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익스플로어를 사용하는 경우,6버전에서는 주소표시창이 하나로 깔끔했는데,

7~9버전으로 올라가면서 주소표시창 옆에 검색공급자라는 조금만 검색창이 달려있다.

무엇을 검색하고 난후,이전에 검색한 단어가 표시되어,보기에도 안좋고 존재해봤자,쓸일이 없기에 주소창 하나의 깔끔한 모습의 인터넷창의 모습을 원한다면,

이러한 설정의 실행파일은 어떤경로에 존재하고,검색공급자 검색창을 어떻게 나타나지 않게 설정하는지에 대한 글이다.




위에 그림처럼,검색공급자 기본창이 존재하는것을 안나타나게 하려면,이러한것을 표시하고,표시하지않게 하는 실행파일을 찾아서 열어준다.이것을 설정할수있는 실행파일의 이름은 gpedit이고,이러한 파일이 존재하는 경로는 C:\WINDOWS\system32의 폴더아래에 존재하므로,경로를 따라 들어가서 찾아서,gpedit를 마우스로 선택하여 열어준다.

 


위에 그림처럼 그룹정책창이 열리면 빨간줄친 경로대로 따라서 열어준후,internet explorer 검색 상자 표시금지라는 세부항목을 선택한후,구성되지 않음 기본적으로 체크 되어있는데,이것을 사용에 체크해준후,적용-확인해주면 설정이 완료된다.이러한 작업은 열려져있는 인터넷창을 모두 닫은 다음에 해준다.


설정이 끝나면,위에 그림처럼 검색공급자 검색창이 없어지고,주소표시창 하나만이 존재하게 됨을 알수가 있다.

gpedit(그룹정책)을 여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기본적으로 실행파일의 경로를 찾아서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는것이 기본배움에 있어좋고,그다음이 시작-검색창에서 gpedit를 검색하여 여는 방법,마지막으로 시작-실행-gpedit.msc로 여는 방법이 있는데,자신의 컴퓨터활용 수준에따라,편리하게 선택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느려진 컴퓨터를  빠른컴퓨터로 만들수없을까? 누구나 쉽게 느려터진 컴퓨터를 쉽게 설정하여 사용할수있는 방법에대한 글이다.

글에 나온대로 순서대로 따라서 적용하면 간단히 설정해줄수가 있다.메모리의 용량을 높이면 컴퓨터를 느리게 쓰는 사용습관을 가진사람이 컴퓨터를 빠르게 사용할까? 그렇지 않다.


어느순간은 메모리의 용량을 높인혜택을 볼수있겠지만,컴퓨터의 사용관리 습관을 바꾸지 않는한 다시 느려진 컴퓨터속도에 직면하게된다.


관리를 잘하는 사람이 사용하는 윈도우 98 운영체제에서  64mb수준의 메모리용량을 사용해도,관리습관이 좋지못한 4기가메모리를 사용하는 컴퓨터보다 더 빠르게 인터넷창이 열리고 닫히는것을 알수가 있으며 인터넷작업속도가 더빠름을 알수가있다.메모리용량보다  속도를 저하시키는 사용습관이  느려터진 속도의 컴퓨터를 만드는 더 큰 요인임을 알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먼저 시작-실행-msconfig-시작프로그램항목을 열어보면 온갖 잡다한 시작프로그램들이 체크되어있거나 체크해제되어있음을 알수가있다.시작프로그램에서 단순히 체크해제하는것은 임시방편일뿐이고,아예 시작프로그램자체에 존재하지않게 만드는것이 빠른컴퓨터사용의 지혜이다.

시작-실행-regedit-한후 다음의 경로를 따라들어간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Shared Tools\MSConfig\startupreg
여기서 startupreg 아래에는 시작프로그램을 차지하는 항목들의 폴더가 나열되어있다.startupreg의 하위항목으로 나열된 이 폴더들을 하나도 남김없이 하나씩 선택한후 마우스오른쪽버튼 삭제를 선택하여 삭제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 삭제시 키삭제확인 창이 나타나면 예를 선택하여 차례대로 모두 삭제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tartupreg의 아래의 하위폴더들을 모두 삭제해주면 위에그림처럼 하위폴더가 하나도 존재하지않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맨처음의 단계에서처럼 시작-실행-msconfig-시작프로그램항목을 다시 열어보면 위에그림처럼 ctfmon이라는 항목만 체크되어 남아있고,나머지항목은 깨끗하게 사라져 아무것도없는 상태가 되어짐을 알수가 있다.이상태로 컴퓨터를 사용하면 기존의 잡다한 항목들이 체크되거나 체크되어있지않는 상태에서 사용했을때보다 메모리의 용량을 잡아먹는 비율이 몇배이상 적어짐을 알수가있으며,컴퓨터의 속도를 비교해봤을때 배이상의 빠른 인터넷창속도뿐아니라 빠른컴퓨터속도를 가진상태가되어,느려터진 컴퓨터속도에서  기분좋은 탈출을 경험할수가 있게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블로그들에는 글내용을 복사할수없도록 여러가지 기능이 적용된 블로그들을 볼수가있다.

