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년은 몇일인가?라고 물으면 대부분은 정확하게 365일이라고 대답하지만 한달은 몇일인가?라고 물으면 제대로 대답하는 사람이 드물다.

태양을 기준으로하는 365과 달을 기준으로하는 음력을 사용하는 사회관습의 한달의 개념이 다르기때문이다.

한달,두달할때의 달은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의 모양이 보름달에서 다시 보름달이 완성될때까지의 기간이 한달로 정했는데,

달의 이러한 완성주기는 평균 29,30일 정도가 걸렸다.이것을 12번 완성하면 1년이되었는데,


문제는 1년의 기준을 달만을 참고하여 1년은 354일이 아니라,1년을 지구가 바라보는 태양의 위치,지구는 태양을 기준으로 원을 기준으로 돌고있으므로,태양주위를 한바퀴 돌아 완성했을때의 1년 총날수가 365일이었다.고대로 태양과달은 날짜개념을 정하는 기준이 되어왔는데,일률적으로 태양을 기준으로하여 날짜를 정하여 사용하면,간단하고,편리하기에 오늘날 우리나라뿐만아니라,전세계에서 공통표준으로 사용하고있다.

그러나 아직도 달을 기준으로 일년을 계산하는 음력을 사용하는 국가들이 있는데,달의 완성주기로 1년을 보면 354일밖에 되지않고,농사나 계절의 변화에 큰영향을 미치는 태양을 기준으로한 1년은 365일의 주기와 일치하지않기에,이러한 불일치를 태양을 기준으로 1년을 일치시키기위하여 윤달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윤달은 태양기준의 1년과 달기준의 일년의 차이에서 매년 발생하는 평균 11일정도차이를 2-3년 모아두았다가,정기적으로 한달을 추가하여 일년은 12달이아니라,13달이 1년을 되게하여 태양과 달의 1년완성주기를 정기적으로 일치시켰다.윤달은 음력기준으로보면 부가적으로 생긴 한달이기에,공짜 한달이라는 개념이 되어진다.

윤달은 12달중에 어떤달에 부가하여 한달을 추가했는가라고 보면 음력에서 정상적인 1월이있고 윤 1월,이렇게 1월달이 두개가되는 해가있는데,2009년 올해는 5월에 윤달이 적용되어서 음력으로는 정상적인 5월과 윤5월이 적용되지는 해이다.올해는 그러므로 음력으로는 5월이 두달이 되어지게된다.

윤달의 논리상 어떤규칙을 정하여 부가된 달을 집어넣을필요는 없고,태양의 기준과 불일치되는 달의 1년주기의 짜투리 날짜를 모아두었다 붙여주면 됨을 알수있는데,이렇게되면 윤달은 언제냐라고 했을때,규칙성을 얻을수없기에,나름대로 규정을 만드는 방법이 다양했다.

이러한 규칙을 정하는데있어 참조한것이 지구가 태양을 한바퀴돌면 1년이되고,한번완성은 하나의 원이 완성되고 이것의 각도는 360도가되어지고,이것을 15도씩 24개의 원에 점을 찍어서 24등분을 만들고 이것을 24절기라고 규정하고,각등분마다 이름을 붙였다.

24절기중에 우리에게 익숙한 등분중에 하나가 동지팥죽을 먹는 동지이다.이처럼 24절기중에 동지같은 12개의 기준점이 들어있지 않는달이 들어있는 달이 있는데 이러한 달에는 윤달을 부가하는 규칙을 임의로 만들었다.

왜 음력에서 윤달을 반드시 만들어줘야만 할 실생활이 필요성이 있었을까?, 만약에 이러한 윤달의 규정을 적용하지않으면,달의 1년인 354일과 태양의 1년인 365일의 날짜차이가 10년만 그대로 윤달을 적용하지않으면 4달정도의 차이가 발생하여,음력 8월이 태양의 계절로 봤을때 12월이 되게되어,음력으로는 여름인데,태양의 계절로는 겨울의 계절이되기때문에 음력에있어 윤달은 필수적으로 만들어줘야했다.

윤달은 1년에있어 공짜달,부가된달이기에 이러한 윤달은 복덩어리달로 생각되었고,일상생활에서 집안을 정비하거나,수의를 맞추거나,치과치료를 받거나,헌것을 새것으로 만들거나,안좋은것들을 새롭게 좋게 만들어주는 달로여겨졌기에,윤달에 이러한것들을 행하였다.공짜로 부가된 한달이므로 인간만이 알고,귀신이나 신도 몰라!!, 윤달에는 신경을끄고,인간들의 행동을 살피지않는다라고 생각되어졌기에 평소에 안좋다하는일도,윤달에서는 해도 귀신이나 신의 노여움을 사지않는다라고 하였다.

