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천 년 전에 황제라는 단어를 처음 만든 진시황도 역사상 가장 큰 대제국을 건설했던 칭기즈칸도 후세에 다시 세계를 리드해갈 인물이 태어날 곳으로 한라산이라는 영산을 주목하여 진시황의 불로초기록과

칭기스칸제국의 최후의 칭기즈칸 황족일원들은 마지막순간에 북원으로 가기도 했지만 제주도를 마지막선택지로 정착하여 살다가 후손이 이어지게 하고 죽었다. 역사적으로 보면 제주도는 진시황과 칭기즈칸이라는 역사에 있어 전후후무한 기록을 세운 인물과 연관이 상당히 깊은 곳이다.

한라산은 세계를 이끌 인물이 태어날 것이라고 하여 오백장군이 기립하여 옹위하는 형상을 가진 산으로 2천년이전보다 훨씬 오래된 기원전의 역사기록에서도 세계적으로 신령스러운 산으로 기록되어져왔고 현실적으로도 그러하다.

우리나라가 일본을 능가하는 경제력을 가지고 세계를 이끌어갈수 있는 미래는 중국에 속하면서도 나라의 다양한 규제와 제한에 예외적인 지역으로 부강을 누리는 홍콩 같은 지역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홍콩처럼 우리나라에서 규제나 제한에 특혜를 주더라도 여론의 큰 분란 없이 국민적 공감대로 특별한 지역으로 육성할 수 있는 최적지는 제주도라고 볼 수가 있다.

 

 

홍콩은 제주도면적의 절반보다 조금 큰 면적이지만 그러한 면적에 인구는 8백만 명이 사는 도시가 세워졌다는 것이다. 홍콩기준으로보면 제주도의 면적은 천육백만 명이 살아가는 도시를 만들 수 있는 크기이고, 적게 잡아도 홍콩과 비교했을 때 최소한 천만 명이상이 살아갈 수 있는 도시를 만들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제주도가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 지방에서도 서울과 같은 인구와 경제력을 가진 도시를 단 1곳이라도 더 탄생시킬 수만 있다면 국가의 경제력에 있어서나 미래에 있어 대한민국이 세계를 리드해날갈수 있는 조건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진다는 점이다.

역사기록이래 영산에서 세계적인 인물이 나오지 않는 경우는 단 한 번도 존재하지 않았다. 일본의 역사이래. 후지 산이 영적으로 큰 인물의 근본이지만 한라산은 후지 산보다 더 넓고 더 높은 영적이면서 신령스러운 제주도의 별칭인 신의 나라의 정점인 산이다.

기원전부터 세계를 리드할 위대한 인물이 탄생할 후보지로 한라산이 끊임없이 기록되어져 왔는데 아무런 체계 없이 이러한 의식이 수천 년간 전승되어질 까닭이 없는 것이다. 우리나라를 오천년 역사이래. 전후후무한 기록을 남기며 세계사에 기록하게 할 인물일 것은 분명하다.

짱깨들의 영주권 이민정착지로 제주도의 인구와 경제를 확대하는 방식도 일부분 필요하겠지만, 국가적으로 그러한 현상을 방치하여 마냥 놔둘게 아니라 근본적으로는 중국인의 엘도라도인 제주도가 아닌 한민족의 이상향인 정착지가 되도록 홍콩보다 규제와 제한을 더 풀어서 홍콩보다 더 큰 경제와 인구의 확대를 만들어 놓아 발전시키는 것이 국가와 한민족의 미래에 훨씬 더 긍정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즘은 자살하는 사람들이 사회적문제로 대두되고있다.자살자들에게서 나타는 공통의 행동양식을 도출해볼수있다.


자살자의 일반적인 패턴양식을 보면


자살의초기단계



1.밤늦게까지 잠들지못하고 불면증에 시달린다.
2.자주 과거를 추억하며 울고,웃는 감정의 기복이
  심해진다.



자살의 중간단계


3.자신이 살고있는 환경과 다른 외떨어진 장소를 홀로 여행이나 방문하는 죽기전행동을 한다.
4.식욕에대한 관심이 없어져가고 식사시간이 불규칙해지고 적어진다.


자살의 마지막단계


5.말이없던 사람이라도 주위사람에게 부탁이나 비밀을 털어놓는다.
6.괴로워하던 사람이 환한표정과 기쁜표정을 지으며 새로운 이상향을 찾은것처럼 남을 배려하려는 정반대의
  행동을할때는 머뭇거림과 결단사이에서 결단이 시기로 넘어갔을때이다.
7.일반적인 자살은 사전에 준비되어진 결단으로,죽는사람은 죽은후의 자신의 신체에까지 생각이 미치기에
  죽기전에  자신의 몸과속옷을 깨끗하게 해두려는 사전행동을 나타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나라의 국가와같은 상징성을 가지고 역사이래 내려온  아리랑이라는 노래가있다.아리랑은 그의미에 대하여 의견이,분분하고,아리랑의 주는 가사의 내용의 풀이에있어서도,제각각이다.


아리랑을 들으면 자신도 모르게 슬픈감정이 저절로 느껴지게된다.노래에 대한 이러한 감정은
한국인이라는 공통분모를 만들어낸다.


아리랑의 근원을 삼국시대에서 찾기도하고,조선후기에 만들어졌다고하기도하고,전설이야기에서 파생되었다고도하고,수많은 설과이야기가 전해지고는 있지만,그 의미가 정형화되어 있지가않다.아리랑의 해석에있어, 정설로 굳어진 근거는 하나도 현재까지없다.그래서 국민 누구나 아리랑에대한 나름대로의 해석을해볼수있는 좋은논제이다.


아리랑에대한 자신의 생각과 논리들이 많아질수록,아리랑이 주는 한과눈물의 정서를 이해할수가있다.아리랑은 어떤 한가지의미로 고정되어있기보다는,한국인의 한과눈물로써 느낄수있는 모든정서가 함축내포되어있기때문이다.내가 아리랑을 들으면서 느끼는 나름대로의 정서로,아리랑을 해석해보려고한다.


아리랑 가사를 반대로 나열해보고,의미와정서를 해석해보았다.


                                                 랑리아,랑리아,요리라아
                                       고리버를나,은님는시가,
                                       도리십,서가못.다난병발
.



랑리아(는),랑리아(랑리아=이상향,천국),(님에게 마지막으로 해드리고싶은)요리라아~(요리=노래입니다)
고리(귀고리)버를(한벌을 달은)나,은님는(은님이는)시가(노래를 부릅니다)
도리십(도리의 리더십을 모르시나요?),서가못(서서 가지는 못합니다=죽음을 암시),다난병발(힘든 마음의병이 많이 생길것같습니다=나라,이웃,친구,연인,가족등을 위하여 몸바쳐 죽은이를 추모하며 노래를 부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