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학교등 교육용으로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들이나,바이러스등으로 인하여 포멧과 운영체제를 재설치를 자주하는 유형에 한글이나 오피스를 설치하는 경우,시디키를 입력하라는 부분이 나타나기에,매번 시디키를 적어놓은 종이를 찾아서 적어넣거나,적어놓은 시디키 종이를 잃어버렸거나,어디에 두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등이 있을수 있다.

이런경우 처음부터 정품으로 받은 시디키를 종이나 기타 장소에 보관하거나 적어 넣을게 아니라 한글이나 오피스의 설치시에 자동으로 입력되게 프로그램상에 자신의 시디키를 설정해 놓는 방법을 일반상식으로 활용하면 된다.

 

 

 

한글이나 오피스등의 오토런을 메모장에서 열어보면,처음시작시 나오는 화면모양을 나타내는 파일의 이름을 알수있는데,한글은 인스톨파일,오피스는 컨피그파일이 시디키를 입력시키는 화면이 나오는 설정파일임을 알수가 있다.

한글이나 오피스파일을 열어보면 위에그림처럼 오토런상에 표시된 인스톨파일과 컨피그파일이 존재함을 알수가 있는데,한글은 인스톨 폴더속에 있는 hwpk.msi에 시디키를 저장할수가 있고,오피스는 프로플러스 폴더속에 config.xml에 시디키를 저장시킬수 있다.

 

위에그림의 순서에따라 한글과 오피스의 파일 속에 개인의 시디키를 한번 입력시켜 저장해 놓으면 재설치시 개인적인 시디키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잃어버릴 염려가 없음을 알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음악파일이 용량이 너무클때,파일의 일부분만을 짤라서 활용하고 싶을때,음악편집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들이 있는데,운영체제자체에는 음악파일의 부분 부분을 쉽게 짤라서 활용할수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데 녹음기라는 기능이다.

녹음기가 어떻게 음악파일편집을 할수있는지는 아래 그림으로 보면 쉽게 이해할수가 있다.녹음기의 활용에대하여 생각하다가,벚꽃시와함께 가야금소리가 나오는 화면보호기를 만들어 보았다.

자신의 컴퓨터화면이 사용되어지지 않을때 화면보호기가 벚꽃시와함께 가야금이 흘러 나오는 화면보호기를 보고 싶다면,아래의 파일을 활용하면 된다.

 

                            녹음기는 컴퓨터의 위에 그림의 경로에 존재한다.

 

편집하거나 일부분을 짜르고 싶은 음악파일이 있을때 위에 그림처럼 녹음기를 실행하여 음악파일을 열기해서 불러온후,편집항목을 선택하여 일부분을 짜르거나 활용할수가 있다.이때에 녹음기는 확장자가 wav인 파일만을 열어 활용 할수가 있기에,이외에 확장자를 가진 음악파일을 가지고 있다면,프리웨어인 음악파일변환 프로그램들이 많이 존재하기 활용하여,확장자를 wav로 변환하여 사용하면 된다.

 

791.scr

벚꽃시와 함께 가야금소리가 나오는 화면보호기 scr파일

 

791.exe

첫번째 파일을 활용할줄 모르는 경우 자동으로 화면 보호기를 설치해주는 벚꽃시와 함께 가요금소리가 나오는 화면보호기 실행파일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한글문서를 열거나,실행시킬때 마우스오른쪽버튼의 메뉴로 c:\hnc\hwp70\hwp.exe,1라는 항목이 나타날때 해결방법은,한글문서의 파일항목을 선택했을때 열지지 않는 오류는 한글을 재설치하면 해결이 되지만,전자의 내용처럼 마우스오른쪽 버튼 메뉴항목으로 지정된 c:\hnc\hwp70\hwp.exe,1는 수동으로 삭제를 해줘야한다.아래의 그림을 통하여 간단히 해결할수가 있다. 

 

위에그림처럼 한글파일을 선택하고 마우스오른쪽버튼 메뉴에 c:\hnc\hwp70\hwp.exe,1가 표시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이러한 마우스오른쪽버튼의 추가항목은 불필요하기에,삭제해버리는것이 안정적이고 깔끔하다.위에 그림의 경로대로 선택한다. 

위에그림처럼 동작항목속에 들어있는 c:\hnc\hwp70\hwp.exe,1을 선택하여 제거해주면,마우스오른쪽버튼을 선택했을때 나타나지 않게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컴퓨터의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계정 아래에 ntuser.dat이라는 파일이 보였는데,평소에는 보이지 않다가 갑자기 노출되어 있기에 숨김파일체크가 풀렸나 생각했는데,그런것이 아니고 속성이 풀려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

 

 

 

위에그림처럼 ntuser.dat을 삭제하려고 하면 파일또는 폴더 삭제오류 메세지창이 나타났다.이 파일은 삭제하면 안되는 운영체제파일에 해당함을 표시하는 메시지창이다.바이러스가 아니라는 의미이기에,이것이 왜 표시되어진 것인지 아래의 그림의 비교를 통하여 알수가 있다.

