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북한의 권력계층이 이합집산을 통제하는 측근형태와 아버지인 김정일의 죄업은 스스로가 받지않고 천수를 누리고 죽지만

그 업보는 아들에게 이어진점과 장자가 아님에도 왕위에 오르고 짧은 통치기간을 누리다

갑자기 비명횡사한 조선시대의 왕의 사주가 딱 한명이 있는데,

사주팔자가 일치하는것을보면,역사는 미래의 거울이라는 표현이 맞는듯하다.



1468-1469년까지 권력을 휘둘렀던 예종임금이 있었다.젊은 나이에 당뇨병과고혈압을 앓는다는 애새끼 김정은처럼 예종임금은 이팔청춘의 나이에 재위에 올랐음에도 졸린 닭대가리마냥 피곤해하는 스타일을 가졌는데,유일하게 좋아하는것은 군사들을 모아놓고 열병식을 하는것 이었다.

이사람에게는 한명회라는 신하가 있었는데,한명회는 그 자신은 어떠한 경우에도 왕위를 넘볼 생각을 하지않았지만,왕의 권력에서 보호받고,부귀영화를 이루는 방법을 찾아내는데는 아주 머리회전이 빠른 사람이었고,이러한것을 위해서는 사람을 죽이는것에 눈하나 깜짝하지 않았으며,왕에게 무엇을 바치면,
자신의 안위도 행복해질까를 본능적으로 실천한 인물이었다.

북한의 장성택이 미모의 여자를 골라 애새끼 김정은에게 바치는것은 한명회가 자신의 딸을 예종에게 바쳐,외척세력을 형성하는 과정을 되풀이하고 있으며,역사속의 운명으로 봤을때 장성택은 한명회처럼 자신이 받드는 인물을 배신하지 않는 충직함을 보이며,천수를 누리고 죽겠지만 사후에 역사의 평가에있어 무덤에서 꺼내져 부관참시되는 역사의 비난을 받을 숙명이 주어짐을 알수가 있고,

애새끼 김정은의 운명은 선대의 업보에따라 천수를 누리지 못하고 비명횡사할 팔자임을 알수가 있다.아버지인 김정일이 수많은 살인과 악행을 저질렀음에도 천수를 누린것처럼,예종의 아버지 세조는 자신의 권력을위하여 수많은 사람을 역적이니 반란이니하는 명목으로 쳐죽였지만 천수를 누리고 죽었다.

왜 김정일은 다른 독재자들의 예정된 운명처럼 총맞아죽거나,국민에게 찔려죽지않고 천수를 누리고 죽었을까라는 의문이 들수도있지만,역사를보면 단종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한 세조의 재위기간을 역사속에서 필요했다라는 의견이 있는것처럼,김정일의 악과는 많지만,한민족의 역사에있어 핵무기를 보유하고,핵보유국지위를 한민족이 가질수있게한 역사의 관점에서보면 필요했을수도 있기에,세조처럼 천수를 누리고 죽을수 있었는지 모른다.

이둘은 천수를 누린 댓가로,그자신이 행한 악업에대한 인과응보는 자식에게 이어져,자신의 아들대에서 대가 완전히 끊어지고,뒤를 이은 아들들은 모두 20대의 젊은나이에 비명횡사하게 된다.



세조가 추운겨울에 죽자,1468년 눈내리는 날 재위를 이어받은 예종은 버티고,버틴 최후의 기간이 1년 2개월에 해당하여 1469년 겨울 11월28일날에 비명횡사하게된다.

애새끼 김정은의 예정된 팔자라면,조만간 김정은의 발쪽이 아파 걷기가 불편한 병증상이 나타날것인데,예종또한 그러한것이 전조가 나타났다가 꼴깍닥했음으로 예종과 동일한 사주를 가진 애새끼 김정은의 병증도 미리알수가 있어보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tv속의 역사드라마나 사극들을보면,기껏해야 궁궐밖에서 문을 지키는 병졸들이나 포도대장정도만이 칼을차고 있는 모습이고,

왕들앞에서는 모두 유약하게보이는 유교문신들만이 대가리를 조아리는 모습을 보인다.