이런 여러기능들이 적용되어있다고해도
블로그글들을 복사할수 없는것은 아니다.

윈도우의 기능과 한글을 활용하면 일일이 화면을보면서 글을 적을필요는 없다.

이러한 활용은
운영체제인 윈도우와 한글의 공개된 기능활용일뿐이다.

윈도우운영체제와 한글이 만나면 어떠한 활용이 가능한지 살펴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 블로그를 돌아다니다,좋은내용의 글이있는 블로그가 있기에,글내용을 텍스트로 저장해서 읽어보려고했는데,이 블로그에는 위에처럼,일반적인 윈도우기능활용인 다른 이름으로 저장기능을 활용하여 저장하려니,저장도중 오류메세지를 나타나게하여 활용할수없게 만들어져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 윈도우의 다른이름으로 저장기능도 사용할수없게 설정되어있기에 마우스우측버튼을 활용한 복사기능도 아울러 사용할수없게 설정되어져있었다.그렇다면 윈도우운영체제에서는 더이상 복사금지된 글내용을 활용할수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지 않는가 생각해보다가,글 페이지마다 주어지는 고유주소를 활용하면,구지 일일이 화면을보면서 글자를 다시 반복하여 적어 텍스트로저장하는 수고로움은 필요없겠다는 생각이들어.
빨간동그라미안에표시된 주소복사를 통하여 해당페이지 주소가 뭔지 확인해본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인터넷옵션-임시인터넷파일-파일보기에서
해당페이지의 주소와 일치하는 익스플로어모양을 찾아내어 그것을 복사한후 바탕화면에 붙여넣기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 한글에서 파일형식모든파일을 선택한후 임시인터넷파일에서 복사해서 바탕화면에 붙여넣기 해두었던것을  불러오기하여 열었더니,아무리 긴 글내용이라고해도 텍스트로저장하여 활용할수가 있었다 한글에서 불러오기할때 나타나는 인터넷문서종류 선택창에서는 유니코드(utf8)을 선택하여 열어준다.이러한것은 윈도우운영체제의 기능과 한글활용의 일반상식적 공부일뿐,다른의미를 가지고있지않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의 바탕화면의 파란색작업표시줄에는 자신이 사용하는 특정기능을 표시하여 여러경로를 걸치지않고도 쉽게 즐겨찾기와같은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할수가있다.



특정폴더나 제어판기타 기능을 작업표시줄에 표시해두면 마우스한번의 선택으로 빠른인터넷작업을 할수가있다.


작업표시줄의 기능에 부가된 새도구모음활용 방법을 살펴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작업표시줄에 필요한기능을 표시해두면,기타부가적인 경로나 선택없이 바탕화면상태에서 제어판의 각항목들을 빠르게 선택하여 활용할수가있다.꼭 제어판만의 활용뿐아니라,기타 경로를 가진폴더나 자료등에 있어서도 여러경로를 선택할 필요가 없기에 편리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먼저 위에그림처럼,작업표시줄 파란색빈공간-마우오른쪽버튼-도구모음-새 도구모음을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에서처럼,새도구모음창이 나오면 자신의 원하는 폴더나 자료의 경로를 선택하여준다.여기서는 제어판을 예를 들었기에 내컴퓨터 아래에있는 제어판을 선택해준후,확인해주면 작업표시줄에 제어판글자가 나타나서
제어판전체를 열지않더라도 맨위에 그림처럼 제어판중 필요한 항목만을 선택하여 빠른 인터넷작업을 할수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와같은 기능을 활용하고싶지않고,원래대로의 작업표시줄을 원한다면 위에 그림에서처럼 작업표시줄 파란색빈공간-마우스우측버튼-도구모음에서 제어판이라고 체크되어있는것을 체크해제하면 원래대로의 작업표시줄이 되어진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블로그나 인터넷을 돌아다니다보면,멋진사진이나 글이있는 포스트에 마우스오른쪽버튼금지라든지,글내용 복사금지기능이 되어있을경우,


개인적으로 소장하구싶다든지,글파일 자체로 가져오구싶다든지하는경우,사진은 프린터스크린기능이나,기타 파일-다른이름으로저장을 선택하여,가져올수있다,그러나


글인경우 복사나 마우스오른쪽버튼이금지된경우,일일이 블로그포스트를 화면으로보면서 타자로 쳐내는 사람을 보았다.