 

이종의 ntuser의 파일의 속성을 살펴보면,표시되어진것은 읽기전용숨김표시에 체크가 풀려있음을 알수가 있는데,운영체제파일은 기본적으로 이곳은 숨김읽기전용에 체크되어있어야 함을 알수가 있다. ntuser과 관련된 파일이 보인다면 삭제하려고 하지말고,위에그림처럼 속성에서 숨김읽기전용체크해주어 해결하면 된다.

 

위에 그림에서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옵션에서 임시인터넷파일은 비우는 습관을하면 컴퓨터상태가 좋아진다는것을 알고있다.그러나 인터넷옵션에서 삭제되는 임시인터넷파일은 일부이고,전체적인 임시인터넷파일은 위에 그림과정을 통하여 살펴보면 많은 파일들이 인터넷옵션에서 삭제한다고 해도 남아 있다는것을 알수가 있다.

 

개인이 어떤사진등을 보았었고,어떤 동영상을 시청했는지,인터넷옵션의 임시인터넷파일을 비운다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위에 그림처럼 디스크정리안에 있는 임시인터넷파일속에는 계속 남아있게 되는데,이것을 개별적으로 완전히 삭제하지 않는한 기존의 개인이 인터넷열람 정보기록등은 계속해서 남아 있게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컴퓨터를 재시작 안하면 어떻게 되는가를 생각해보면,아무런 영향이 없다는것이고,여러가지 프로그램등을 한꺼번에 설치하고,한번에 재시작해줘도 되고,여러가지 작업을 다한후에,나중에 한참 있다가 재시작을 해줘도,프로그램을 하나 설치할때마다 한번의 재시작한것과 다르지 않.특히 포멧이나 운영체제를 설치할때,드라이버들을 하나씩 설치할때마다 컴퓨터를 재시작하는것과,모든 드라이버를 다 설치한후 한번에 재시작 하는것은 동일한 설치결과를 나타낸다.

바탕화면의 화면보호기는 움직이거나 변화되는 형태가 아닌 그림한장으로도 자신이 좋아하는 시구절이나 명언구절등이 쓰여진 그림등으로 설정하여 활용할수가 있다.아래의 그림을 통하여 화면보호기의 설정에대한 일반상식으로 이해할수가 있다.

 

 

 

 

화면보호기의 경로는 위에그림처럼 C:\WINDOWS\system32 내에 존재하고 있다.scr이라는 확장자명을 가진 파일을 이곳의 경로에다가 붙여넣으면,디스플레이등록정보화면보호기란에 임의적으로 추가한 화면보호기가 나타난다.이것을 선택해주면,자신만의 화면보호기의 컴퓨터로 사용할수가 있다.

 

예시로 만들어 본것은 일반상식적으로 개인적인 화면보호기를 그림한장으로도 잘표현할수가 있음을 알수가 있다.개인적인 한가지 그림에 등을 적어 화면보호기로 사용하고 싶을때 다운받아 사용하면 되겠고,크기는 1024*768이다.위에 화면보호기 경로에 붙여넣기 할수있으면 scr로 받고,그렇지 않으면 exe로 받아서 설치해도 된다.

 

butkok.scr

 

 

butkok.exe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임시인터넷 파일의 파일보기에서 모두 삭제를 했음에도 몇개의 쿠키가 삭제되지 않고,삭제를 하면,텍스트파일을 찾을수 없다는 표시를 나타내면서 삭제가 되지 않았다.

무엇때문에 특정쿠기들이 삭제가 되지 않는 것인가하고 원인을 찾다가,해결했는데,그 과정에서 부과적인 효과를 얻을수 있는 기능인 인터넷창에서 간혹 보이는 글자깨짐 현상과 인터넷창을 열고 닫을때,속도가 느려질때 빨라지는 방법과 서로 관련되어 있었다.

글자깨짐현상이나 인터넷창이 느리게 열릴때는 아래의 방법대로 따라 실행하면 해결이 된다. 




처음에 글자깨짐 현상에대한 원인을 찾으려고 했던것이 아니라,임시인터넷 파일에서 남아있는 쿠키들중 위에 그림처럼 몇개의 특정 언론사 쿠키가 삭제를 시키려고해도 삭제가 되지 않았다.컴퓨터의 이것 저것을 만져보다가 해결책은 아래와 같았다.


