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하철을 탔는데,급하게 타더니 이거 어느역 가는지 물어보는 할머니가 있었는데,주위에 있던 청년이 친절하게 설명해주더군요.


지하철이 출발하려 하고있는데,50대 중년부부로 보이는 사람이 지하철역 플레폼으로 떨어져서 걸어오더니 여자분은 먼저타고,


뒤에 떨어져오던 남자분은 지하철 문이 닫히면서 탈수없자,여자분이 닫히는 문을 닫히지 않게하려고 손을 넣었는데,지하철이 그냥 출발해버려서 손이 낀 아줌마가 비명을 지르기 시작하자,



주위분들이 이걸어째,하고 웅성웅성 거리기만 했다.평소 지하철의 객차에는 이런 응급상황시 지하철을 운전하는 기관사와 직접통화할수있도록 객차마다 인터폰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있었기에,얼른 인터폰을 들고,기관사와 통화를 했죠,

"00째 객차안인데,사람의 손이 지하철문에 끼어서 운행되고 있어요,몇번째 차량칸이라고요? 00번 이요" 지하철은 자신의 탄 객차에는 차량마다 고유번호가 인터폰옆에 적혀져있기에 쉽게 알수가 있다.지하철이 다음역에서 멈추자,

가뿐숨을 몰아쉬며 여자분이 알려준 차량칸으로 달려왔는데,여자기관사가 운전하는 지하철인듯 했다.손이 낀 아줌마와 여자기관사가 지하철에서 내려 플래폼에서 이야기를 주고받는 동안 지하철은 계속정차해있을수 밖에 없었기에,그 모습을 보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위에 승객들에게 어느역 가는지 물어보던 그 할머니가 나서더니,손에 낀 아줌마와 기관사가 들으라는듯이 큰소리로 " 문에 손낀것가지고,바쁜사람들 모두 못가게 하고있어"라며 면박을 주었다.

할머니의  심리가 왜 이모양일까 그런 생각이 들었다.자신이 어려울때는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면서,자신을 불편되게하거나 불이익되는것에는 조그만한 이해심도 없이 권리가 제한당한것만이 부당하다는 생각만하는 모습을 보면서,남이야 어찌되었건,자신만 볼일을 잘보면 된다라는 권리주장만있고,남을위한 자유에따르는 배려의 책임은 강조되지않는 오늘날 대한민국의  덜떨어진 3류 정치문화의 시류를 보는것 같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이트 톡톡의 승무원헌팅 관련글을 읽어보다가 생각난것이 비행기를 타고 다니다보면 귀여운 캐빈크루들을 볼수가 있다.


남자승무원이든 여자승무원이든 귀엽거나 잘생긴분들이 많다.일반적으로 그런분들과 이야기 나눌수말은 "뭘 드시겠습니까? 좋은여행 되세요"같은 단조로운 대화뿐이다.


별관심이 가지않는 사람인경우는 상관없겠고 자신이 마음에드는 스타일이 객실승무원이라면 어떻게 자연스럽게 "인연"를 만들것인가에 대한 내용과



톡톡되신분이 아름다운 별사진이라고 올려논 위에사진이 내컴퓨터에서는 검은색밖에 안보였기에,별빛을 움직여 몇개의 파일을 만들어 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헌팅스타일:아저씨스타일 "명함을 건네준다('⌒') "  젊은이스타일 "저기요,(づ_-) 핸드폰을 건네준다" 삼룡이스타일"저..저..(づ'0')づ 쪽지를 건네준다"


비행기를 타면 특이하게 생각드는게 자리가 많이 남아있는데도 빈자리에 앉아서 졸고있는 객실승무원을 본적이 없다는 것이다.승객좌석과 나란이 앉아서 이야기할수 있는 경우도 없겠는데,유일하게 마주앉아서 대화할수도 있는좌석이 "비상구좌석"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착륙시 비상구는 스탠바이상태 일수밖에없다.비행기를 타게 될경우,비상구좌석을 배정받았다고 분노하거나 화낼 필요없이 긍정적으로 생각하자.

비상구 여는 그림책을 조콤 읽어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긴하지만,귀여운 캐빈크루 얼굴을 마주앉아 볼수도 있고,고객님은  할머니,할아버지 대우를 받으실 연세는 아니시다라는 표시이기도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생각 하나

돈의 모습에 대하여 생각해보았다.할머니들이 주시는 돈은 꼬깃꼬깃 접힌 돈들이 많다.

용돈이나 날품을 팔아 모으신 돈의 모습은 반듯 반듯한 의미보다 오랜세월을 뭍혀있었던것같은 지폐의 모습을하고있다.

할머니들이 입는 몸빼안에는 주머니가있고 그곳에는 알사탕이나 꼬깃꼬깃 접혀진 동전과 지폐들이 들어있다.



몇천원씩 얼마의 기간을 모아서 놓은돈인지 알수없지만,그러한 돈을 누군가를 위하여 몸빼주머니속에서 꺼내어 주시는 모습을보게되면 삶의 무게가 느껴진다.




생각 둘

비오는 바다를보니 백로가 열심히 걸어서 움직이고 있었다.사람은 비가오면 우산을 쓰고,걸어다니는 짐승들도
비가오면 비를 피하는 장소로 찾아가는데,새들은 비가오면 날아가다가 비를 피하러 갈까?라는 생각이 들었다.걸어다니는 동물이아니라 하늘을 날아다니는 새이기에,창공에는 비를 피할수있는 장애물이 없다.

비가오면 새들은 하늘의 어떤곳에서 비를 피할까? 백로를 봤는데,백로는 비가오면 오는데로,날씨가 좋으면 좋은데로 있는 그대로 살아가는 새라는 생각이 들었다.어쩌면 백로는 비가올때 비를 맞는걸 더 좋아하는 새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억수로 솟아지는 비속에서 비를 피함이없이 오히려 더 활동적으로 얕은 바다위를 걸어다니고 있었다.



생각 셋

사람은 자신이 처한환경과 일을통해 규칙적으로만 살다보면,행복한건지,불행한건지 스스로도 알수없는 매너리즘에 빠지게된다.뙤약볏이 쟁쟁 비추던날 삽을들고 오백번정도 흙을 삽질하다보니,머리에서는 땀이 비오듯 흐르고,손바닥에는 물집이 저절로 생겨서 쓰라렸다.

머리속에서 이집트 노예들이 채찍을 맞으며,피라미드를 건설하는 영화장면이 스쳐갔다.영화에서 보는 노예들의 얼굴에는 고통과불행의 그림자가 가득한데,난 왜 마음이 편할가하는 생각이 들었다.자신의 일만 전부인냥 펜대만 굴리지말고,때론 돈을 받는게아니라 주고서라도 육체노동을 꼭 해봐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