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tv속의 역사드라마나 사극들을보면,기껏해야 궁궐밖에서 문을 지키는 병졸들이나 포도대장정도만이 칼을차고 있는 모습이고,

왕들앞에서는 모두 유약하게보이는 유교문신들만이 대가리를 조아리는 모습을 보인다.

문치의 시대라는 조선시대,그중에서 문화의 꽃을 활짝 피웠던 세종조의 기록을 통하여 오늘날 tv속의 역사드라마처럼 왕의주변에 칼을차고 서있는 사람들이 없었는지 살펴보자.

세종14년(1432년) 세종과 신하인 권맹손과 나눈 대화는 이러했다.



세종:중국은 무신만이 칼을차고 시위하는게아니라,일반신료들도 칼을차지 않는사람이 없다하고,아버지인 태종때에도 중국에 사신으로갔던 정역이 아래기를,중국의 신료들은 모두 칼을 차고있습니다라고 했는데 그러지 아니한가?



 

권맹손:중국에서는 그렇게하고 있사옵니다.



 

세종:그런데 왜,우리나라에서는 무반재상들조차 칼을차고 다니는것을 부끄럽게여기고,들고다녀야할 칼을 시종에게 들고다니게하니,이게 뭔꼬라지냐,왕앞에서 신하들이 시위할때 칼을 차는 문제에대하여 격식을 정하여 아래도록하여라.



세종대왕의 분부에의하여 세종14년(1432년)10.29일 병조에서 신하들이 궁궐에 들어올때나 시위할때 칼을차는 문제에대하여 격식을 정하여,왕에게 아래었다.


"중국의 대소무관은 모두 칼을차고 다니는데,오직 우리나라 무관만이 입직과 시위할때 칼을 차고있지않고 2품이상의 무관이 되어도,별운검이외는 칼을 들고다니지 않으니 잘못된것으로 생각합니다.앞으로는 품계와 상관없이 무관은 칼을차고 시위하도록하고 유신이라도 무관직을 겸하는경우는 칼을차도록 제도화하는것이 좋겠습니다하니,세종이 이르기를 제도화하여 지키도록하라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종의 이러한 혜안은 뒷날의 엄청난사건의 성공과실패의 단서가되는데,세종의 아들문종 그리고 문종의 아들 단종대에 이르러,왕위를 찬탈한 수양대군을 제거하기위한 사육신사건이 일어났다.이때 무관으로 칼을차고 왕을 시위하던 사육신중의 한명이 유응부였는데,명나라 사신을위한 연회를 창덕궁에서  베풀고있을때 재수없게도 한명회의 충고를받은 수양대군이 그날따라 칼을찬 무관이 시위하는것을 하지말라고하여,결국 사육신의 거사는 실패로 돌아가게된다.


세종이 좀더 엄격하게 제도화시켰다면,손자가 불행하게 왕위를 찬탈당하여 수양대군에게 죽게되는일을 막을수도 있었을것이다.어찌되었든 역사드라마에서 유약한 신하들만이 기립하여 서있는 모습은 그당시 실제의 모습과는 다르다는 점이다.조선시대의 왕앞에서 칼을차고 서있는 무관신하들도 있는것이 자연스러운 모습이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21c선진대한민국의 반듯한토대를 쌓구,훗날 대왕세종이라는 성군의 모태가 되는 모델인 태종에 관해서
살펴보고자한다.태종시대에,"일인지하 만인지상"이라구 불리는 영의정이 어떤 스타일이 나라의 미래에
도움이 되었는지 찾아보자.구절이 의미하는것처럼,영의정은 오늘날의 총리와 동격이라구 볼수가있다.
이런 자리는 공직에서 올라갈수있는 최고의 수장이기에,가문의 영광일뿐만아니라,그시대의 공.과와
함께 역사에 기리남게된다.

강력한 지도력을 발휘해서 국가의 반듯한 토대를 마련했던 태종시기에 그시대를 함께하여,대왕세종의
태평성대를 이룩하게 만드는데 일조했던 영의정인 유정현과 성석린의 인물을 분석해보자

유정현:매사에 무척꼼꼼하구,낭비하는 습관을 싫어하여 일면  인색한 모습으로 보여졌지만,
          시종일관 원리원칙을 존중하여,이러한 영의정의 습관은 훗날 대왕세종의 안정적 재정기반을
        펼질수있는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성석린: 이분의 시를 보면 그 성품을 알수있는데 시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말이 충성되구,진실하며 행실이 돈독하구,조심스러우며,그른일 아니하면 내몸에
            해없구,남이 미워하지 않나니,행하구 여력이있거든,학문조차하리라"

강력한 지도자아래에서의 재상은 위에 모델처럼, 대제학 오늘날의 교육관련벼슬을 했던 사람들이
재상으로 나라를 풍요롭게만들었음을 알수가있다.

그러므로,순리알구,원리와 원칙을 중요하게 여겼던 교육자들이 태종시대의 재상이었음을 알수있는데
강력한 지도력은,조화를 이루어 발전되었음 알수가있다.즉 지도자가 강하구,재상또한 강한게 나라의
미래를 밝게했던게아니라,아이러니하게두,지도자의 성격과 재상의 성격은 서로상호보완되도록했을때
강력한 지도력이 나와,발전적 나라의 기틀과 토대가 되었다는것이다.

자유와 정의 그리구,세계일류국가로 나아가는 대한민국의 기틀과 토대를 반듯하게해야할,재상은
지도자를 보완하는 성품을 가지구있어야한다는것이다.

그러므로 나라의 미래와 번영된 세계일류국가의 모습을 만들어낼,총리의 자질은,유정현과 성석린
같은분들이 나와야함을 알수가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