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플래쉬에 대한 기본개념이 하나두없는 상태에서,플래쉬를 만들구 사용하려는 저와비슷한 분들에게 도움이 될수있는내용입니다.플래쉬는 복잡한 용어가 중요한게아니라,어떻게 쓰여지는것인가에 대한 실행을해보면서
배우는게 제일쉽게 익힐수있는 방법이라구 생각합니다.

아무개념이 없는상태에서,플레쉬2일째 기초를 배우고있는 kungmi,그렇기에,어떤점이 궁금증이
생기는지,초보자로서,첨배우는 사람들이 가지는 궁금점이,자연스럽게 알수있으리구 생각됩니다.

kungmi의 좌충우돌 플레쉬배우기 2일째에서 나타나는 궁금점에 대하여,배워두면,그만큼
빠르게 배울수있다구 생각되어집니다.

모션가이드니,오리엔트니,이런개념하나두 모릅니다.실제루 몰라두 직접응용해보면
무엇을 의미하는기능인지,자연스럽게 알게됩니다.

움직이는 물체를 만들려구했을경우,그 움직임은 요리저리 곡선을 이루며 움직이기에
그궤적을 그려준후,움질일 물체를정해주면,자동적으로 물체는 이미그려진 선에따라
움직임을 보이게한다.그리고 오리엔트는 물체를 더부드럽게 움직이게해준다.

예제는 이미 만들어진것을 가지구 불러오기를 하여 연습하지만,예제를 배우면서,동시에
자신이 예제상황을 만들면서,익혀나가는것이 개념파악이 쉽다는점입니다.

예제를 응용하여 만드는데,첫번째부닥친 궁금점은,예제는 이미지를 모아두는 창고인
라이브러리에 들어있는것을 가지구 사용할수있지만 응용을하려면 라이브러리는 텅빈상태이기에,
일단 비슷한이미지를 만든후,어떻게 라이브러리로 가져다놓는가하는점.

파일-가져오기(임포턴트)에서 라이브러리로가져오기로,쉽게 예제를 대신할 이미지를
저장할수가있었습니다.

두번째궁금점은,만들어진 플레쉬파일이,스타트하구난후,종착점에서 멈추는게아니라
계속 빙글,빙글 무한반복으로 돌아다닌다는점이었다.

예제가,만드는방법까지만 적용되구,그이후는 다음단계개념으로 넘어가버려서,
내가응용한 케릭터는 계속뱅글,뱅글돌기만하니,학원에서 가서 배우는것두아니기에,
인터넷검색의 도움을 받을수밖에 없었는데,액숀에 stop();를 첨가하면된다.간단히 적혀있는데,
플레쉬 2일째 초보가액숀개념두없는상태인데,텍스트문서두아니구 어디가서 삽입하라는지,데굴,데굴
그런데,이 액숀이개념두,전혀몰라두 플레쉬의 멈추는문제는 해결할수있었다.


플레쉬파일 프레임이끝나는지점을 선택한후,f9를선택한후,나오는 액숀속성창에
타임프레임부분 옆텍스트창에 stop();를 적어놓고,무비테스트를해보니,계속반복되어
돌아가는 플레쉬가 멈췄다.


어색한모양의 플레쉬지만,어째든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물체를 쉽게 궤적을 만들어
적용할수있게되었다는점이 오늘의 배움이며,빙글,빙글도는 플레쉬의 멈춤기능도
알수있었다.


어떤것이든,관심만가지면 누구나 만들고,활용할수있는것이다.
중요한것은 배우면서,바꿔보는 응용의자세가아닐가 생각한다.예제만 그대로 따라하는것보다
예제를 한번응용해보는것이,가장쉽구,빠르게 플레쉬를 배우는방법이 아닐가 그런 허접한
생각이(?)든다.(ノ^O^)ノ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