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네이버의 지식인을 살펴보다가 컴퓨터카테고리분야에서 전문가수준에 해당하는 초인등급이 답변한 것이 아니라면 잘못된 상식이라도 그런가 하고 넘어 갔을 것인데 초인등급을 가진 분이 윈도우8의 정품인증에 대한 황당한 답변을 달아 놨기에 윈도우8.1의 정품인증에 대한 일반상식측면에서 적어 놓아두려고 한다.  

 

물론 네이버 지식인에서 나의 등급은 영웅이고 황당한 답변을 한 분의 등급은 초인에 해당하는데 단계별 차이는 위와 같다.  

초인등급정도에서 이러한 잘못된 답변을 달아 놓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이기에, 그보다 하수인 영웅으로서 상식 글을 적어 놓으려고 한다.ㅎㅎ

답변 내용 중에 상식에 해당하지 않는 부분들은 윈도우8.1의 정품인증툴을 만드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전혀 그렇지 않다. 윈도우8.1에 대한 정품인증툴은 윈도우운영체제에 대한 기본적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만들어 낼 수 있고, 이미 많은 종류의 정품인증툴들이 존재하고 있다.

김명숙(kms)인증 6.0버전으로 상향되어서 사용해야 하는데 인증과정이 베일에 쌓여 있어서 이제는 더 이상 불가능하다. 전혀 그렇지 않다. 윈도우8.1이 되면서 김명숙인증이 6.0버전으로 상향되어야 했고 사용할수 없게 되었다라는데 김명숙이가 5버전에서도 원활하게 인증이 되어왔고 사용할수 없게 되었던 적이 여지껏 없었다.

답변을 달아 논 것을 보면 kms인증과정에대한 기초적 상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kms 버전타령을 하는 것으로 보아 영어로된 버전별 사용법조차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영문번역 미달수준이 아닌가 생각되어지는 답변내용 이었다.  

더불어 알아두면 좋은 일반상식은 컴퓨터 속성의 시스템종류에 표시되는 64비트 운영체제,x64기반 프로세서 대한 일반상식

2008년도 이후에 우리나라에서 나온 데스크톱이나 노트북들은 모든 제품들이 x64지원하는 cpu가 장착되어 있기에 윈도우의 운영체제를 설치할 때 2008년 이후로 나온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에 윈도우 64비트의 운영체제는 무조건 설치할 수 있고

64비트를 사용하고 싶지 않을 때는 64기반 프로세서는 64비트 운영체제와 32비트 운영체제 2개를 모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윈도우7이나 8버전 등을 설치할 때는 기본적으로 64비트형식의 윈도우운영체제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남동생이 아니면 남자친구가 아니면 컴퓨터를 사용하는 누군가가 기타등등 평소에 야동이나 기타 야사들을 보고있는지 아무리 지웠다해도 그 기록이나 내용들이 저장되어 남아있는곳이 존재하는데 평소에 컴퓨터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누구나 간단히 조회하고 확인해 볼수있는 방법으로 아래의 그림단계처럼만 선택하여 살펴보면 쉽게 확인할수가 있다.

 

            내컴퓨터를 연후 로컬디스크(c)항목에 마우스 오른쪽-속성을 선택해준다.

 

                                       디스크정리 선택한다.

 

          임시인터넷파일 항목에 체크가 되어지게 한후 파일보기를 선택한다.

 

                                    도구-폴더옵션 선택한다.

 

보기- 보호된 운영체제 파일 숨기기(권장)에 체크를 해제한후 나타나는 경고창에 를 선택해준후 적용을 해준다.

 

희미하게 나타나는 폴더들이 생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폴더들은 컴퓨터에  야동이나 야사등 개인적으로 방문하거나 한번이라도 찾아봤던 사이트들에대한 개인정보를 기록하는 숨겨진 폴더들인데 이 폴더를 들을 하나씩 열어보면 다양한 것들을 확인하고 체크할수가 있다.이러한 숨겨진 폴더의 내용은 컴퓨터 사용자가 야동이나 야사및 사이트등을 본후 개인적으로 지웠다해도 그 기록을 저장시켜 놓는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에있어 일반인들이 습관적.반복적으로 경험하게되는 문제중 가장 많은 질문에 해당하는 사항이 컴퓨터의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오지 않을때이다.

일반적으로,음소거에 체크되어있지도않고,장치관리자에서 사운드카드 드라이버가 물음표없이 정상적으로 깔려져있는데도,소리가 안나는경우,

사운드카드가 자체가 고장난것인지,스피커자체가 고장난것일까등 엉뚱한 의문을 갇게된다.

이런경우,사운드카드 자체가 불량이라면,사운드카드 드라이버표시에 때때로 빨간물음표시가 나타나게된다.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사운드카드 자체는 정상이다.스피커자체가 고장일경우는 마이크입력단자에 접촉했을시,조그만 잡음이라도 스피커에서 나온다면,스피커자체의 고장도아니다.정상적으로 사운드카드가 깔려져있고,스피커모양에서 음소거도 되어있지않고,스피커입력단자도 제대로 연결되어있는데 소리가 나지않는경우,해결방법에 대한 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 단계에서처럼 스피커아이콘의 모양에서 음소거에 체크되어있지않고,바탕화면의 내컴퓨터-마우스오른쪽버튼-속성-하드웨어-장치관리자-사운드,비디오 및 게임 컨트롤러-자신의 컴퓨터에 깔린 영어로 쓰여진 사운드카드 모델명을 마우스로 두번 선택해준다(여기서는 ESS 1969 PCI~)-오디오 드라이버 등록정보-드라이버-드라이버 업데이트(P)를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드웨어 업데이트 마법사-예,이번만  연결에 체크-다음-소프트웨어 자동으로 설치(권장)에 체크-다음을 선택하여,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상관없이,업데이트가 이루어져 마침버튼이 나타날때까지 기다려준다.여기서 알수있는것이,모든 설정과정과 설치과정을 다 확인했는데도,소리가 나지않는경우에 해당하는 위에 해결과정은,소프트웨어적인 문제인 사운드카드 드라이버의 일부분이 삭제되거나 충돌이 생겼거나등의 오류가 발생했을때,컴퓨터는 손상이나 충돌에대하여 기본적으로 이상오류표시를 나타내지 않기에,사운드에관한 모든것이 정상적으로 설정되어있더라도,소리가 나지않게된다.

사운드카드 드라이버의 일부분의 손상이나 오류로인한 소리가 나오지 않는경우에대한 대처는 위에 단계처럼 스스로가 아하,사운드카드 드라이버자체가 이상이 생긴경우는 아무런 오류표시나 사운드카드에 대한 설정이상이 없어도 소리가 나지않는구나,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해줘야겠구나라고 스스로가 진단하여 위에 과정단계로 간단히 해결 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