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이나 사진을 보다보면 특정부분에 사진기의 플래쉬 별빛처럼 보이는

그림이나 사진들을 볼수있는데,포토샵이나 기타 프로그램사용법을 배워야 할수있는게아니라,

이러한 효과는 포토샵이나 이미지프로그램들을 전혀모르더라도,쉽게 만들수 있는것들이다.

사진에 별빛이 반짝거리는 모습은 어떻게 만드는지에대한 글이다.

아래의 과정을보면 단지 그림의 겹침임을 알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얀색의 막대를 십자가모양으로 만들어준후 늘려준 그림을 만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빛나는 모양의 중심을 만들어주기위해서 하얀 원모양의 그림을 만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개의 그림을 합치면,빛나는 별빛모양같은 그림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을 gif형식으로 만들어주면 움직이는 모양의 별빛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렇게 만들어진 별빛모양을  어떻게 사진과 겹쳐서 사용할수있는지(위에 그림은 홍수현님의 싸이월드 미니홈피 사진화면캡쳐) 적용해보면 아래와 같다.


사진위에다,별빛효과파일을 단지 겹쳐주었다.별빛효과를 만드는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수있기에,자신이 간단하고 쉽다고 생각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주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러개의 jpg파일로 하나의 움직이는 gif파일로 만들거나
반대루 움직이는gif파일을 하나하나의 장면인 jpg파일로
분해하는것은 가능합니다.

이러한 움직이는 형태의 gif파일은
몇분정도 만드는방법만 배우면 아무나 쉽게
다양한 형태의 배너를 만들어 낼수가 있습니다.


gif파일을 만드는게 문제가 아니라,그 파일에 들어갈
그림이나 배경,케릭터원본을 자신이 만들어내야
하므로 그것에 시간이 걸리게 되죠.

kungmi가 만들어낸 kori를 위에보듯이
뭔가 허접하구.....gif 파일로서는 투박하죠.

스스로가 만들어내는 습관을 가져야하는
참여형 웹2.0 인터넷환경에서는 어쩔수없이
kori같은 허접한 케릭터두 나오게 됩니다.(^^*)


일단 만들어냈으니,만화나,케릭터가 필요한 글 내용에서는
kori케릭터를 사용해서 글을 작성해 보려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