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중국의 지도자의 얼굴모습을 보면,리커창은 상이고,시진핑은 호랑이상이다.우리민족은 예로부터 곰과호랑이 신화에서처럼

인내를 통하여 홍익인간을 실천하는 동물상으로 곰을 선택했고,인내하지 못하고 호환마마보다 무서운것을 호환이라고 하여,호랑이상을 좋아하지 않았다.

얼굴상으로보면 우리민족의 앞날에는 이극강 습근평보다는 밝음을 알수가 있다.

능력과 실력그리고 인내로 성공하는 인물유형이 리커창계열이고,부모 잘만나 그 혜택과 영향으로 부귀영향을 되물림 받는 계열이 시진핑계열로 정의할수가 있는데,

미래의 발전에 맞는 지도자가 어떤유형이 되어야 하는지는 인생의 순리상 어렵지 않게 판단 할수있다.요즘 중국에서는 보리자루인지 보시라이인지 문제가 정치권에서 씨끄러운데,

시진핑이 중국의 지도자가 되는 경우,보시라이가 한것은 세발의 피에 불과한 중국내에서 더많은 억압과 강압에의한,상대세력을 해치고,숙청하는 피바람이 불 것은 그의 발언이력이나 얼굴상을 보았을때,어렵지않게 유추할수가 있다.

보리자루인지 보시라이인지 행적을보면 과거의 레파또리인 이념을 들고 나와서,부모세대에서 물려준 부귀영화를 대를 이어,이미지정치로 먹고살려고 하는 부류이기에,일찍 중국정치사에서 사라져주는것이 중국이나 우리나라의 미래관계를 위해서 유익하다는 생각이 든다.

리커창이냐 시진핑이냐에서,한민족과 중국,양국의 미래발전을 고려한다면 리커창과의 관계를 강화하는것이 지혜롭다고 생각 되어진다.6.25어쩌구 또라이짓을 할때부터,호랑이상인 호환이 떠오른다 했는데,요즘의 시진핑의 행보를보면,이런 인간이 중국이 지도자가 되었을때 중국에서 벌어진 피바람은 예상가능하고 더불어 한민족과 중국의 미래발전을 불행하게 만들어,한민족과 중국의관계를 꺼구로 돌일 결정적인 인물이 되어질 가망성이 상당히 높다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선왕조실록을 살펴보면,재미있는 사건과이야기들이 많다.조선시대에 로또라구 볼수있는 호랑이
대한 기사를 살펴보자.

태종5년(1405년) 호랑이가 궁궐의 근정전에 돌아다녔다.호랑이가 엄격한 사람의 통제를받는 궁궐안까지 침입해서 돌아다닐정도면,허허벌판이나 경계병이없는 일반백성들이 사는 주거지는 쉽게돌아다니며 공포의 대상이 되었을것이다.

비디오테이프에서 나왔던 어린아이의 울음두 그치게만든다는 호환마마 이런구절이 말장난이아니라 조선시대의 민중의 삶속 현실에서 직접적인 공포그자체였음을 알수가있다.


저녁 으쓱한 시간에 싸립문밖에 혀를 내름두르고,사람을 잡아먹으려구 집문밖을 돌아다니는
호랑이문제는 단순한 호기심차원이아니라,백성의 삶과연결된 조선시대의 정권안위의 차원이었다.

이런현실이다보니,다음과 같은구절이 조선왕조실록에 보인다.

성종2년(1471년) 군인가운데 호랑이에게 창이나 화살을 맨먼저 맞힌자에게는 휴가 50일을주고,
두번째루 맞힌자에게는 휴가 45일을 주고.......

세조9년(1463년) 호랑이를 잡는 궁술에 능한 권이(權耳)라는 사람에게 겸사복이라는
벼슬을 내렸다.

세조14년(1468년)
악한 짐승(호랑이)을 잡아 죽이는것은 상줄 만하니
, 그것을 논공(論功)하여 아뢰라

몇가지 구절만을 살펴보더라두,조선시대에서 호랑이를 잘잡아 죽이는것은 휴가를 얻는
길일뿐만아니라 벼슬까지두 얻을수있구, 말이나 비단등의 물질적혜택두 아울러 상으로
받을수있는 로또였다.

이와는 반대루 호랑이문제를 잘대처하지못하는경우는  잘나가던 벼슬두 댕강되어
파직당하는 사람두있었으니

중종26년(1531년) 호랑이를 잡을때 임무를 소홀히한 대장 김호를 파직하였다.

500년이 넘는 조선시대동안 호랑이에 대한 피해인 호환문제는 어느왕때만 발생하는
일부인 20-30년의 단기간의 문제가아니라 조선시대내내 고질적인문제였다는점이다.

세계각국에는 야생호랑이들이 사는나라들두 많다.그러나 만약에 우리나라에서 동물원이
아니라,우리나라에서 야생호랑이가 멸종된것이 슬픈일이니 복원하여 지리산이나 설악산,
한라산
등에 야생호랑이를 풀어논다는 정책을 나라에서 시행한다면 과연?  현실적면에서
그 슬픔만으로 국민들이 호환의 문제를 받아드리겠는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