문치의 시대라는 조선시대,그중에서 문화의 꽃을 활짝 피웠던 세종조의 기록을 통하여 오늘날 tv속의 역사드라마처럼 왕의주변에 칼을차고 서있는 사람들이 없었는지 살펴보자.

세종14년(1432년) 세종과 신하인 권맹손과 나눈 대화는 이러했다.



세종:중국은 무신만이 칼을차고 시위하는게아니라,일반신료들도 칼을차지 않는사람이 없다하고,아버지인 태종때에도 중국에 사신으로갔던 정역이 아래기를,중국의 신료들은 모두 칼을 차고있습니다라고 했는데 그러지 아니한가?



 

권맹손:중국에서는 그렇게하고 있사옵니다.



 

세종:그런데 왜,우리나라에서는 무반재상들조차 칼을차고 다니는것을 부끄럽게여기고,들고다녀야할 칼을 시종에게 들고다니게하니,이게 뭔꼬라지냐,왕앞에서 신하들이 시위할때 칼을 차는 문제에대하여 격식을 정하여 아래도록하여라.



세종대왕의 분부에의하여 세종14년(1432년)10.29일 병조에서 신하들이 궁궐에 들어올때나 시위할때 칼을차는 문제에대하여 격식을 정하여,왕에게 아래었다.


"중국의 대소무관은 모두 칼을차고 다니는데,오직 우리나라 무관만이 입직과 시위할때 칼을 차고있지않고 2품이상의 무관이 되어도,별운검이외는 칼을 들고다니지 않으니 잘못된것으로 생각합니다.앞으로는 품계와 상관없이 무관은 칼을차고 시위하도록하고 유신이라도 무관직을 겸하는경우는 칼을차도록 제도화하는것이 좋겠습니다하니,세종이 이르기를 제도화하여 지키도록하라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종의 이러한 혜안은 뒷날의 엄청난사건의 성공과실패의 단서가되는데,세종의 아들문종 그리고 문종의 아들 단종대에 이르러,왕위를 찬탈한 수양대군을 제거하기위한 사육신사건이 일어났다.이때 무관으로 칼을차고 왕을 시위하던 사육신중의 한명이 유응부였는데,명나라 사신을위한 연회를 창덕궁에서  베풀고있을때 재수없게도 한명회의 충고를받은 수양대군이 그날따라 칼을찬 무관이 시위하는것을 하지말라고하여,결국 사육신의 거사는 실패로 돌아가게된다.


세종이 좀더 엄격하게 제도화시켰다면,손자가 불행하게 왕위를 찬탈당하여 수양대군에게 죽게되는일을 막을수도 있었을것이다.어찌되었든 역사드라마에서 유약한 신하들만이 기립하여 서있는 모습은 그당시 실제의 모습과는 다르다는 점이다.조선시대의 왕앞에서 칼을차고 서있는 무관신하들도 있는것이 자연스러운 모습이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원문

 

"始勤終怠는 人之常情이니 원컨데 終眞할 것을 如始하소서"

 

국역


1.

"처음에는 부지런하구 나중에는 게으른것이 사람의 상정이니 원컨데 나중을 삼가기를

 처음처럼 하소서"


2.

"처음에는 부지런하구 나중에는 게으른것이 사람의 상정이니 원컨데 나중을 삼가기를

 처음처럼 하소서"


 

영작

 


" To initially the estuary comes being lazy eagerly to lastly mind of the person is force to be bitter initially and the end to be  same under the smallness from "


" to initially site len the estuary to the lastly lazy thing upper affection of the person is in small cymbal case place true feelings won khen the place lastly the trivalent flag  like initially under smallness from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