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먼저 내용물을 확인한다. 그중에 랜선을 찾아서 통신사 모뎀과 공유기의 색깔이 다른 단자를 랜선으로 연결을 해준다.

 

 

 

 

 

컴퓨터의 랜카드 단자와 공유기의 나머지 단자를 랜선으로 연결을 해준다. 공유기의 전원을 켜주고,컴퓨터의 전원도 켜준다.

 

 

 

자동으로 공유기가 인식하여 공유기및 wifi를 사용할수 있게 해준다. 이때에 정상적으로 인터넷과 wifi가 안된다면

 

공유기의 제조사 사이트를 들어간후 수동으로 인터넷 유무선 설정을 해주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하여 화면의 절차대로 해준후 사용을 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요즘에 나오는 공유기 들은 선 연결만 제대로 하면 자동으로 인터넷연결설정이 되기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아래의 그림을 보는 것만으로도 누구나 공유기를 설치할 수가 있는데,

 

 

 

 

 

 

 

 

 

설치과정보다 공유기에 대하여 알아두면 좋은 상식을 적어 놓으려고 한다. 일반 공유기를 사용하다가 와이파이가 되는 무선공유기를 사용하려고 할 때에 공유기 자체에 연결할 수 있는 유선의 수는 한정되는데

 

무선공유기는 일반유선공유기에 비하여 유선을 연결할 수 있는 구멍의 수가 적은데 이럴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하던 유선공유기를 허브개념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연결방법은 일반유선공유기의 wan에 새로 설치하는 유무선공유기의 한 개의 일반포트를 연결하면 기존에 사용되었던 유선공유기에 물려 있던 랜선 들을 모두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것을 이해하면 공유기와 허브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이런 궁금증이 간단하게 이해할 수가 있다. 공유기는 허브와 공유기의 역할을 모두 포함하는 기기이므로 공유기에 공유기를 물리면 나중에 물린 공유기는 허브개념이 되고,

 

연결은 위에 써진 대로 연결해야지 다른 방법으로 연결하면 공유기를 허브의 개념으로 사용할 수가 없다는 것이고 이 말은 공유기에 공유기를 물리는 경우에 아무렇게나 쑤서넣는다고 인터넷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