즐겨찾기 웹사이트 데이터 보존이라는 항목에 체크해제를 하고 임시인터넷파일을 삭제했더니 정상적으로 모든 쿠키들이 삭제가 되었다.왜 이런 현상이 나타났을까 생각해보니, 즐겨찾기목록에 있던 항목들을 먼저 삭제해버린경우,임시인터넷파일에 남아있던 언론사쿠키등이 찾을수없다는 메세지로 삭제가 되지 않는 원인이 되어짐을 알수가  있었다.

이것은 그렇고,부가적으로 임시인터넷 파일의 활용에있어,인터넷창에서 간혹 일부 링크나 부분에서 글자깨짐현상이나  인터넷창을 열리는 속도등이 느려질때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해주면 문제점들이 해결되어졌다.


바탕화면의 시작-실행-cmd-확인 해주면 위에 도스창이 나온다.커서가 깜박이는 그 상태에서 아래의 단계대로 글자를 적어준다.

cd Local Settings  엔터

cd Temporary Internet Files 엔터

cd content.ie5 엔터

del(한칸띄고) *.*(한칸띄고) /s(한칸띄고) /q 엔터


위에 그림처럼 파일 삭제라는 메세지가 5-10분사이 계속 되어진다.파일 삭제라는 표시가 끝날때까지 기다려주고 끝나면,도스창을 닫아준다.



위에 그림처럼 인터넷창의 특정부분이 글자가 깨져 보였을때,간단히 저 링크는 글꼴을 독특한것을 사용하는 뷰파트너라 그렇게 글자가 깨져 보이는 것이다라고 생각했는데,그러한 원인이 아니라,임시인터넷 파일과 관련되어서 나타나는 오류 현상이었다.

위에 과정을 진행하고 비교해보니,해결이 되었다.글자가 깨져보이거나,인터넷창 열림속도가 느릴때는 위에 과정을 진행하면 오류들이 해결되어진다.

위에 과정이 무슨 의미이지 좀더 생각해 보려면 아래의 과정 그림들을 참조하면 되겠고,위에 과정의 실행결과의 비교분석일뿐 구지 이해하고 위에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고 단순히 실행하면 해결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같은 종류의 작업표시줄 단추를 그룹으로 표시라는 항목이 작업표시줄및 시작메뉴 속성항목에서 사라져 보이지 않는데,왜 이런가요?라는 질문에대하여,개인이 수정한 윈도우 xp버전이라서 그렇다느니,바이러스에의하여 그럴것이라니,저랑 같은버전인데 왜 안뜨는 모르겠다라는 등의 대답들이 있었다.이러한것은 윈도우기능의 설정을 하거나 해주지 않거나 개인의 선택사항일 뿐인데 설정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아래의 그림을 통하여,어떻게 설정하는 것인지 알수가 있다.


 


위에그림처럼,같은 종류의 작업표시줄 단추를 그룹으로 표시라는 항목이 사라져 안보이는 이유는 작업표시줄 항목을 그룹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사용하지 않음이라는 설정을 사용함에 체크하기에 나타나는 모습이다.


위에그림처럼,일반사용자들처럼 같은 종류의 작업표시줄 단추를 그룹으로 표시항목이 표시되게 하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의 설정을 해주면 된다.

시작-실행-gpedit.msc-사용자구성-관리템플릿-작업표시줄 및 시작메뉴
작업표시줄 항목을 그룹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사용하지 않음 선택
구성되지 않음,사용,사용안함중에 사용에 체크,같은 종류의 작업표시줄 단추를 그룹으로 표시항목이 표시되지 않음,구성되지 않음 체크,같은 종류의 작업표시줄 단추를 그룹으로 표시항목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어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궁금증에대한 질문을 읽어보다가,아래의 그림처럼 윈도우7,xp등에서 숨겨진 파일이나 폴더를 찾아보기위하여 폴더옵션의 숨김파일및 폴더표시에 체크하려는데 그러한 항목 탭자체가 사라져서 나타나지 않는데 왜 그런가하는 내용이었다.숨긴파일폴더표시의 설정은 어떻게 할까?


위에그림처럼 정상적이라면,왼쪽그림처럼 숨김 파일및 폴더에는 선택할수있는 탭이 두개여야하나,오른쪽그림처럼 숨김파일 및 폴더표시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컴퓨터의 폴더옵션의 숨김파일및 폴더에 관한 탭을 설정해주는 레지스트리의 경로는 아래와 같다.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CurrentVersion\Explorer\Advanced\Folder\Hidden

위에그림처럼 NOHIDDEN를 선택하여 체크드밸쥬 값을 1로 했을때는 숨김파일및 폴더
세부항목의 두가지 탭이 아무것도 체크되지 않음을 알수가 있고,2로 했을때는 숨긴파일및 폴더표시안함 체크되어짐을 알수가 있다.



위에그림처럼 숨김 파일및 폴더에서 숨긴파일및 폴더표시 나타내주는 레지스트리항목은 SHOWALL임을 알수가 있는데,이것을 삭제해버리면,숨김 파일및폴더에서 숨긴파일및폴더표시탭이 사라져 안보이게됨을 알수가 있다.

