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은 노래를 듣고싶어서 노래동영상을 재생을했다.스피커에서는 소리가 정상적으로 나오고있었는데,


혼자 조용히 듣고싶어서 컴퓨터의 전면에 이어폰과 마이크를 꼽는 단자에 이어폰을 꼽았는데 소리가 전혀나오지 않았다.왜 전면단자에서 소리가 나오지 않을까?의문이 들어서 컴퓨터의 케이스를 열어보았다.

선이나 단자의 겉표면에 불량모습이 보이지 않아서 닫아서 이어폰을 연결해보았으니 "깜깜" 다시 케이스를 열어서 오디오단자선을 빼었다가
 

원래의 단자에 끼어넣고 다시 전면단자에 이어폰을 연결해보니 정상적으로 소리가 나왔다.이것은 무슨현상일까? 이론적으로 생각해봤는데 메모리가 접촉불량이 간혹 생기는데 다시 뺐다가 끼워주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것과같이 오디오단자선도 메모리처럼 잘사용되다가 접촉불량현상이 생길수가있다는 사실을 알수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디오 드라이브도 정상적으로 설치되어있고 접촉도 정상인데도 컴퓨터의 전면단자의 오디오에서 소리가 안날때,컴퓨터의 케이스를 열고 전면 오디오단자선을 빼었다가 다시끼워넣는 간단한 동작으로 소리오류문제를 해결할수가 있었다.

노래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알수있었는데,노래동영상 파일의 확장자가 예전에는 avi등의 형식등이 많았는데 flv로 대부분표시가 되었다. 인터넷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이나 노래등을 저장하거나 재생시켜주는 프로그램들은 윈도우미디어,리얼플레이어,알쇼등등이 많이있는데

내가 여러가지 사용해본봐 인터넷에서 재생되는 동영상,노래등을 개인컴퓨터에 다운받고 재생시킬때 쉬운 방법은 알툴바를 설치한후  flv파일로 개별컴퓨터에 저장되어지면,flv를 재생시켜주는 미디어플레어인 알쇼를 설치하여 재생시키는게 젤 편했다.마찬가지로 동영상의 화면을 캡쳐할경우 키보드의 프린터스크린키로해서 그림판에 붙여넣기해도 캡쳐가 안되는 경우들이 있는데  알쇼의 동영상화면 캡쳐기능은 이러한 경우 유용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을 캡쳐하는 방법과 활용
컴퓨터의 바탕화면을 캡쳐하구 그 그림을 편집하여
사용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먼저 모니터화면에 나오는 캡쳐하고자 하는 화면상태에서
키보드자판에 보면 prtScrn써진 키가 있습니다.그키를 선택하면
아무런 반응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화면이 캡쳐가 된것입니다.

캡쳐가 된 화면을 확인하기위해서는 그림판을 통하여
확인해야 합니다.


아래의 그림을 참조하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 처럼 왼쪽항목에 그림판항목을 선택한후
그림판을 열어논 상태에서 키보드 자판키인 ctrl과 v를 동시에
그림판위에서 선택해주면 앞부분에서 prtscrn로 켑쳐했던 화면을 볼수가 있습니다.


그림판을 사용한적이 없다면,왼쪽에 그림판항목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런경우는 아래의 그림을 참조하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처럼
 바탕화면 작업표시줄부분에 시작을 선택-모든프로그램(p)항목을선택
 -보조프로그램항목-그림판을  차례대로 선택해주면 그림판이 나타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