이럴필요는 전혀없다.글또한 포스트 내용이 복사금지되었을지라두,쉽게 글파일로 가져올수가있다.아래의 그림을보면 쉽게이해할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예시된것처럼,글내용을 개인적으로 가져오구싶을경우,사진을 가져오는방법과 동일한데,차이점이있다.
위에그림에서처럼,해당포스트글 위에서 항목들중에 파일-다른이름으로저장(a)을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 웹페이지저장창이 나타난다.웹페이지를 저장할 임의의 폴더를 선택해준후,파일형식에보면 기본이,모든웹페이지(html)으로 설정되어있는데,이곳에서 파일형식을 텍스트파일(*.txt)로 선택해서 저장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앞그림에서 지정해서,저장해준 임의의폴더를 열어보면,위에그림에서처럼,블로그에 포스팅된 해당된 글내용이 txt파일형식으로 저장되어있음을 알수가있다.그러므로 블로그포스트의 글내용이 마우스우측금지라든지,복사금지가 되었을경우라도,자신이 개인적으로 저장해두고싶은 좋은글이나 내용등을 저장하여 볼수가있다.
일일이 블로그 해당포스트 글내용을,기능을 몰라,화면을보면서 적어나가는 그런노가다는 할필요가 없겠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추가제거라든지,기타 프로그램설정을하기위하여,제어판에 자주들어가게된다.



일반적으로,시작-제어판으로 들어가거나,기타 내컴퓨터-제어판으로 들어가기보다는 바탕화면에 제어판아이콘을 만들어 나두면,


여러가기선택단계를 거쳐서 들어감이없이,한번에 바탕화면에서 제어판아이콘을 선택하여 들어갈수가있기에,편리하다.바탕화면에 제어판 아이콘을 만드는 방법은 아래와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바탕화면 내컴퓨터아이콘을 선택한후,c드라이브를 선택한후,WINDOWS폴더를 선택한후,system32폴더를 연후,control.exe 아이콘을선택한후,마우스오른쪽버튼-보내기-바탕화면에 바로가기만들기를 해준다.그러므로 경로는 C:\WINDOWS\system32\control.ex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control.exe아이콘이 바탕화면에 나타난다.아이콘을선택하여,이름을 제어판으로 바꿔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 바탕화면상태에서 제어판아이콘을 실행하면,제어판이 한번에 열림을 알수가있다.이대루 그냥 제어판아이콘을 쓸수도있지만, 제어판아이콘모양두 보기가 좋아야하므로,올바른 제어판아이콘모양으로 바꿔주는것이 바탕화면아이콘모습으로 보기에두 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바탕화면 제어판아이콘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속성을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 제어판등록정보창이 나오는데,항목중에 바로가기-아이콘변경을 선택하면,위에그림에서처럼 여러가지모양의 아이콘이 나타난다.이중에 제어판을 나타내는 아이콘을선택한후 확인-적용-확인해주면,위에그림에서처럼,바탕화면에 이쁜모습의 제어판아이콘으로 변하게된다.바탕화면에 제어판아이콘이있으면,불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제거하거나,기타장치들에대한 설정등을함에있어서,바탕화면에 제어판아이콘만 선택하면,제어판이 곧바루 열리므로,여러단계를거쳐,제어판으로 들어가는경우보다,편리할뿐만아니라,제어판이 안나타나는경우등의 오류등에있어서두,편리하게 사용할수가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까 파일을 어디에 저장했더라? 키보드자판의 ctrl+z의 기능을알면,다양한도움을 받을수가있다.


먼저 그림판에 색칠이나 선을그리다가,잘못되었을경우,색칠,선 이전에 모양으로 돌아가는기능을해주며,

컴퓨터 메모장에서 글을적다가 내용을 삭제했을경우,삭제되어진글을 복구해주는기능을가진다.

이외에두,키보드자판의 ctrl키와 z를 동시에 선택해주면,
방금전에 파일을 어느폴더에 저장했는데,기억이안나는경우나,




컴퓨터를 사용하던사람이,갑자기 누군가 들어왔다구,몰래보던 뭔지모를(?)파일을 임의의폴더에 숨겼을경우,그사람이 행한 이전 3단계의 파일작업내용을 보여준다.아래그림을 보면쉽게 이해할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k7,mp3,k3등 뭔지는 모르지만 보던 사진이나 동영상을 바탕화면의 임의의폴더,여기서는 음악폴더에 넣었두고,음악폴더창을 닫아준경우,무엇을보았는지,어떤동영상을 바탕화면에서 봤는지 알아보려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 음악폴더안에 k7,mp3,k3파일을 바탕화면에서 음악폴더에 숨겼놓구,폴더를 닫아버렸을경우
키보드자판의 ctrl+z를 동시에 선택해주면,이전단계의 상태로 한단계씩진행하며,3단계까지 뒤로 리플레이되면서, 바탕화면에 파일이나타나게된다.이처럼,ctrl+z의 기능을 알구있으면,요모조모 쓸모있을때가많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