숨긴파일및 폴더표시탭을 삭제해린 컴퓨터상태라는 것은 컴퓨터사용자에게 해킹이나 기타 개인정보등을 빼내게하는 서비스의 폴더나 파일을 사용자가 눈으로 볼수없게 실행시킨다는 의미로 볼수가있으므로,백신등을 이용하여,바이러스검사를 해보는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컴퓨터의 시작프로그램항목과 서비스항목은 시작-실행-msconfig하면 나타난다는 것은 일반상식적으로 알고있다.여기서 시작프로그램의 정리나 삭제에 대하여는 글을 적었고,서비스항목의 삭제는 어떻게 되는가와 여기에 등록되는 서비스항목들은 필수적인지,삭제해도 되는지에대하여 예를 드는 등록된 프로그램을 레지스트리시작프로그램항목을 서로 비교하여 보면 쉽게 이해할수가 잇다.


위에 그림에서처럼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창의 항목중 서비스에 나타나는 실행프로그램들은 레지스트리의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
\Shared Tools\MSConfig\services
의 경로상에 위치해 있다.

위에 그림처럼 모든 마이크로 서비스 숨기기 체크하고 난후 남아있는 서비스들은

모두 삭제한다고 해도,컴퓨터의 사용에는 전혀 문제가 없고,여기에 표시되는 서비스항목들이 없을수록 컴퓨터의 속도와 상태가 좋기에,

되도록 이곳에 서비스들은 자신이 모르는것이 표시되어 있다면 위에 레지스트리의 경로를 찾아들어간후 삭제하는것이 좋다.

위에 그림에서는 알약의 서비스만이 실행되고 나머지는 모두 중지되어있지만,이중에서 마이크로메디아윈도우미디어는 체크해제하여 사용중지하고 구지 삭제를 할필요는 없겠고,순정의 좋은컴퓨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면,

레지스트리의 서비스폴더아래에 표시되는 항목은 마이크로메디아윈도우미디어관련 서비스만이 존재하게 된다.

위에 그림에서는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의 서비스항목에는 

device error recovery service라고 표시되어있고,레지스트리의 서비스폴더에는 dgdersvc라는 실행파일항목이 표시되어있다.

이 두가지 표시는 서로 같은데,dgdersvc를 자세하게 표현한것이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에서 보여지는 표시임을 알수가 있다.
device error recovery service의 앞머리 글자에 이러한 서비스를 만든회사 이름인 devguru의 약자를 서비스명앞에 붙여,dgdersvc라는 서비스가 표시되어짐을 알수가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서비스는 윈도우 운영체제와는 전혀 관련이 없고,서비스를 만든 개별적 회사의 프로그램의 실행을위하여,서비스항목에 추가 되어진것을 알수가있고,이러한 종류의 서비스들은 언제나 삭제를 한다고 해도,아무런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평소에,모든 마이크로 서비스 숨기기 체크하고난후  남겨지는 서비스항목은 없을 수록 좋고,많이 존재한다면,위에 레지스트리경로를 찾아서 들어가 가급적 정리하여 삭제해 버리는것이 좋다.불필요한 dgdersvc서비스가 왜 생겼는지 살펴보니,삼성휴대폰 피시매니저설치와 관련 되어있는것으로,삭제해도 무방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궁금증에대한 질문을 읽어보다가,바탕화면의 바로가기표시로 화살표시가 아이콘옆에 붙어있는데,어느날 갑자기 바탕화면 바로가기 아이콘옆에 붙어있던 화살표 표시가 나타나지 않는데,화살표 표시가 나타나고,나타나지 않게하는 방법이 어떤것인가에 대한 것이었다.


                  위에 그림처럼 화살표가 존재하는것과,그렇지 않게 설정하는것



바탕화면에서 시작-실행-regedit-확인해준후에,위에그림처럼 절차에따라,찾기에서 LNKFILE에서 값만을 체크해준후 다음찾기한후에,나타나는 그림에서 이즈쇼컷에서 마우스오른쪽-삭제를 선택해주고난후,컴퓨터를 재시작하면,바탕화면 바로가기 아이콘에서 표시되는 화살표가 나타나지 않게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제어판을 사용할수없다면,프로그램추가제거나 기타 컴퓨터의 설정을 임의로 할수있는 방법이 없기에,"이작업은 시스템 제한때문에 취소되었습니다.시스템관리자에게 문의하십시오"라는 메세지가 나오며 제어판을 사용할수 없게된다.궁금증에대한 질문을 읽어보다가"제어판이 사라졌어요"라는 내용이 있었는데 이러한 이유는 아래의 설정때문에 나타나는것으로 원래대로 설정을 바꿔주면 된다.


