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반적으로 읽어두면 좋을만한 컴퓨터상식,알고계신가요?아래의 그림에따라 알아두면 오류나 의외의 상황에서 당황하지않고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a/s를 부르지 않더라도 스스로가 해결할수가 있답니다.

첫번째:프린터의 인쇄속도가 느리거나 복합기등의 스켄기능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않는것은 프린터 드라이브를 처음설치할때 정상적인 포트로 설치하지않았거나 잘못설치했을경우에 나타날수가 있습니다.

프린터의 포트는 보통 LPT1,USB포트,IEEE1284.4의 3가지로 설치될수가 있는데,

LPT1포트는 별도로 구분되어있기에 설치시 별문제가 없지만,USB단자를 같이 사용하는 USB포트와 IEEE1284.4의 장치로 설치되는 DOT4USB포트는 설치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포트가 바뀌어 설치될뿐만아니라,프린터의 인쇄속도가 느려지는 원인이 되기도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USB의 약자가 범용 시리얼 버스의 앞글자로 이루어진 표기명이고 시리얼단자의 일종이지만,USB를 꼽는곳이 두포트가 모두 동일하다고해도 USB인쇄지원장치로 인쇄되는것과 IEEE1284.4장치인 병렬포트방식을 지원하는 장치로 인쇄되는것은 인쇄속도차이가 나타나게됩니다.

제어판에서 프린터및팩스 항목을 열어보면 설치된 프린터아이콘이 보이는데,실수로 프린터아이콘을 삭제해버렸을경우에도 포트오류해결을 활용하면 쉽게 프린터아이콘을 다시 만들어 낼수도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EEE1284.4의 DOT4USB포트로 설치되어져버린 프린터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USB포트로 변경할수가 없고,각프린터회사에서 배포하는 프린터드라이버를 새로깐다고해도 중간에 오류인하여 진행이되지않게 됩니다.이럴경우 가장 간단히 오류없이 프린터회사들이 배포한 드라이버를 USB포트로 변경하여 까는방법은

장치관리자를 연후에 IEEE1284.4를 선택했을때 아래에 세부항목으로 나타나는 DOT4라고 표기되는 항목들을 선택하여 모두 사용안함(비활성화)시킨후 배포되어지는 프린터드라이버를 깔면 오류없이 정상적으로 깔리게 됩니다.드라이버를 깐후에 컴퓨터를 다시시작해주면 정상적인 USB포트로 변경되어 인식되어지는 과정이 진행되게됩니다.

일반인들이 누구나 할수있는방법은 위와같고,조금 컴퓨터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라면 레지스트리의 수정을 통하여 포트를 변경할수도 있습니다.그러한 경우는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Enum의 경로찾아서 들어간후 ENUM아래의 폴더들중에 DOT로 시작하는 폴더는 모두찾아서 삭제해준후,배포되어지는 프린터드라이버를 깔아도 오류없이 포트를 변경할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레지스트리 수정법은 위에서 언급한 활용성이 생기는데 프린터아이콘을 실수로 삭제해버렸을 경우에도 DOT로 표기된 폴더를 모두 삭제한후 컴퓨터를 재부팅하면,삭제해버린 프린터아이콘이 생성되어지는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번째:프로그램추가 삭제에서도 삭제되지않고,컴퓨터를 종료시키지도 못하게하는 악성프로그램들이 있을수 있는데 이런경우에 복잡한 단계가 아니라 쉽게 삭제할수있는 상식에 관한것입니다.프로그램추가 제거에서도 삭제되지 않는 프로그램이라도 그것이 깔린 폴더는 존재하게 됩니다.그러한 폴더를 찾아서 폴더전체를 삭제하려고하면 삭제가 되지않지만,폴더를 열어 일부만 삭제하려고하면 삭제되어지는것들이 있습니다.

일부만 삭제해버리더라도 컴퓨터를 다시시작하면 그러한 삭제되어지지 않던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어지지 않게되고,다시 그러한 폴더에 들어가서 나머지 파일들을 삭제해버리면 정상적으로 모두 삭제되어짐을 알수가 있습니다.

