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는 스위치 공통선과 스위치선으로 이루어지기에 합선이 생길수 없기에 스위치뒤에 붙어있는 선에 대하여 어떻게 연결해보든 전등이 켜지는 연결을 시도해봐도 된다.
일반적인 규칙으로는 스위치에는 표시된 그림이나 숫자가 있는데 그림일 경우는 핫선,상선,히트선이라고 불리우는 스위치공통선은 막대기가 달려있는 그림표시 단자구멍에 뽑아주며, 마주보는 반대편 단자에는 스위치선이라고 불리며 전구로 직접가는 선을 꼽아주면 된다.
스위치 결선에 있어 간단히 이해하면 좋은부분이 스위치는 차단기에서 나오는 두선중 전원선 하나를 짤라서 붙였다 떼었다하는 것이기에 애시당초 중선선은 전등으로 직접가기에 스위치로 중선선이 전원선과 같이 들어오지 않는다.
콘센트는 스위치와는 다르게 전원선과 중선선이 함께 들어오기에 연결시 좌우를 구분하여 단자구멍에 꼽아주어야 한다. 국제적인 규칙으로 좌에는 전원선을 꼽았다면 우측에 있는 단자에는 중선선을 꼽아야하면 좌측이든 우측이든 위아래 남는 단자에는 전원선이나 중선선을 함께 위아래로 꼽아서는 안되면 그렇게 연결하면 합선되어서 굉음과함께 불꽃이 튀게되니 유의해야한다.
3로스위치나 4로 스위치등을 만드는 것에 있어 헷갈려하거나 어려워할 필요가 없다. 전등에 있어 로와 구를 구분하여 로라고 표시되는 스위치는 별도로 존재하기에 1구스위치로 3로나 4로 스위치로 사용할 생각을 하지 말아야하고 연결은 일반적인인 1구스위치와 다르지 않고 각각의 3로 스위치 단자에서 0번으로 표시된 부분에 스위치공통선과 스위치선을 연결해주고 나머지 마주보는 부분에 단자2개 구멍에는 상호 연락선을 연결해주면 간단히 3로 스위치를 만들수 있다.
4로스위치인 경우 연결은 3로스위치 구성을 그대로 사용하고 연락선만을 중간에 짤라서 3로 스위치의 각각의 부분에서 나오는 연락선 2개를 4로 스위치의 좌우의 단자에 각각 연결해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