위에 그림의 절차대로 경로를 따라들어간후,제어판의 엑세지 금지라는 항목을 선택하면,구성되지않음에 체크되어있으면 기본설정이고,이것을 사용체크하여 적용-확인하면 제어판이 사라지면서 시스템관리자에게 문의하십시오라는 메세지만이 나오게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컴퓨터를 시작했을때 바탕화면이 나타나면서,동시에 이상한 영문자들의 메세지창이 나고,레지스트리나 작업관리자창을 실행하려고해도 이상한 영문메세지창이 나타날때,이러한 오류 결과를 계속두고 사용하다가는 결국 언논하드에러라는 메세지가 표시되는 블루스크린을 맞이하게된다.언논하드에러에대하여는 컴퓨터항목에서 자세히 설명한 글이 존재하고,검색창에서 찾으면 해결방법들이 많이 나온다.그러한 오류는 글을 참조해서 블루스크린을 해결하면 되겠고,



문제는 이상한 영문자들의 메시창을 나오지 않도록 만들어야하는데,이부분에대한 일반상식글들이 존재하지 않기에,머리아프니 포멧해버리자라는 생각보다는 아래의 그림을 통하여,해결할수 있음을 알수가 있다.



위에 그림처럼 컴퓨터시작시나 레지스트리 시작시,작업관리자창 시작시 이상한 영문메세지창이 나오면서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는데,이러한 바이러스의 특징이 백신을 실행되지 못하게 만들고,마우스 오른쪽메뉴같은 억지로라도 백신을 실행하여 검사해도,바이러스가 없다는 결과가 나오고,있다고 나와서 치료를 시키면 컴퓨터의 부팅시스템을 바이러스와함께 동시에 자폭하므로,결과적으로 컴퓨터 부팅시 언논하드에러의 메세지를 나타나게하며 블루스크린 상태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경우에 일반적인 윈도우폴더의 시스템32아래에 있는 ws2help.dll로 언논하드에러를 해결할수는 있고,이렇게 사용할수는 있지만,컴퓨터 시작시 나타는 메세지들이나 여러가지 오류들은  해결되지않고,남아있다가 언제가는 다시 하드언논에러의 블루스크린을 만들어내게 된다.

위에그림처럼 이상한 영문메세지창이 나타나지않는 언논하드에러일 경우는 간단히 언논하드에러의 해결방법으로 정상적으로 만들면 되겠고,언논하드에러를 해결은 했지만,부팅시 바탕화면 영문메세지창은 계속나타나는 경우는 아래의 단계로 넘어가야한다
.


위에 그림처럼,알약홈페이지를 들어간후,자주묻는질문란에 올려진 질문들중 알약 실행안됨이라는 글을 선택한후,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전용백신을 다운로드받아 위에 그림처럼 실행시키고 치료시킨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이슬람구호같은 영어메세지창이 나타는 바이러스는 백신으로 삭제했을시,부팅시스템과  물귀신으로 자폭한다고 했으므로,위에 알약의 전용백신으로 치료했으므로,컴퓨터를 다시시작하면 다시 언노하드에러라는 메세지와함께 블루스크린이 나타나게된다.

아무것도 해결이 안된것같지만 그렇지는 않고,다시 언노하드에러의 해결방법으로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게한다.부팅이 되고 바탕화면이 나타나면,자폭했던 바이러스들이 경로가 없으므로,다시한번 컴퓨터를 시작하면 언노하드에러상태로 들어가게된다.,다시 언노하드에러 대처 방법대로 실행하여 부팅이 되도록해준다.

결국 이과정은 언노하드에러의 반복과정을 했음을 알수있는데,그냥 반복이 아니라,바이러스를 죽이면서 반복되어진 과정이기에,이상한 영문메세지창 바이러스도 함께 사라져버린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위에 알약의 전용백신으로 부팅시스템이 삭제되어 언논하드에러 블루스크린이 뜨는것을 걱정하지말라는 것이고,그러한 과정을 거쳐야만이 삭제되는 아주 악독한 바이러스라는 점이다.이러한 방법말고 해결방법은 찾을수 없었고,해결책을 제시하는 글도 존재하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언노하드에러를 해결할수있는 기본지식을 갖고있는 사람이 활용해야되며,언노하드에러를 해결할 지식도 없는데,전용백신으로 삭제해버리면,부팅시 블루스크린이 표시되면서 부팅할수없는 컴퓨터화면만을 볼수있을 뿐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컴퓨터의 바탕화면에는 내컴퓨터등의 아이콘들이 생성되는데,바탕화면의 배경화면그림만 나오고,아무것도 나타나지 않는 컴퓨터를 보거나,의외로 그러한 오류들에대한 질문들을 종종 보게되는데,기본적으로 컴퓨터의 보여지는것에대한 모든 설정은 그룹정책에서 설정해주게된다.바탕화면에 아이콘이 모두 사라져보이지 않거나,특정아이콘이 사라져 보이지 않는경우에는 그룹정책을 실행시켜 설정을 바꿔주면 정상적으로 되어진다.