프로그램추가 제거에서도 삭제되지않는것은 한번에 삭제하려고 하지말고,설치된 프로그램의 폴더명을 찾아서,폴더를 열어 일부만 삭제한후,재부팅한후 완전히 삭제하면 쉽게 삭제할수가 있습니다.또한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종료가 되지않게하는 악성프로그램들은  C:\Documents and Settings\아래의 숨겨진 폴더인 Application Data속에 폴더가 들어있습니다.어떤명칭이든 프로그램추가제거에 삭제가 되어지지않는 프로그램은 Application Data를 열어 삭제되지않는 프로그램명을 가진 폴더를 찾아 삭제하면 컴퓨터가 종료되지않는 문제를 해결할수가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번째:프린터의 정품잉크들을 자세히 살펴보면,제품용과 판매용이 구분되어져있음을 알수가 있는데 모양은 똑같더라도 그안에 들어있는 잉크의양은 보통 3배정도의 차이가 납니다.잉크가 적게들어가는 잉크통은 숫자끝에 G가 표시되어있거나,숫자표시 마지막숫자가 한단계 아래로 표시가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잉크통에 있어서 웃긴것은 완전히 똑같은것이 어떤것은 HP로 어떤것은 SAMSUNG으로 회사로고와 숫자만 다르게 표시되어 팔린다는것인데,HP60컬러잉크와SAMSUNG C160컬러잉크통은 모양과 크기,칩배열등 모두 똑같은 일란성쌍둥이 인데,HP60으로 표기된 것은 가격이 싸고,C160으로 표기된것은 가격이 더 비싼데 똑같은 재료와 품질로 생산되어진것이 원조차이로인해 가격차이가 생긴다는것,음식점 메뉴들중에도 원조를 붙이는 경쟁을하고  원조를 더 쳐주는데,프린터잉크에 있어서는 가격을보면 꺼구로라는게 재밌군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반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만한 컴퓨터 상식들은 어떤것들이 있을까?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의외의 오류들때문에 당황하게되는데 이럴때 일반상식을 읽어보는것만으로도 충분히 스스로가 오류들을 해결할수가 있다.


이러한 대처방법은 특별한것이아니라 가장 기본적이지만,설마 그러한것이 고장이나 오류를 해결해주겠는가라는

못미더움에의하여 기본적으로 실행하지않기 때문에 간단함을 어렵게 이해하고 일을 만들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즘에도 프린터포트를 무선이나 usb방식이아닌 옛날의 lpt1방식으로 사용하는곳들이 있는데,현재에 나오는 컴퓨터들은 기본적으로  구형인 lpt1방식은 시몬스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되어있는데,장치관리자에서 프린터 포트가 아예 보이지않는것은 시몬스에서 페러럴포드가 사용안함으로 설정되어있기 때문이기에 사용함으로 변경해주면 장치관리자에 자동생성되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이트나 기타 필요하는 카페등에 들어갔을때 엑티스엑스를 설치하려고해도 설치되지않고 "게시자를 확인할수......."라는 차단메세지만 나와 정상적으로 사이트기능을 활용할수없는 경우가 있는데,이런경우는 보안설정에서 "안전하지 않는것......",서명 안된 엑티브엑스......" 두가지 항목을 사용안함으로 체크해준후,엑티브엑스를 설치해주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usb방식으로 나오는 다양한 선들이있는데 앞이나 뒤에에달린 단자의 모양이나 규격이 서로 똑같다고 같은 선으로 생각하여 선구분을 할줄몰라 고장나지도 않은 기기들을 고장났다고 판단하는 경우가있는데,

똑같이 생겼더라도 이러한 선들은 자료나 사진들을 전송해주는 data케이블과 모양은 똑같지만 전기만 충전해주는 역할을하는 충전용 usb선이 있다.

디카나 기타 핸드폰등을 충전할때 같은모양의 usb선이라고 데이타용 선을 연결하여 아무리 기다려도 충전되어지지 않는다.마찬가지로 핸드폰과 컴퓨터의 자료나 사진등을 주고받으려고할때 충전용usb선을 연결하여도 자료나 사진등이 연결되어 지지않는다.

