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떤경우에 자신의 개인정보들이 타인에게 유출되어 사용되고있는지,그렇지 않은지 알아볼수있는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현상들을 통하여도 나름대로의 체크를 해볼수가있다.


아래의 7가지상황을 자주 직면한다면,자신의 집주소,전화번호,주민등록번호,개인컴퓨터의 사적자료등의 개인정보들이

타인에의하여 도용되거나 유출되어 사용되어지고있다고 생각해볼수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휴대폰에 자신이 아닌 "다른사람 이름,누구 아니냐"는 전화가 자주오는 경우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게임이나 기타 인터넷사이트 로그인시 자동로그아웃현상이나 로그인 오류가 나타나는경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터넷이용시 컴퓨터바탕화면의 마우스가 직사각형 모서리방향으로 자동이동되는경우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입한적이 없는사이트인데 인터넷사용시 이미 회원가입되어 있다는 문구가 나타나는경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냈다거나 받았다는 이메일이  중간에 사라지는 경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이스피싱관련 전화가 휴대폰으로 오거나.060과080번호를 가진 메세지가 자주오는경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의 바탕화면의 인터넷창을 모두닫았는데도 established 되어져있는경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신의 컴퓨터가 좀비pc나 해킹이되고있는 컴퓨터인지 아닌지 초보자도 쉽게 확인해 볼수가있는 방법이 넷스타트 명령어를 활용해보는것이다.


아래와같은 의심포트번호가 보인다면,자신의 컴퓨터의 개인정보나 자료들이 누군가에게 지속적으로 유출되고있거나,해킹되고있다고 의심해볼수가있다.



좀비pc가되었거나 해킹프로그램에의하여 컴퓨터가 해킹되고있을때 나타나는 포트번호는 아래와같다.





아래그림단계로 살펴보면 자신의 컴퓨터의 해킹및좀비pc여부에대하여 간단하게 스스로가 확인해볼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 바탕화면 작업표시줄의 시작-실행-실행창안에 cmd라고 적어준후 확인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검은화면의 도스명령어창이 나온다.나온창상태에서 netstat/?라고 적어주면,넷스타트활용명령어가 상세히
설명되어나온다.필요한부분은 스스로가 읽어보면 되겠고,여기서는 해킹이나 좀비pc로 되었을때 열려지는 포트번호를 확인해보는 것이므로 netstat -a를 가지고 열린포트유무를 확인할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 netstat -a로 적어넣고 엔터를하면,로컬어드레스부분에 빨간색밑줄친부분처럼 자신의 컴퓨터에서 열려서 사용되는 포트번호들이 표시된다.위에 포트는 정상적인 컴퓨터의 모습이다.그러나 포트번호가 다음과같은 것이 보일때는 좀비pc와 해킹프로그램에의한 개인정보가 유출되고있는 컴퓨터라고 생각해볼수가있다.


로컬 어드레스에 열린 포트번호가 80,135,139,445,901,903,1023,1025,1080,1234,1433,2556,2745,3127,3140,3176,5000,5554,6129,
9898,12345,17300
가 나오고있을경우는 자신의 컴퓨터에 해킹프로그램등이 깔려있을 가망성이 있기에,백신을 통한 검사가 필요하다.


또한 바탕화면 상태에서 모든인터넷창을 닫은상태인데도,state항목에 ESTABLISHED라 연결되어지는 포트가 보인다면,자신의 컴퓨터가 해킹이나 좀비PC일상태일 가망성이 높다는것으로,아울러 백신검사 통하여 자신의 컴퓨터에 깔려져있는 해킹프로그램이나 바이러스프로그램들을 삭제해줄 필요가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