                 컴퓨터를 켰을때,위에그림처럼 바탕화면 아이콘들이 하나도 안나타 나는 경우


위에그림처럼 시작-검색-모든파일폴더-gpedit-위에그림처럼 망치모양의 gpedit를 선택하여 실행해준다.


위에 그림처럼 경로를 찾아들어간후,바탕화면에 있는 모든 항목 숨기기및 사용안함을 선택한후,기본적으로 구성되지 않음에 체크되어있는데,이것을 사용체크,적용-확인을해주면,바탕화면에 아이콘들은 모두 사라져 보이지 않게된다.이때에 변화된 즉시 실행되는게 아니라 컴퓨터를 다시시작한이후에 설정해준부분이 적용되게된다.컴퓨터를 켰을때 바탕화면에 아이콘들이 하나도 보이지 않을때는 바탕화면에 있는 모든 항목 숨기기및 사용안함 선택해서 보면,사용에 체크되어있는데,이것을 구성되지않음에 체크해주고-적용-확인해준후에 컴퓨터를 다시시작하면,정상적으로 컴퓨터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이 나타남을 알수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인터넷창을 열었을때,자신이 원하는 포탈이나 기타 사이트를 찾으려고 주소표시창에 적는 경우에,

주소표시창에 사이트가 나열되거나,이미 검색했던 내용의 사이트들이 자동으로 표시되게 되어진다.

컴퓨터의 사용습관에 따라서,주소표시줄에 나타나는 사이트나,검색기록이 많이 표시되어지는것을 알수가 있는데,

오로지 자신만 사용하는 컴퓨터일 경우는 상관없지만,그렇지않은 경우는 자신이 찾았던 검색내용이나 사이트들이 일목요연하게 자동으로 표시되므로,이렇게 표시되지 않고 주소표시창을 항상 깨끗하게,자동으로 이러한 검색기능등이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해두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수도 있다.


   위에 그림처럼 주소표시창에 무엇인가 적었을 경우,자동으로 찾았던 내용이나 사이트가 표시될때


위에그림의 경로대로 따라서 들어간후,웹 주소에 자동완성 기능 사용안함 선택한후,구성되지 않음에 체크되어있는것을 사용에 체크하고 적용-확인해준다.

위에 표시되는 그룹정책창은 C:\WINDOWS\system32 폴더안에 gpedit을 선택하여 열면 나타난다
.


   설정을 했을때,위에 그림처럼 주소표시창을 열거나,적을때 아무것도 표시되어지지 않음을 알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바탕화면의 바로가기 아이콘이 깨져서 보이거나,실수로 프로그램의 바로가기 아이콘등을 지워버렸을 경우,

바탕화면에 원래대로의 프로그램의 모습을 가지는 바로가기아이콘을 만들거나,

아이콘의 모양이 제대로 나타나지않고 깨져서 나올때에,

새롭게 프로그램등의 바로가기 아이콘 간단히 어떻게 만들까?




          예를 들어 위에있는 한글2007프로그램 아이콘이 깨져보이거나,실수로 삭제해 버렸을 경우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의 속성을보면 모두 실행파일(exe)을 기본으로 아이콘을 생성함을 알수가 있다.


위에 절차대로,바탕화면에서 새로 만들기-바로가기-찾아보기-실행파일아이콘선택-확인-이름입력-마침


     위에그림처럼 삭제되거나,깨진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을  정상적으로 쉽게 만들수 있음을 알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윈도우업데이트를 자신이 사용할만큼 충분히해서,더이상은 자동이든,

수동이든 어떤방식으로든 윈도우업데이트가 되지않게 설정하고 싶을때,

컴퓨터를 종료하려고하면,윈도우업데이 알림창이 나오는 메세지창을 보고싶지가 않을때 등등

지금까지 업데이트된 윈도우업데이트이외에는 이후로 윈도우업데이트는 절대엄금으로 설정하는 컴퓨터상식이다.




C:\WINDOWS\system32  폴더안에는 gpedit(그룹정책=group edit)라는 실행파일 들어있는데,이것을찾아 선택하여 열면,위에그림처럼 그룹정책창이 열리고,빨간줄쳐진 경로대로 따라 들어간후,모든 윈도우업데이트 기능을 액세스할수있는 권한제거 선택하여 연후,구성되지않음에 체크되어있는 표시를 사용에 체크하고 적용-확인해주면 된다.이후에 필요에의하여 다시 윈도우업데이트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때는 구성되지않음에 체크표시로 돌려주면 되는것은 기본에 해당하겠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익스플로어를 사용하는 경우,6버전에서는 주소표시창이 하나로 깔끔했는데,

7~9버전으로 올라가면서 주소표시창 옆에 검색공급자라는 조금만 검색창이 달려있다.

