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랜 된 구형 노트북에도 현재시점에서도 훌륭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품들이 들어있다. 집안의 한구석에 방치되어있던 노트북을 꺼내어 하드부분을 열어보았다. 강산이 변한다는 10여년이 더지난 하드인데도 용량이 무려 40기가짜리가 장착되어 있었다. 하드로 사용하려면 현재시점에서 별가치가 없지만,  

 

노트북하드는 하드는 데스크톱 컴퓨터의 하드와는 전혀 다르게 하드용도만이 아니라 그자체가 USB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40기가의 USB라면 현재시점에도 쓸 만한 것이다. USB가 USB단자의 전원으로 꼽기 만하면 사용되는 것처럼 구형 노트북하드도 일반전원이 전혀 필요 없고 USB메모리스틱처럼 USB단자에 꼽아만 주면 별다른 전원이 필요 없이 작동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노트북으로 만들어지는 USB하드는 10여년이 훨씬 지난 상태임에도 저장이나 사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이 원활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것과 비교하여 만약에 편리하게 사용하는 USB메모리스틱중에 10여년이 지나도 지금까지 사용하는 USB메모리를 찾아보라면 거의 그러한 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없음을 알 수가 있다. 그만큼 저장능력이나 안전성 향후 계속사용할수 있는 품질상태를 비교했을 때 일반적으로 나오는 칩방식의 USB메모리스틱보다 노트북하드형태로 만들어진 USB하드가 오히려 더 안전하게 보관하여 오래사용할수 있는 저장매체임을 알 수가 있다.

구형노트북이 주변에 있다면 그곳에 들어 있는 노트북하드는 그자체가 USB와 동격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저장매체라고 생각하면 틀림이 없다. 구형노트북하드 그 자체에는 컴퓨터에 꼽아서 사용할 수 있는 USB모양이 안 달려 있는데 노트북하드를 USB단자로 연결해주는 선을 구입하면 되는데 3-5천원이면 쉽게 이러한 선을 구할 수가 있다.

이동식하드를 구입하는 것과 무슨차이가 있는가 살펴보면 이러한 노트북하드를 USB처럼 사용하게 해주는 선은 카드리더기처럼 다양한 크기의 하드와 메모리칩 등을 다양하게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는 형태를 지원하기에 가격이 더 싸면서도 다양하게 사용 할수가 있다. 

 

 

 

어찌되었든 강산이 변한다는 10여년이 지난 구형노트북들에 달린 하드는 오늘날에 나오는 USB메모리스틱과 똑같은 기능을 할 수 있으면서도 오히려 향후에 USB메모리스틱보다 더 안전하고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는 저장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윈도우 8은 언제나 세컨드컴퓨터에만 사용할 운영체제이지 xp나 스마트폰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비싼 돈을 주면서 까지 xp를 버리고 윈도우8을 사용할 가치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윈도우 xp를 계속 사용하는 사람들은 컴퓨터상식과 지식이 더 좋아지겠지만 윈도우8이 좋다고 느껴진다면 이미 컴퓨터상식과 배움에 전혀 관심이 없어지는 상태에 익숙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윈도우8은 윈도우xp와 윈도우7등등 기타 버전들의 사용자가 배워서 사용할 수 있는 부분들을 아주 편리하게라는 명분인지 모르지만 오로지 여러 운영체제를 거치면서 나왔던 모양들을 여기저기 덕지덕지 종이처럼 이어 붙여 이게 뭔 운영체제인지 사람의 머리를 해가닥하게 하는 말 그대로 안드로이드보다 100배는 뒤떨어진 사용습관과 모습을 보여준다는 느낌이다.

아마도 윈도우8이 좋다고 뇌까리는 부류들은 스마트폰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와 비교해보고 그런 소리를 해야지, 구버전의 윈도우운영체제의 모양들을 이어붙이고 안드로이드의 편리함을 모방한 듯한 그러한 요소들이 짬뽕되어 데스크컴퓨터조차 이제는 윈도우운영체제를 버려야 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운영체제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윈도우8이 안드로이드에 비해 사용감 수준이 떨어지지만 xp나 윈도우7의 운영체제들보다 더 간편해지고 편리한 사용이 되게 만든 것은 사용해보면 알 수는 있다. 그러나 이딴걸 데스크컴퓨터에 돈 주고 깔아서 쓰느니 차라리 xp를 사용하는 것이 더 올바르고 현명한 선택이라는 점이다.

어떤 교만한 인간이 이제는 덜떨어진 xp를 버리는 게 올바르다는 식으로 인터넷 카더라 통신 글을 올린다는 댓글을 적어 놨길래 옜날의 윈도우8이 요즘에 설치과정상에 뭐가 더 변했는지 테스트해봤지만 역시나 변한게 없었다.  

 

 

 

과정은 이러했다. 주위에 쓰다가 버려진 구형노트북에서 파타하드를 떼어냈다. 일반적으로 CD나 USB메모리설치만 잘 알고 있는데 저런 버려진 아주 예전의 노트북하드를 이용해서도 얼마든지 쉽게 윈도우8을 설치할 수가 있다.  

 

 

단지 노트북하드를 USB로 인식시켜주는 과정이 더 필요할 뿐이다. 이때에 이용되는 것이 wintoflash를 활용하면 되겠고, 기타 데몬 툴이든지 USB오류수정툴등은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하여 만들어 내면 된다. USB로 인식되게 윈도우8을 파타하드에 집어 넣어준후, 일반적인 운영체제 설치방법에 따라 설치해주면 된다.

주변에 용량이 큰 USB가 없다고 또는 DVD CD가 없다고 윈도우8을 설치 못한다고 생각하지 말고 구형노트북이나 386데스크톱 컴퓨터에 붙어 있는 구형하드일지라도 윈도우8을 설치하는 USB용도로 잘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윈도우8을 second 적어 넣는 이유를 알랑가 몰라^^

스마트폰의 안드로이드처럼 무료로 운영체제를 사용하라고 하지 않는 이상, 돈 주고 윈도우8을 사서 깔아 사용할 가치가 없다는 것이고, 윈도우8이 편리하고 빠르고 어쩌고 다 갇다 붙여도 데스크톱의 운영체제로 윈도우는 xp나 윈도우7까지만 인정되고 그이후로는 없어도 좋을 운영체제란 생각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