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형 프린터들인 경우 드라이브를 깔때 usb방식이 아닌,dot4나 기타 다른방식으로 포트가 연결고정되어지는 경우가 있다.


어떤포트형식으로 연결해도 인쇄는 되겠지만,포트연결 타입에따라 인쇄속도의 차이가 크다.일반적으로 usb포트 인쇄방식이 낫다.



프린터의 포트가 고정되었을때 네트워크포트가 아닌 일반 usb포트생성방법에 대하여 알아두고,폴더옵션의 폴더옵션권한항목에대하여 배워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프린터의 네트워크포트이외의 포트의 추가는 일반적으로는 할수없고 제어판-새하드웨어추가항목을 활용하여 추가해줄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 하드웨어 장치추가를 선택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목록에서 직접 선택한 하드웨어설치를 체크한후 다음으로 진행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프린터항목을 선택해서 다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 포트사용 항목에서 원하는 포트방식을 추가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같은 폴더의 마우스오른쪽-속성을 선택했을때 보안항목이 있고,없음이 차이설정은 폴더의 파일을 열어보려고했을때 "엑세스할수 없습니다"라는 메세지가 나올때 사용자권한할당을 통하여 엑세스거부문제를 해결할수가 있다.아래의 그림처럼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폴더옵션에서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폴더 공유권한을 지정에 체크하거나 체크하지않는 선택에 따라 보안항목이 나타나거나 사라진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블로그에 달린 댓글을 달다가 컴퓨터의 휴지통기능에 대한 상식글을 적어보는것도 좋을거같아,


컴퓨터의 바탕화면에 나타나는 휴지통에대한 상식과 활용성에대하여 적어보려고한다.


바탕화면의 휴지통은 활용하기에따라,복구,삭제,변경,숨김등 여러가지 모습으로 활용할수가 있다.


바탕화면의 휴지통의 삭제기능 활용과 아이콘변경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무엇을 삭제시키고있는지 살펴볼수있는 방법과 컴퓨터 바탕화면의 휴지통에대한 전반적인 일반상식에대한 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 바탕화면의 휴지통의 경로는 내컴퓨터-로컬디스크(c)을 열었을때,평상시에는 보호되어지는 운영체제의 숨겨진 폴더상태로 존재하고있다.휴지통을 볼려면 위에그림처럼,열려진 로컬디스크(c)에서,도구-폴더옵션을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처럼 폴더옵션창에서-보기-보호된 운영체제 파일 숨기기(권장)에 체크해제를한후,숨긴 파일및 폴더 표시안함에 체크되어있는것을 숨긴파일및 폴더표시에 체크해준후 적용-확인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열려진 로컬디스크(c)창을 보면,숨겨져있던 RECYCLER폴더가 희미한 폴더모습으로 보여지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휴지통 경로인 RECYCLER폴더를 열면 위에그림처럼 휴지통아이콘이 들어있다.휴지통아이콘 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보내기-바탕화면 바로 가기 만들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탕화면에보면 휴지통아이콘이 생성되어 있음을 알수가 있다.휴지통아이콘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이름바꾸기를하여,임의의 이름을 만들어준다.바탕화면에 휴지통이 삭제되거나 없는경우는 이단계에서 휴지통으로 이름을 변경하여 사용하면 되겠다.여기서 임시삭제통을 만드는 것은 휴지통일반상식에대하여 활용해 보기위해서 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 임시삭제통에 파일을 삭제했을때,휴지통바로가기 아이콘으로 만들어진 휴지통과의 차이를 알수가있는데,RECYCLER폴더로 만들어진 임시삭제통은 파일을 삭제시켰을을때,파일이 삭제되어지는것은 똑같지만 기본휴지통나 휴지통바로가기 아이콘으로 만들어진 휴지통에만  파일이 삭제되어 쌓여있음이 표시되어짐을 알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본휴지통인 휴지통의 이름을 임의의 이름으로 바꿔준다.여기서는 중요문서로 살짝 바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처럼 바탕화면 빈공간-속성-디스플레이등록정보창-바탕화면-바탕화면 사용자지정-휴지통아이콘을 선택한후-아이콘변경을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러가지 아이콘중에 임의로 폴더아이콘을 선택해준후-확인-확인-적용-확인해주면,기본휴지통은 단지 중요문서폴더처럼 바탕화면에 보여지게됨을 알수가 있다.휴지통이(가득참)아이콘도,위와같이 폴더아이콘으로 변경시켜준후,임시삭제통을 기본휴지통처럼 이름을 휴지통으로 변경시켜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가 바탕화면에 휴지통에 무엇인가를 삭제했을때,휴지통으로 변한 RECYCLER폴더로 만들어진 임시휴지통은 휴지통에 파일들을 삭제시킨것처럼 삭제되어 비워져있는것처럼 자연스럽게 보이기에 주위를 기울여,확인을 해보지않는이상,삭제되어진것으로 인식되어지게된다.이것은 단순 눈가림으로,중요문서아이콘으로 변한 기본휴지통 폴더에는 사용자가,삭제되어진것처럼 보이는 휴지통파일들이 차곡차곡 쌓여있어,무엇을 삭제했고,무엇을 봤었는지 들여다 볼수가있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의 바탕화면의 휴지통은 일상생활에서처럼 버리면 그만인것이 아니라,모르면 황당할수있는 다양한 일반상식적 기능을 포함하고있음을 알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터넷에서 뉴스기사나,글제목을 선택할때는 한번에 선택되어지구,열리는데,바탕화면에 폴더나 아이콘들은 한번선택하면,선택표시가되어지구,두번선택해야 창이열리게된다.


이러한 현상은 폴더옵션의 설정이 그렇게되도록 기본설정이 되어졌기때문이다.


폴더옵션의 설정을 바꾸어주면,마우스를 아이콘에가져가는 그자체가 한번의선택이되구,뉴스기사나 글제목을 선택했을경우와 마찬가지로 한번의 선택만으로 열리게된다.




인터넷익스플로어나 기타 아이콘을 선택했는데,열리는반응이늦거나,왜 꼭2번선택해야 열리는지 귀찬다구 생각이든다면,한번선택으로 열리도록 설정해주면된다.의외로 아이콘들을 두번선택하게해서 열리는것보다,한번선택으로 열리는설정이 더편하구,빠른기능을 가지구,컴퓨터사용시나 인터넷작업시 빠른속도와 편리함을 주는 장점이있다는것을 알수가있다.한번설정해서 사용해보면,거북이처럼 느리게 아이콘을 두번선택해야되는 그런설정은 더이상 사용하구싶지않게된다.아래의 그림단계로 설정을 해주면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제어판-폴더옵션-일반-마우스클릭-한번 클릭해서 열기(가리켜서 선택)(s)에 체크해준후 밑에부분의 아이콘을 가릴킬때만 아이콘이름에 밑줄에 체크해준후-적용-확인-을해주면된다.이렇게되면,바탕화면 익스플로어아이콘을 열때나,뉴스기사를 열때나,사진첨부할때나,동일하게 1번선택으로 기능이되므로,열리는 속도가 훨씬빠를뿐아니라,거북이처럼 느리게 아이콘을 2번선택했줘는지,안했는지 착각하게될일두없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