무엇을 검색하고 난후,이전에 검색한 단어가 표시되어,보기에도 안좋고 존재해봤자,쓸일이 없기에 주소창 하나의 깔끔한 모습의 인터넷창의 모습을 원한다면,

이러한 설정의 실행파일은 어떤경로에 존재하고,검색공급자 검색창을 어떻게 나타나지 않게 설정하는지에 대한 글이다.




위에 그림처럼,검색공급자 기본창이 존재하는것을 안나타나게 하려면,이러한것을 표시하고,표시하지않게 하는 실행파일을 찾아서 열어준다.이것을 설정할수있는 실행파일의 이름은 gpedit이고,이러한 파일이 존재하는 경로는 C:\WINDOWS\system32의 폴더아래에 존재하므로,경로를 따라 들어가서 찾아서,gpedit를 마우스로 선택하여 열어준다.

 


위에 그림처럼 그룹정책창이 열리면 빨간줄친 경로대로 따라서 열어준후,internet explorer 검색 상자 표시금지라는 세부항목을 선택한후,구성되지 않음 기본적으로 체크 되어있는데,이것을 사용에 체크해준후,적용-확인해주면 설정이 완료된다.이러한 작업은 열려져있는 인터넷창을 모두 닫은 다음에 해준다.


설정이 끝나면,위에 그림처럼 검색공급자 검색창이 없어지고,주소표시창 하나만이 존재하게 됨을 알수가 있다.

gpedit(그룹정책)을 여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기본적으로 실행파일의 경로를 찾아서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는것이 기본배움에 있어좋고,그다음이 시작-검색창에서 gpedit를 검색하여 여는 방법,마지막으로 시작-실행-gpedit.msc로 여는 방법이 있는데,자신의 컴퓨터활용 수준에따라,편리하게 선택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컴퓨터의 시작프로그램들에는 여러가지 프로그램등이 등록되어져 있는데 시작프로그램에는 부팅시 시작되어지는 프로그램들도있고,

체크해제되어 부팅시 구동되지않는 프로그램들도 많이 존재하게된다.이렇게 시작프로그램의 항목만을 차지하며,구동되지않거나,프로그램명이 중복인것들이 여럿존재하여 부팅시 바이러스의 구성을 도와주거나,프로그램의 충돌이나 오류,느려짐을 부팅시부터 만들어내게 된다.

이러한것을 정리해주면 컴퓨터의 부팅속도뿐만아니라,컴퓨터작업시 훨씬 향상된 빠른컴퓨터 작업속도가 나타나게된다.

기본적으로 이해해야할 상식은 시작프로그램상에 존재하는 프로그램들의 경로는 모두 삭제해버려도 컴퓨터의 사용에는 아무런 문제를 만들어 내지않는다.아래의 그림을 통하여,절차대로 따라한다면 쉽게 컴퓨터의 부팅속도와 인터넷창 작업속도를 빠르게 향상시킬수가 있다.


위에그림처럼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를 열었을때 시작프로그램항목에는 체크해제된 많은 불필요한 프로그램등이 시작프로그램항목에 위치해있음을 알수가 있다.작업에 들어가기전에 기본적으로 자신이 사용하는 백신프로그램과 ctfmon의 항목은 체크가 되어있는 상태를 만들어준다.여기서 백신은 알약을 쓰고있음므로 알약에 체크되어 있는것이고,v3라면 v3와 ctfmon 두개의 항목에만 체크표시가 되어지게한후 작업을 하면된다.시작프로그램항목에서 위에 2가지 항목만이 체크되어지게 작업한후 시작프로그램항목 창을 닫아준다.

시작-regedit-확인 해준후,레지스트리 편집기창을 연후 아래의 경로를 찾아서 들어간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ared Tools\MSConfig


위에 그림 3가지는 그럴가능성은 0.1%도 없겠지만,개개인의 컴퓨터의 사용상,만일에 원래의 컴퓨터상태로 돌아가고 싶을때를 가정하여 MSConfig항목을 백업시켜두는 과정으로,작업하기 이전의 컴퓨터상태로 돌아가고싶을때는 위에절차대로 바탕화면에 백업된 batang이라는 것을 두번선택해주면 레지스트리에 추가하시겠습니까라는 표시가 나오면 "예"를 선택해주면 된다.이과정은 기본적으로 행할 필요가없는 과정에 해당하므로 구지 번거롭게 백업할 필요없이 다음과정으로 넘어가면 된다.


