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불교에서는 인연이라고 말하고,기독교에서는 신의 섭리라고 말하여지는 운명,새해연초에는 많은 사람들이 한해의 운세를 본다.


운명이라는것이 무엇이고,숙명은 무엇이고,운이라는것은 무엇일까,어떤사람은 운이라는게 어디있느냐고 말할지 모르지만,
운은 항상 존재한다.


흑백tv의 전성기에,흑백tv사업에 몰두하지않고,칼라tv전성시대가되자,그때서야 흑백tv사업을 하여 성공하려고 아무리 인간이 노력해봐야,결과는
운이라는 환경속에 그 결과는 예정되어져 있다



미리 다가올 운을 예상하여 준비하는사람은 결과가 좋지만,아무리 좋은 노력을한다고해도
꺼구로가는 사람은 결과가 예정되어있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운명은 살아가면서 자신의 의지에따라 바꿀수가 있지만 숙명은 자신의 의지하고는 상관없이 결정되어지는 요소를 가지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선조들의 경험으로 전승된 말중에,운칠기삼이라는 말이있다.운없는 사람은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지고 ,운좋은 사람은 앞으로 넘어져도 떡을 먹는다라는 속담도있다.결과적으로 이말은,운만 좋으면 다 잘된다라는 안좋은 의미같지만 그렇지않다.아무리 운이좋은 사람도,자신의 성실한 노력없이는 말짱황이라는 의미도 함께포함하고 있다고 볼수있다.하루앞의 일도 모르는 인간의 삶이 30% 가망성을 인간의 노력에의하여 커버할수있다는것은 작은수치가 아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간이 할수있는 성실한 노력을하고,그결과는 운명에 맡기는것이다.오로지 인간의 의지만으로 모든게 달려있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있다면,다음 단계의 단어에서는 할말이 없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숙명:태어날때부터 정해진 운명이다.자신의 의지로 부모를 선택할수없고,자신의 의지로 태어날 환경을 선택할수없고,자신의 의지로 부모에게 물려받은 유전자를 바꿀수는 없으며,자신의 의지로 마지막의 시기를 알수는없다.숙명은 누구에게나 태어날때부터 운명적으로 결정되어진것으로 자신의 의지로 바꿀수가 없다.


삶에는 나쁜일이 생기기도하고,좋은일이 생기기도하는데 똑같은 장소에,똑같은 시간에 있었는데,누군가에게는 안좋은일이 생기고,자신은 무사한경우,자신이 잘나서 그랬을까? 아니면 신이 자신만을 사랑해서 보호해준것일까? 전혀 그렇지 않다.사고라는것이 그사람이 잘났는지 못났는지,어떤 종교를 믿는사람인지 구별하는 눈을 가지는것이 아니다.그렇다면 행과불행을 가른것은 무엇이었을까,바로 運이다.


웬지 하고싶지않다,웬지 가고싶지않다.웬지 꺼림직하다.웬지 안좋다 이러한 숙명적으로 주어진 자신의 몸속에 내재된 본능의 판단인 운명이 삶과죽음을 가른것이다.그렇다면 운좋은 사람은 어떠한 사람들일까 살펴보면 남의 충고나 말을 잘 새겨듣는 사람들이다.


새해에 많은 사람들이  사주나 운세를 보는 이유가,그것을 신뢰하여 믿는다기보다는,혹시있을지 모를 안좋은일에대한 새겨들음에 의미가있는것이다.우연히라도 안좋은 일이 생길 상황에 막딱뜨리게 됬을때,한번쯤 되새겨 판단하여 행동한것하고,아무생각없이 행동한 결과가 전혀 달라지게 되는것이다.



"오늘 꿈자리가 안좋더라,차조심해" 알았어하고 믿든,안믿든 새겨들으면 되는것이지,아 쓸데기없이 미신믿고 자빠졌네? 조심해서 나쁠거없는데,그런식으로 살면 운이 좋아질까^^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험보는것이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가진 부적
합격의 완성을 의미합니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부적은 악운을 막아내는 의미를 가지구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좋은운을 집안에 들어오게하는 부적입니다.


 

부적은 몸에지니거나,집안에 붙여놓으면 행운을 가져다
주는 의미를 가지구 있습니다.




집안의 터가좋다는 명당을 의미하는 풍수지리나,
사업이나 개원을할때,돼지머리루 고사를 지내면 사업이 번창한다는것처럼
우리의 옛선조들은,대문이나 집마루에,북어대가리를 걸어놓던지
부적을 붙여놓는 전통이 있었습니다.



과학적의미로
풍수지리나,돼지머리고사,북어대가리,부적등을
사용한게아니라,실생활의 경험법칙으로 그렇게하는것이,그렇게하지
않았던것보다 더좋은결과가 나왔다는 경험으로 내려왔다구 볼수가있습니다.


이러한것은 종교적인 의미로만 판단할수없는,독특한 하나의 분야로
전해지구있다구 볼수가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지함(1517-1578) 호는 토정



이지함은 충청도를 대표하는 문신으로 1573년 포천현감,1578년 아산현감 벼슬을 하셨다.

자신의 묘를 직접 선택하는등 풍수지리에두 능했으며,사람들의 길흉,화복에 대한 사주,
팔자를 적어놓은 토정비결이라는 책을 만드셨다.


토정님의 묘는 충남 보령시 주교면 보정리 산 27-3에 위치해 있으며 문화재 자료 유적으로 지정되었다.토정비결은 후세에 전해져,오늘날까지 서민들의 사랑을 받구있다.


아마두,우리나라에서 일반인에게 가장 역사가 깊구,실생활에 최고의 베스트셀러가 된 책을

꼽으라면 토정비결이라구 할수 있겠다.


토정비결이 출판된지 500년이 넘어갔어두,그속에 담긴 지혜와 사람의 길흉,화복에 관한

자연의 진리는 변치않구 오늘날에두 적용되구 있다.


가마득한 시간이 흘러어도  토정비결이라는 책이 그 생명이 유지되구,

오늘날의 가치관에서두 애용되는 것을 보면,시대를 초월하는 생명력이

책속에 포함되어 있다는것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