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컴퓨터를 누구나 사용하지만,습관의 차이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컴퓨터를 느려지게 하거나,컴퓨터나 모니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을 만들어 내게된다.

올바른 컴퓨터 사용습관이라고 할만한 것들은 의외로 간단한것인데도 잘못된 상식에 습관화 되어지는 것들이 어떤것들이 있을까.......








프린터의 잉크는 컬러와 흑백이 있지만,기본적으로 컬러잉크만으로도 검정색을 비롯하여 모든색깔을 만들어 낼수가있다.이러한 원리로 인하여,흑백잉크가 모두 소진되어도 칼라잉크만으로도 인쇄를 할수가있다.인쇄를 해야하는데,잉크부족메세지나 오류메세지로 인쇄가 되지 않을때는 잉크부족메세지나 오류메세지가 나오는 통을 프린터에서 빼버리고 하나만으로 인쇄를 시키면 급할때 인쇄할수있어 유용하다.



컴퓨터를 사용할때 자신도 모르게 컴퓨터가 느려진경우,컴퓨터에대한 관심이 별로없더라도,단지 익스플로어의 버전을 업데이트 시켜주는 것만으로도 스스로가 알아서 느려진 요인을 제거하고 속도를 빠르게 해준다.


인터넷을 사용중에 무엇인가를 다운받거나 설치할때는 저장위치를 바탕화면으로 지정한후 하는 습관을 가지는것이 좋다.바탕화면으로 다운로드되었을시,설치하고난후 삭제가 편리하고,바이러스 파일이라고 해도,눈에 보이는 위치에 있기에 쉽게 삭제할수가 있다.아울러 바탕화면으로 저장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번거롭고 싫다라는 주의라면 한달에 한번이라도 틈날때 C:드라이브 안에 존재하는  Download 폴더를 열어보고,그안에 저장된것들이 있다면,하나도 남김없이 삭제시켜주는 습관이라도 가지는것이 컴퓨터의 느려짐과 오류현상을 안볼수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중에 의외로 컴퓨터를 종료한후,모니터전원을 끄는것이 아니라,컴퓨터와 모니터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다고 멀티탭의 전원을 꺼버리는 방식으로 습관화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사용습관은 컴퓨터본체와 모니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행동으로,컴퓨터을 종료한후,모니터전원을 끄는 습관이 좋다.

항시 멀티탭의 전원은 켜져있어야 컴퓨터와 모니터에는 좋다는 의미이다.이보다 더 최악의 습관이 멀티탭의 전원을 종료하는 것도 모잘라,아예 컴퓨터나 모니터의 전원코드 자체를 뽑았다가,사용할때 다시 꼽아 사용하는 습관인데 이러한 행동은 한달에 100원의 방전되는 전기세를 절약하기 위해서 한달만큼의 가전제품들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를 만들어내고,

반복적인 이러한 행위는 멀티탭의 결합구멍이 헐거워지게 하여,불완전 결합이나 접촉등을 만들어 합선이나 전선의 과부하등 안좋은 결과를 만들어내는 원인이 된다.멀티탭이든 벽체콘세트이든 꼬잤다가,뽑았다가를 반복하는 습관을 하다보면 결합구멍은 당연히 훨거워지게 되며,이러한것은 아예 꼽아논채 사용하는것보다 더 안좋게된다.특히 가끔 사용하는 가전제품이아닌 컴퓨터나 티브이처럼 하루가 멀다하고 사용해야하는 가전들은 꼽았다,뽑았다하는것이 좋은 사용습관이 아님을 알아야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음악,동영상,태그나 소스보기로 만들어진것들이 글을 적을때
정상적으로 재생이나 보여지는지,

자신의 컴퓨터에서 간단히 테스트 해볼수있는것이
컴퓨터에 자체 내장된 메모장의 활용이다.

메모장은 초고 글쓰기 노트로 사용하거나,
쓰임새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수가 있다.


네이버의 오픈케스트 영상을보다가,글을 적는데 사용하면 좋겠다생각하고,소스보기를 복사해서
블로그에 글을 적기전에 첨부될 영상이 제대로 보여지는지 확인해봤다.



태그연습장을 찾아서 붙여넣기하여 테스트활용 할수도있겠지만,번거롭고
메모장에서 활용하는것이 더 빠르고 간단히 할수있기에,일반상식적으로 알아두면 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이나 태그을 퍼갈수있도록 링크나,기타 소스복사 버튼들이 있다.선택해서 복사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모장에서 태그의 소스를 붙여넣기해주고난후,파일-다름이름으로 저장-저장위치-바탕화면을 하면 바탕화면에 저장된 메모장의 txt파일 아이콘이 생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탕화면에 나타난 메모장의 파일확장자를 단지 txt에서 html로 바꿔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름 바꾸기 메세지창이 나타나면 "예"하면,메모장.txt아이콘은 html아이콘모습으로 변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탕화면의 html아이콘으로 변한  메모장파일을 선택해서 실행해주면 팝업이 차단설정된 컴퓨터라면 노란표시줄이 나타나겠고,그렇지 않다면 이단계는 나타나지 않는다.노란표시줄이 나타난다면,노란표시줄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차단된 컨텐트 허용을 선택하면,보안경고창이 나타난다 "예"를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모장내에서 쉽게 동영상이나 태그등의 실행을 볼수가 있다. 

블로그를 단지 시사.미디어화의 편향성으로 몰입되어 허구헌날 그나물에 그밥적 레파토리 스펙트럼을 강조하는 블로그뉴스와 다양성을 추구해가는 오픈캐스트,블로그의 긍정적 발전에서 보았을때,후발주자로 뛰어든 오픈캐스트모델이 정의되지 말아야할 블로그툴에 더 긍정적일거 같고,잘되었으면 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의 바탕화면을 이루는 배경사진의 위치와 활용성에대하여 알아보자.

컴퓨터의 배경화면사진은 여러가지 자신이 마음에드는 사진으로 바꿔서 사용들을한다.


그런데 간혹가다 마음에드는 사진을 바탕화면의 배경으로 인터넷에서 다운받아 사용하다가,다른 배경사진으로 바꿔버렸을때


이전에 사용하던 배경사진을 사용하고싶어도 사라져버린경우가있다.



이런경우를 방지하기위해서는 배경사진의 저장위치와 활용성을 일반상식적으로 알아두는것이 좋다.컴퓨터의 바탕화면의 배경사진은 내문서-내그림에 저장해놓거나,바탕화면의 배경사진을 저장해두는 웰페어폴더안에 넣어두어야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탕화면의 배경화면을 바꾸려고 했을때,기본적으로 내문서안에 내그림속에 들어있는 사진이나그림중에서 선택하도록 되어있다.이때에 일반적으로 내그림폴더를 열었을때는 보이지않는 기본적인 윈도우바탕화면 배경사진도 보이는데,실제로 이러한 윈도우바탕화면 기본배경사진들은 내그림폴더에 들어있는것이아니라,


C:\WINDOWS\Web\Wallpaper안에 들어있다.한글로 경로적어보면 내컴퓨터-로컬디스크(C)-윈도우폴더-웹-웰페어안에 윈도우바탕화면 기본배경사진들이 들어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웰페어폴더을 열어봤을때 보이는 이러한 사진들은 기본바탕화면에 나타나는 원본사진들로 편집하여 활용할수도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