레지스트리의 경로인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ared Tools\MSConfig을 찾은후에 위에 그림처럼 스타트업폴더,스타트업레그아래에 위치한 모든폴더들을 하나씩 선택해서 모두 삭제해주면 위에 그림의 마지막 부분처럼 스타트업폴더스타트업레그를 선택하여 열었을때 열리지않고,하위에 위치한 폴더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게된다.


   처음으로 돌아가 시작-msconfig-확인을 하여 시작프로그램 항목을 열었을때,위에그림처럼 
   깨끗한 시작 프로그램 항목을 보여 주게된다.빠른 컴퓨터 작업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컴퓨터상태로  
   사용하고 싶다면 시작프로그램에 체크되어져 존재하게 할것은 자신이 사용하는 
   백신프로그램ctfmon   두가지면 충분 하다는 컴퓨터상식을 기억하는 것이다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현장르포 "동행"의 인터넷 다시보기 서비스로 시청을 하려고했는데,

재생되는 윈도우 미디어의 표시가 음소거형태로 나타나며,"적절한 압축해제..."라는

오류메세지를 표시하며 영상만이 나왔다.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는지에대하여 윈도우미디어의 버전의 다운과 업에대하여 살펴보고,


어떻게하면 정상적인 미디어재생이 될수가있는지에대하여 살펴보자.


위에 표시는 윈도우미디어 6버전을 실시간 재생으로 지정했을때에 나타나는 화면으로 미디어에 표시된 스피커표시가 양쪽으로 보여지는것을 알수가있다.


위에표시는 윈도우미디어 9버전으로 재생되도록 설정했을때 나타나는 모습으로 스피커모양이 하나로 단순하게 표시되어 재생되어짐을 알수가 있다.

실시간방송이나 다시보기 서비스등에있어서 오류가 생길때는 윈도우미디어의 재생버전을 살펴보는것이 좋다.기본적으로 윈도우운영체제를 사용한다면 윈도우미디어 9버전이든 10버전이든 11버전이든 프로그램추가제거상에서 표시되어지는 버전이 하나일뿐이라도,상위버전은 하위버전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기에 상위버전의 제거를 실행하면 롤백기능이 수행되어 낮은버전으로 복원되어진다.

윈도우미디어를 낮은버전의 미디어로 재생하고 싶을때는 실행창에 regsvr32.exe msdxm.ocx 로 적어넣고 확인을 하면되겠고.

설치된 가장 높은버전의 윈도우미디어로 재생되게하려면 실행창에 regsvr32.exe wmpdxm.dll 을 적어넣고 확인을 하면된다.

윈도우미디어의 6버전으로 재생시 윈도우미디어의 소리표시가 음소거형태로 변한다면 일단은 높은버전의 윈도우 미디어로 재생될수있도록 실행창에 regsvr32.exe wmpdxm.dll 을 해준후,프로그램추가제거에서 통합코덱이니 한번에 해결해주는 코텍이니 같은 명칭은 제각각이겠지만,깔려져있는 코텍을 제거해주면 음소거 표시로인한 실시간이나 다시보기서비스시 영상만 나오고 음성이 나오지않는 오류를 해결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인터넷으로 kbs의 프로그램을 다시보기를해서 보려고했는데 고화질은 재생이 되었지만,

저화질일반등의 미리보기는 동영상이 엑스표시가 되면서 재생이 되지않았다.

윈도우미디어 설정문제인가하고 살펴봤지만 설정문제는 아니었고,재생코덱이 문제인가하고 손봐봤지만 코덱문제도 아니었다.

원인을 찾아보던중 액박상태로 동영상재생이 안되었던 이유는 추가기능관리상에 윈도우 낮은버전의 사용안함의 설정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문제였다.아래의 그림을 통하여 알아두면,동영상 재생시 x표시가 뜨면서 재생이 되지않는경우 설정해주면 정상적인 재생이 되어진다.


                     위에그림처럼 동영상 재생시 액박표시가 뜨면서 동영상이 재생이 되지 않는다.


모든추가기능을 선택해준후,마이크로소프트 코퍼레이션 항목에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을 선택한후 사용함으로 설정해준다.


위에그림에서 알수있듯이 윈도우미디어플레이어의 버전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kbs의 동영상 재생시 저화질이나 일반등의 재생에 액박표시 오류를 나타나게하는 버전은 6.4.09.1127임을 알수가있다.다른 버전의 윈도우미디어 플레이어가 여러개 표시되어있다고해도 나머지 버전은 사용함과 사용안함으로인하여 영향을 받지않기에 신경쓸것은 없겠고,6으로 시작하는 버전이 있다면,사용안함으로 되어있을시,필수적으로 사용함으로 설정해야 액박표시의 동영상 오류가 나타나지않게된다.


윈도우미디어플레이어를 사용함으로 설정했을시 위에그림처럼 액박표시없이 정상적으로 버퍼링되어짐을 알수가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