요즘에 나오는 외장하드나 외장시디롬등을 보면 usb단자를 가진 선들이 와이자 모양으로 두가닥으로 되어있는 경우들이 있는데,똑같은 usb단자라도 두개중에 한개는 데이타전송용이고 나머지하나는 단지 전원만을 공급하는 선이다.그러므로 똑같은 단자모양을 가졌더라도 usb안의 단자칩의 배열은 전원용과 데이타용이 다르게 배치되어있기에,2개의 usb단자중 아무선이나 꼽았다고 인식되지 않는다.usb선이 어떠한 용도인가 눈으로 쉽게구분할수있는 방법은 충전용usb선은 충전의 완료나 미완료를 알려줄수있도록 녹색과빨간색을 표시해주는 불빛창이 달려있으나 단지 데이타용 usb선은 이러한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팩스나,프린터,컴퓨터등 사무기기등은 대부분 메모리를 가지고있기에,작동되다가 오류가 생기는 경우가 간혹생기게된다.이런경우는 단지 기기에 연결된 전원선을 뺐다가 30초쯤후에 다시 연결하는것만으로 팩스가 안되거나 프린터가 안되거나 컴퓨터가 안되는 현상이 쉽게 정삭적으로 돌아와 기능하게된다.컴퓨터의 속성-고급에 시스템오류가 생길때 다시시작이라는 항목이 있는 이유도 다시시작하는것만으로 오류가 해결될수가 있기때문이다.

사무기기들뿐만아니라,공유기,보일러등 기타 전원을 사용하여 사용하는 모든기기는 오류가 생겼을때 전원을 완전히 뽑았다가 다시 전원을 공급해주는것만으로 큰 고장으로 생각되는것들이 쉽게 해결되어지는 경우가 많다.단지 전원선만 뽑았다가 다시 연결해주되는것을 하지않아,사람을 부르고 비싼 a/s료를 지불하는 사람들이 있다.

가끔보면 무선과 유선에 대하여 잘못된 상식을 가지고,그러한 상식을 올바른것인냥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특히 인터넷의 속도나 안정성등에 있어서 유선이 좋다라는 잘못된 몰상식을 가지는 경우가있다.보안이나 안정성,도청에있어 유선이 훨씬더 취약하다.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유선은 브라치시켜서 쉽게 도청할수가 있다.

유선은 거북이처럼 속도가 바껴왔다면 무선은 빛의 속도만큼 빠르게 발전해왔다.이러한 결과 요즘은 똑같은 인터넷회사 회선을 사용하더라도 무선으로 컴퓨터인터넷을 사용하는것이 유선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것보다 훨씬더 빠른 인터넷속도를 사용할수가 있게되었다.

인터넷속도가 무선이 빨라요?유선이 빨라요? 유선이라거나 똑같다고 답하는 사람은 한참 시대에 뒤떨어진 사람이라고 할수가 있다.집이나 사무실에서 컴퓨터나 프린터등 기타 기기들을 무선의 인터넷환경과 유선의 인터넷환경중에 어떤것으로 해드릴까요 물었을때 당근 무선을 선택해야한다.

무선으로 이루어진 집이나 사무실이 첨단이며,업무적으로나 기타 효율성면에서도 유선에비하여 더좋을뿐아니라 편리하다.무선에대하여 잘못된 상식중에 무선을 사용하면 유선보다 잘끊기거나 안된다라는 이런 몰상식편견을 상식인냥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핸드폰은 왜 사용하나? 망망대해에서도,지구의 오지에서도 무선은 똑똑하게 연결되어 사용되어지고 불편함이 없는데

고작 수십,수백미터 반경안에서 집이나 사무실안에 설치된 무선기기도 신뢰하지못하고 무선은 끊기고 어쩌구하는 인간이 있음은 코메디이다.유선이 오히려 유선노이즈로 인하여 잡음이 더 크다는걸 아는가? 유선전화기를 들었는데,다른집 대화가 들리는 경우처럼 유선의 선은 자신만이 독차지하여  혼선이나 오류가 없다는 생각또한 틀린것이다.집이나 사무실등에서 위급한 상황에서도 무선은 유선보다 훨씬 유용하고 잘 사용되어지며 유지비 측면에서도 유선은 노후화로인한 선교체를 주기적으로 해줘야하지만 무선은 그럴필요가 전혀없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