편리한 서양력만을 사용하는것에 비하여,음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것이 좋은점은 없는가라고 살펴보면,태양의 천문변화도 중요하지만 인간의 삶에는 달의 천문변화도 현실적이나 과학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낮엔 해처럼,밤에 달처럼,그렇게 살순없을까? "라는 노래처럼,낮에 주관자인 태양이 계절의 변화를 만들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한다면,달은 밤에주관자로써,인간의 사랑과감정에 큰영향을 미친다.인간의 임신주기나 여성들의 생리주기는 달의 한달의 완성주기인 29일을 기준으로 한달이되고,바다의 밀물과썰물등의 변화등과같은 자연현상들을 달이 만들어내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달밤에 늑대울음소리를 내는 이유가?있다,없다.---------->달이 동물이나 인간의 신체와심리에 영향을 주기에 당연이 상관관계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석양에 노을이 주황색모습으로 큰 원을 만들며 지고 있었는데 언덕비탈에서 낮은포복 상태의 조금은 불편한듯한 자세로 앞이 튀어나온 dslr렌즈로 지는 노을의 아름다움을 찍고있는 사람들이 보였다.

나도 한번찍어볼까하고 여유롭게^^ 한손을 들고 노을을 향하여 핸드폰을 "찰칵"찍어 봤는데 눈앞에  크게보이는 노을의 원조차도 희미하게 잡혔다,

핸드폰카메라의 단점이랄까, 멀리있는 물체 특히 태양이나 별사진같은것에는 젬뱅인반면에.장점도 있는데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비행기도 무리없이 담을수 있는 순각포착능력은 어떤것보다 편리하고 멋지다.


결과적으로 노을을 찍으려다가 커다란 둥글노을은 있는지 없는지 모르게 희미하게 잡히고,핸드폰카메라의 순각포착능력의 탁월한장점(?)으로 인하여 전봇대의 전기줄 높이보다 낮게 날아,줄에 걸린것처럼 보이는 비행기사진만이 남겨져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잉크프린터에 관한 상식글이다.모든색깔은 빨강,파랑,노랑,검정의 4가지 색상으로 만들어낸다.프린터는 분말가루를 사용하는 토너든지,액체를 사용하는 잉크든지 프린터인쇄에 필요한 색을 만들어내는데는 4가지색상을 이용한다.

요즘 주위를보니 프린터인쇄시 잉크가격이 많이들어간다고,달마다 인터넷통신비처럼 일정액씩을 내면,인쇄에 필요한 잉크를 무한으로 공급해주는 무한잉크를 사용하는 프린터가 보였는데,일반프린터와 무한잉크를 사용하는 프린터,무엇이 다를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한잉크를 사용하는 프린터는 자체제작되어 사용되는게아니라,일반프린터기종 옆부분에 부가적인 잉크병을 달아서 사용하고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병이 4개가 들어가 있는걸보면,모든색상을 만들어내는 4가지색인 빨강,파랑,노랑,검정인 잉크원액을 각각담고있는 병들임을 미루어 짐작할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한잉크를 사용하는 프린터는 일반프린터기종과 겉모양이 똑같았는데,소프트웨어를 특별히 만들어 사용하고있는지 살펴봤더니 그런것은아니고,일반프린터 드라이버와 동일한것을 사용하고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쇄되는 색깔이나 품질은 어떤가하고 시험삼아 웹상의 사진을 인쇄해 보았는데.흑백은 보통 정품잉크이든지,무한잉크이든지 차이가 별로없기에 컬러사진을 테스트해봤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쇄된 사진을보니,컬러나 흑백 두가지 모두 괞잖은 성능과 품질을 보여주고 있었다.그러나 웹상에 있는 컬러 이미지나 사진,흑백글자들은 깔끔하게 나왔으나,이종기기와 결합되어져 올려진 사진이나 그림의 인쇄품질상태는 형편이 없었다.핸드폰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컴퓨터에 전송하고 인쇄해봤더니.인물의 모습이든,물체의 모습이든 진한 음영과 군데,군데 색깔이 번짐이 한눈에 보였다.


결과적으로 내린결론은 흑백이든 컬러이든 프린터 인쇄를 많이하지만,인쇄되어지는 품질이 보기에 싫지않을 정도인 그러저럭정도만 된다면,프린터잉크나 토너의 관리소모비용을 아끼는 측면에서는 무한잉크 프린터가 장점이 될수있겠고,그럭저럭이 무엇이냐,인쇄를 하더라도 보기에 베스트여야지 측면에서는 일반프린터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는것이 좋아보였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