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학교등 교육용으로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들이나,바이러스등으로 인하여 포멧과 운영체제를 재설치를 자주하는 유형에 한글이나 오피스를 설치하는 경우,시디키를 입력하라는 부분이 나타나기에,매번 시디키를 적어놓은 종이를 찾아서 적어넣거나,적어놓은 시디키 종이를 잃어버렸거나,어디에 두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등이 있을수 있다.

이런경우 처음부터 정품으로 받은 시디키를 종이나 기타 장소에 보관하거나 적어 넣을게 아니라 한글이나 오피스의 설치시에 자동으로 입력되게 프로그램상에 자신의 시디키를 설정해 놓는 방법을 일반상식으로 활용하면 된다.

 

 

 

한글이나 오피스등의 오토런을 메모장에서 열어보면,처음시작시 나오는 화면모양을 나타내는 파일의 이름을 알수있는데,한글은 인스톨파일,오피스는 컨피그파일이 시디키를 입력시키는 화면이 나오는 설정파일임을 알수가 있다.

한글이나 오피스파일을 열어보면 위에그림처럼 오토런상에 표시된 인스톨파일과 컨피그파일이 존재함을 알수가 있는데,한글은 인스톨 폴더속에 있는 hwpk.msi에 시디키를 저장할수가 있고,오피스는 프로플러스 폴더속에 config.xml에 시디키를 저장시킬수 있다.

 

위에그림의 순서에따라 한글과 오피스의 파일 속에 개인의 시디키를 한번 입력시켜 저장해 놓으면 재설치시 개인적인 시디키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잃어버릴 염려가 없음을 알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쉽게 활용할수있는 지식들은 어떤것이있을까?

예를들어  컴퓨터의 본체에 붙어있는 시디키번호는 다른컴퓨터에서 사용할수 없다.

백신을 까는것보다 윈도우업데이트에 더 신경쓰는것이 훨씬좋다.

프린터의 인쇄품질문제는 토너나 잉크의 문제일 가망성이 90%이상이다.너무 깨끗한 물에서는 물고기 살수없는 이유는 먹을게 없기때문이다등등의 일반상식들은 어떤것들이 있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가 느려졌을때 실행-MRT-확인-다음검사를 해보는것만으로도 빨라진다는것을 알고계신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열쇠나 칼등의 녹을 제거할때 콜라가 유용한것을 알고계신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단지등 부착물들을 제거하는데 헤어드라이기로 열을가하면 쉽게 떼어지는것을 알고계신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산에서 길을 잃었을때 산아래쪽으로 내려가는것보다 산위 정상쪽으로 올라가는것이 쉽게 길을 찾을수있는것을 알고계신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프린터의 게스트계정에 암호를 걸어놓으면 다른컴퓨터들이 프린터를 공유할수없는것을 알고계신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특정프로그램이 오류가 나거나 설치가 안되는것은 메모리불량으로인하여 생기는것을 알고계신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 사용되었다고 나오는 일부회사제품의 토너안에는 기본적으로 30%이상 토너가루가 남아있기에 손으로 흔들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수정해서 한참 더 사용할수있다는것을 알고계신가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