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이러스나 악성코드에 걸렸을때는 윈도우자체에 내장된 기능을 이용하여,검사와치료를 해보는것이 좋다.

일반백신프로그램에서 치료하지못하거나 탐지하지못하는바이러스.악성코드등을 손쉽게 치료.제거해주기 때문이다.

컴퓨터를 켜기만하면 온갖종류의 백신치료그램 실행되면서,바이러스에 감염되었으니 치료하라는 메세지가 나오거나,


바이러스치료중이라는 단계가 강제적으로 계속실행되어 컴퓨터가 느려지는 경우에는 누구나 쉽게 간단히 할수있는 윈도우자체 내장기능의 악성제거도구기능을 활용하여


악질적인 바이러스나 스파이웨어,가짜백신등을 컴퓨터에서 치료하고 삭제할수있는 방법에대하여 누구나 활용해볼수있는 컴퓨터에관한 일반상식이다.아래의 그림에따라  운영체제에 내재된 악성제거도구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을 배워보자
.참 쉽죠~잉!!!!!!!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작-실행-mrt-확인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을 선택하여 계속진행해 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검사유형이 나오는데 여기서 빠른검사를 선택하여 검사를 하는경우는 5분정도가 걸리며,바이러스나 악성코드등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나타난다면,사용하는 컴퓨터는 잘관리되고 있다고 생각할수가 있고,그대로 단계를 종료하면 된다.그렇지않고 바이러스등이 걸렸다고 나타난다면,확장검사 항목을 선택하여 진행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빠른검사에서 바이러스나 악성코드가 존재한다고 나오는 경우는 확장검사를 실시하여  진행해주면되는데 확장검사는 대략 40분내외가 걸리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상적인 컴퓨터의 상태라면 검색된 악성 소프트웨어가 없습니다라는 메세지표시가 위에그림처럼 나오게된다.그렇지않고 반대라면 윈도우에 자체내장된 기능으로 자동으로 삭제와 치료를 해주게된다.

컴퓨터를 켜면 가짜바이러스치료 백신창이 끊임없이 나타나고,치료중 표시등으로 컴퓨터가 사용할수없을 정도로 느려질때는 위에단계의 윈도우자체의 바이러스.악성도구제거기능을 활용해서 삭제와 치료를 활용해보는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를 종료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있다.컴퓨터를 종료시키는 기능을하는 shutdown.exe에 대하여 살펴보고

컴퓨터의 바탕화면아이콘을 이용한 종료나 기타 활용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자.


먼저 셧다운이 위치하는 경로를 살펴보면 내컴퓨터->로컬디스크(C:)->WINDOWS->system32->shutdown.exe이다.

경로를 찾아가서shutdown.exe아이콘을 선택했더라도 컴퓨터는 자동종료되지는 않는다.



활용을 위해서는 바로가기를 만들어 사용할수가있다.아래의 그림단계를 활용하면 쉽게 컴퓨터의 바탕화면아이콘형태로 선택하여 컴퓨터를 종료시킬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shutdown.exe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바로가기만들기를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만들어진 바로가기아이콘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속성을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 shutdown.exe의 바로가기 등록정보창이 나타난다.이곳에 대상(T)에 나온 경로를 그대로 둔채 옆에  -s -t 00를 부가하여 적어준후-적용-확인을 해주고난후,shutdown.exe의 바로가기아이콘을 선택해주면 바탕화면의 시작을 통한 종료가 아니라,마우스로 아이콘형태를 선택해서 종료할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의 바탕화면상태에 아이콘을 만들어서 컴퓨터를 종료하려는 경우에는 위에그림처럼 shutdown.exe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보내기-바탕 화면에 바로가기 만들기를하면 바탕화면에 종료아이콘이 나타나게되고,종료아이콘의 속성에서 -s -t 00를 부가하여주는것은 위에절차와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셧다운의 다른 기능활용에서,바탕화면에 만들어진 컴퓨터종료 바로가기아이콘을 시작프로그램폴더에 집어 넣어버렸을경우......."미운게 맞을까(?)"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