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일반적인 열매의 씨앗과는 달리 감씨앗은 겨울에 심어도 이듬해 봄에는 싹이 올라오는 강인함을 가지고 있는데 어떠한 내부모양을 하고 있기에 씨앗형태로

겨울을 이겨 낼수있는지 감씨앗의 안을 살펴보니 감씨앗 자체가 싹이 트기전에 이미 하나의 하얀 숟가락 모양의 싹을 품고 있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일반적으로 봄. 여름. 가을에 심은 것은 싹이 나서 감나무가 되는 것은 분명하다.그러나 겨울에 감 씨를 심어 넣으면 싹이 나서 자라는지 안자라 는 지는 본적이 없다.

감을 서로 먹다가 보니 씨들이 들어 있는 감 종류 였는데 지엄하신 무수리 상궁께서 이 씨앗은 그냥 쓰레기통에 버리지 말고, 흙속에 심어 놓아라. 하셔셔, 냉장고에 보관한지 한 달이다 지난 오늘, 흙을 파서 씨앗을 심었다.

 

15개정도 심은 것 같은데 과연 일반마트에서 사와서 먹고 난 후 속에 남아 있는 감 씨앗을 겨울 흙속에 심어 넣었을 때 싹을 피워 감나무로 자라는지 안자라는지 확인할 기회가 되었다.

 

무수리 상궁께서 이러한 말을 안했다면 겨울에 감나무 씨를 심는 것은 절대로 생각해서 실행할 경우에 수가 없었을 것이다. 만약에 싹을 피워 잘 자라 감나무로 성장한다면 후기로 멋진 감나무 사진을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올려놓으려고 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