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있어,다음과같은 증상의 오류는 하나의 원인에의하여 나타나는 현상이고 컴퓨터는 어떤 프로그램을 깔거나,설치하거나,업데이트를 할때는 기본적으로 깔리는 프로그램과 운영체제의 충돌이나 손상이 나타날수가 있는데,똑같은 프로그램이라도,선후가 바뀌면 각가지 오류메시지와 실행오류들을 나타내게 된다.

                                
                               노트북의 무선설정이 잡히지 않는다.


                                 익스플로어8의 설치시 오류가 발생한다.


                             프레임워크 설치시 오류메세지를 만들어낸다.


               인터넷창이 갑자기 꺼지거나,특정사이트나 검색시 창이 사라진다.


                컴퓨터 프린터간의 네트워크 공유가 불규칙적인 현상이 나타난다.


    인터넷 초기 연결시 느려지고,창열림 속도가 느려진다.다운로드시 창이 사라진다.


이러한 오류 원인들은 기본적으로 서비스팩3까지 윈도우업데이트를 하지 않기 때문이고,어떤작업을 하든지,기본적으로 XP운영체제를 사용한다면,서비스팩3까지 업데이트를 한후,컴퓨터에 각종 프로그램을 깔든지,네트워크를 잡든지,기타 다양한 설정을 해야 오류없이 진행이 되게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가 바이러스가 걸려거나,부팅한후 바탕화면이 나온상태에서
너무느리게 컴퓨터가 작동하는 경우에 대한 좋은정보입니다.


일반가정에서 컴퓨터의 오류증상의 대부분은 바이러스와 관련된 오류이며,
이러한 바이러스를 치료해준다는 각종 바이러스백신프로그램을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수많은 바이러스백신을 다운받아져기에,오히려 이러한 가짜
바이러스백신프로그램들이,부팅시 시작프로그램으로 동시에 부팅되는결과
바이러스치료중이라는 엉뚱한 검사팝업창이 여러개나타나게되며


있지두 않은,악성코드를 검사중이라며,오히려 부팅하구난후 온갖 속도저하와
오류증상을 만들어내게됩니다.이러한 오류들을 아무런 컴퓨터지식이 없다해두
일반가정의 이용자가 스스로 해결할수있는 방법이 없을가 생각해봤습니다.


다음아래에 설명되는 절차대로만 한다면,초보자두 충분히 해결할수가
있습니다.


먼저,컴퓨터를 켜면 온갖 바이러스치료한다는 바이러스백신프로그램들이
창에 나타나며,검사중이라구 나타날것입니다.이런경우,차분하게
기다리구난후 그러한 프로그램이 다 작동되게 기다린다음
,
하나씩,검사중지를 선택하구난후 검사창들을 닫아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에서처럼 바탕화면에 시작-실행-msconfig-확인-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모두사용안함-적용-확인


위에 단계를 진행하구,컴퓨터를 꺼다가 다시시작해줍니다.
일단 위에 과정을 진행하면,처음의 컴퓨터 부팅상태시 치료중,
검사중이라는 온갖 가짜바이러스백신프로그램이 바탕화면창에
나타나지는 않게 됩니다.


위에 과정은 오류와 바이러스를 이용자가 제어하기위한 기본적
단계이기에,일단 위에단계를 진행하구 난후,본격적으로 엉터리
오류증상이나,바이러스
를 잡아야합니다.


오류증상을 만들어내는 바이러스나 가짜백신프로그램들은
위에 단계를 진행하더라두,끈질기에 바탕화면에 오류메세지
창을 나타나게합니다
.이 오류메시지창이 나타나게 하는 바로
파일경로를 찾아야합니다.


위에 그림에서의 단계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보면
시작프로그램에 오류메세지를 나타내는 파일명이 다시
부팅시
다른것들은 체크해제가 잘되어있는데,오류메세지를
나타내는 파일에는 체크가 되어있습니다.


오류메세지를 일으키는 파일명의 옆에 경로가 나와있습니다.
그경로를 찾아서 레지스트리에서 삭제해줘야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에서처럼,시작-실행-regedit-확인
하면 위에 그림처럼 레지스트리편집기가 나타납니다.


여기서,위에 오류메세지를 나타내는 파일의 경로를 찾아가줍니다.
그러나,초보자인경우,경로명이 약자를 사용해버리거나,전부표기가
안되어있는경우,도중에 경로찾기를 그만둬버리기에,일반적으로
오류를 일으키게하는 파일이 들어있는  경로명이 아래와
같습니다.


그경로는
HKEY_CURRENT_USER-> Software->Microsoft->
Windows NT->CurrentVersion->Windows


보통시작프로그램에 파일경로에 hkcu라구 표시된것은
HKEY_CURRENT_USER의 약자입니다.


레지스트리를 실행하면,위에 경로대로,정확하게 표시되어
있기에,위에폴더명을 차례대로 찾아서 들어가주면 됩니다.


위에 절차의 마지막단계인 Windows폴더를 선택하면
우측에 *#%$%^&%* 이런비슷한 파일명이나,
그렇지 않으면 깨진중국어글자체 비슷한 파일명이 보입니다.


위에 그림처럼 오류메세지창에 나타나는 파일명을
찾아 선택한후,수정,이진데이터,삭제,이름바꾸기등의
항목중에 삭제를 선택하여 삭제해줍니다.


이러한 단계를 하구나면,부팅시 경로를 찾을수없다거나
오류메세지를 나타내는 창이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시작-제어판-프로그램추가제거-
에서 클린이니,백신이니,pc보호라느니,바이러스라느니
닥터니 ,안티등 이와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철자를 가진
영어파일들을 모두 삭제해줍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