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거미도 자신보다 큰 곤충을 만났을 때는 먹이로 생각을 하는 것이아니라 도망을 가는 모습을 확인 할수있다. 동물세계에서 천적관계로 먹이사슬의 윗단계가 아랫단계보다 우월하기는 하지만 언제나 그러한 경우에 대한 예외들이 존재하여 오히려 상위단계의 개체가 아랫단계의 개체에게 죽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사자도 토끼를 잡을 때 전력을 다한다는 이유도 상대를 제압하려는 경우에 여유를 주면 역으로 반격을 당하여 곤란한 지경에 놓이게 되기에 애당초 잡으려고 했다면 잡아야지 어중간한 여유나 빈틈을 보이면

 

 

 

 

처음보다 더악화된 되치기를 당하는 것은 자연의 순리로 북한의 핵무기에대한 제제와 대응방식은 끝으로 갈수록 더욱 강경하게 대처하여 결말을 보아야지 중간에 어중간한 정책으로 타협하거나 대화정책을 내놓으면 반대로 자신의 먹이에게도 목숨을 잃거나 도망을 가야하는 운명을 궁극적으로 맞이하게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개가 풀을 뜯어 먹는 것을 본적은 있어도 새가 풀을 뜯어 먹는 것은 본적이 없는데 새도 벌레같은 곤충만을 먹는게 아니라 가끔은 풀을 뜯어먹는 생물임을 사진과 영상을 통하여 확인 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봄이 짝짓기의 계절이라는 것은 인간만이 아니라 곤충이나 벌레들이 주변에서 짝짓기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수가 있기에 자연의 순리임을 알수가 있다.

 

 

 

 

 

인간은 다른 동식물과 다르게 365일 짝짓기가 가능하지만 일반 동식물에 공통적인 짝짓기의  계절은 봄이고 그러한 영향을 인간도 다른 계절에 비하여 더 높게 느끼기에 봄에 결혼을 하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중에 하나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생활속에서 여름처녀,가을처녀,겨울처녀는 일상적인 느낌으로 사용되지 않는데 봄처녀는 일상적인 단어로 인식이 되는 것도 감성적으로 봄은 다른 계절에 비하여 본능이 더 살아나는 계절로 조물주가 만들었음을 느낄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른 새벽에 곤충과 참새는 어떠한 모습을 하고 있을까?

 

 

 

 

 

 

부지런히 모이를 찾아 움직이고 있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것은 무슨 곤충일까 궁금하게 하는 다리가 6개이고 몸테두리는 빨간색이고 등 부분만 검은색을 띈 뭔지 모를 곤충으로

 

 

 

 

 

배에는 좌우로 여섯 개의 작은 검은색원이 그려져 있고 배 부분은 온통 빨간색을 띄고 있는데 머리 앞에는 길 다란 더듬이 2개도 보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곤충들의 교미자세는 오로지 뒤치기(?) 생각해보면 행위 중 자세변화를 하는 수준은 상당히 높은 아이큐 수준을 가지지 않으면 할 수 없는 것임을 곤충의 교미사진을 통하여 알 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나방처럼 생겼으나 나방과는 다르게 몸체가 땅강아지처럼 생겼고 날아다닐 수 있는 한 쌍의 날개가 달려있다.

 

 

나비라고 하기에는 머리모양이 너무 커서 그러한 종으로 보이지 않지만 날개와 몸의 무늬가 호피무늬라 호랑나비인가 찾아봤더니 호랑나비는 날개모양이 4개이기에 날개가 2개인 이것하고는 관련이 없었다.

 

 

                                               이것은 무엇일까……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벌과 나비가 꽃의 꿀을 따먹는 것은 자연스럽게 생각하지만 파리가 꽃의 꿀을 먹는 모습은 흔히 볼 수 없어

자연스럽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벌과 나비뿐 아니라 파리도 꿀벅지를 좋아한다는 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복숭아에 벌레 그려 넣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네보다 더 큰 더듬이를 가진 곤충영상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구더기를 잡아먹는 곤충은 존재할까? 조류가 구더기를 잡아먹는것을 종종 볼수가 있다.곤충도 구더기를 잡아먹을까? 벌레의 종류나 이름은 알수가 없지만,곤충도 구더기를 잡아먹는것을 영상으로 확인 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계의 많은 나라들에는 그나라마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몸이 허약해졌을때 먹는 일명 보양식인 스테미너를 강화시켜주는 전통 음식들이있다.

다른나라가 우리나라 정력음식을 볼때 먹기조차 부담스러울거 같은 반면에

우리나라의 시각에서도 저런것을 먹는단 말인가하는 생각이 들기도하게끔 하는 세계나라의 전통보양식들도 존재한다.


먼저 일본의 전통적 스테미너음식은 마늘이다.마늘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이상으로 일본에서는 약품으로치면 비아그라와같은 대접을 받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국에서의 보양음식은 송아지나 돼지등을 통째로 구워서먹는 바베큐전통이다.바베큐파티도중 눈맞아 주위시선에 아랑곳하지않고 둘만이 사라졌다 다시 나타나게끔하는  절대 카리스마를 가진 보양식이 바베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나라의 스테미너음식은 개고기이다.요즘같은 무더운 여름에 전통적으로 인기가 많은 보양식인데,과연 개고기가 정력에 효과가있는가라는 의문이 들기도하지만,실제적으로 주위에 개고기를 먹은사람을보면,개고기를 먹은 날에는 평소에 토끼같은 사람이라도 밤을 새워 지칠줄 모르는 변강쇠가 되는걸보면 현실적으로 효과가 있는것같다."개고기 먹은날을 조심해야한다" 이것은 새겨 듣는것이 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프리카에서 보양식은 무서운 독을지닌 전갈이다.독이있는 전갈이라도 구워서 먹어버리면 독이고 뭐고간에 몸에는 효과좋아, 아프리카사람들에게는 보양식으로 곤충들이 많은 사랑을 받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