.


그림한장,한장을 따로그려서 합치는게아니라,움직일부분을 이용하여,모습을 만들어낼수가있다.


그림이 아니더라두,사진일경우라두 마찬가지루 한장의 사진만있다면,눈웃음하는모양이라든지 얼굴이 모든부분을 움직이는
자연스러운형태를 만들어낼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먼저 위에그림에서처럼 한장의 사진을 선택한후,수정-분리항목을 선택한후,올가미처럼생긴 올가미툴을 선택한후 아래항목에서 불꽃모양과 네모난줄모양을 동시에선택해준후,움직일부분이 눈모양이면 눈부위를 선을
따라 오려내준후 오려져 선택되어진부분을 마우스오른쪽선택항목에서 복사를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파일-새로만들기항목을 선택하여 새로운 스테이지를 만들어준후,나온 스테이지에
오려내어서 복사해준 눈부분을 붙여넣기해준후,오른쪽선택툴의 네모난부분을 선택하면 자유변형할수
있게 눈의 크기를 적당하게 만들어낸후,복사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 맨처음의 스테이지로 돌아온후,레이어상의 프레임란에 일정구간을 원본사진프레임을
만들어준후,다음에 나올프레임에 키프레임삽입항목을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키프레임이들어간 프레임상태의 스테이지사진화면에서 위에 다른스테이지에서 작업한 눈모양복사한것을
붙여넣기해주면 위에그림처럼 겹쳐서나타나게된다.이상하게 남아있는부분을 정리해주기위해서는 오른쪽
선택툴에서 화살표를 선택해준후,스테이지상에 그림에 마우스를 가져가면,정리해줘야할부분에서 마우스
이동하다보면 모양이 반동그라미나 모서리부분을나타내는 형태로 변할때가있는데,그상태에서
마우스를
드래그해주면
주변의 피부색으로 지저분하게보여지는 정리안된부분을 덮어줄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 다정리되어진 눈부위를 복사한후,왼쪽눈이 만들어진것이므로,이것을 이용하여 다시
오른쪽
눈으로 활용해야하므로
,왼쪽눈을 복사한후,복사되어진 부분을 붙여넣기해준후 수정-변형-수평뒤집기
하면 왼쪽눈이 오른쪽눈형태로 변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만들어진 눈은 다양한 형태로 네모난모양을 선택한후 움직여주면 변하게된다.눈이 움직임을 변하시켜준후,프레임상에서 변화된 프레임을 늘려준후 다시 키프레임을 넣어준후,프레임을 늘려주는식으로해주면,한장이 그림만으루두 충분히 다양한 움직이는 얼굴표정을 만들어낼수가있다.예를든부분이 눈일뿐,입이라든지,귀,머리카락부분등이 움직임을 만들어내구싶을때두,위와같은작업으로 만들어낼수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완성되어진후 보면 옆에 그림처럼 한장이 그림이
눈이 움직이는것처럼 보이게된다.


여러가지 모양의 그림을 한장,한장그려서 gif형태로 만들어낼수도있겠지만,그렇게하는것은 시간두많이걸릴뿐아니라 구지 간단하게 만들어낼수있는데,시간을 소비하며 노가다로 만들어낼필요가없다.


위에작업은 그림 한장으로 1-2분두 안걸리구 쉽게,각부분의 움직임을 직접 그리지않더라두 다양하게 만들어낼수있기때문에 알아두면 유용하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