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타하드와 파타하드를 겸용으로 사용하거나,사타하드전용 컴퓨터에 임의의 파타하드를 연결하여 자료나파일을 열어볼수있는지에대하여,

컴퓨터의 시디롬과 하드의 전원선과 데이타케이블형식이 기존의 아이디에이방식과 전혀다를 경우에도,모든 메인보드는 파타하드의 자료를 겸용으로 사용할수있도록 아이디에이를 지원하는 데이타케이블방식이 별도로 메인보드에 장착되어있다.

이럴경우 사타방식의 하드와 ida방식의 하드가 동시에 연결되었을때,컴퓨터의 운영체제의 시작은 사타하드에 설치된 하드를 먼저 부팅하여 컴퓨터는 작동하게된다.

사타하드와 겸용으로 연결된 파타하드는 이동식저장소가 있는 장치에 이동식디스크로 나타나는것이아니라 별도의 기본드라이브로 표시되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타하드를 사용하는 컴퓨터에는 병렬하드인 ata방식의 하드를 연결하여 무조건 자료를 볼수가있지만,그반대로 ata하드전용 컴퓨터에서는 sata하드 방식의 하드를 연결하여 자료를 보거나 활용할수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타하드방식의 컴퓨터에 다른컴퓨터의 파타하드의 자료를 연결하여 보려는경우,위와같은 메세지표시가 나타나는데,예.아니오 어떤것도 선택함이없이 메세지박스를 그대로둔후 파타하드에서 필요한 자료를 사용하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디롬이나 하드의 전원선과 케이블이 모두 기존 아이디에이방식과 모두 다를경우에도 메인보드에는 여분의 아이디에이방식의 테이타케이블을 연결할수있는 뱅크가 존재한다.운영체제설치 여부와상관없이 이곳에 ata하드를 연결하면,다른컴퓨터의 병렬하드일지라도 하드안에든 자료를 쉽게 사하거나 이동하여 활용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평상시 가정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껵는문제중,바이러스나 기타 오류들로인하여 일상다반사적인 고민들중에하나가 기존에 컴퓨터에 저장되어있는 파일이나 기존자료의 사용문제이다.



일부는 하나의 하드를 두개의 드라이브로 나누어 사용하기도하고,하드를 두개이상 끼어넣어 사용하기도하고,어떤이는 외장하드를 이용하기도한다.


먼저 하나의 하드를 두개의 드라이브로 나누어 사용하는것은,논리적으로 드라이브가 구분되었을뿐,




하나의 몸체이기에 바이러나 기타 배드섹터등의 오류가 발생하는경우,기존자료들의 백업이나 사용에있어 효과가 전혀없기에,이러한 방식으로 사용하는것은 하나의 드라이브로 사용하는것보다 더 비효율적인 사용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좀더 대갈박을 굴려서 컴퓨터에 하드를 여러개 연결하여 백업하드로 사용하는부류가있는데,평상시 컴퓨터에 여러개의 하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것은 컴퓨터가 사용하는 전기세를 많이 나오게할뿐만아니라,상시연결된 여러개의 하드는 자료백업목적에서 봤을때,아무런 효과가없고,바이러스나 오류등에 노출된 위험성은 기존 하나의 하드만사용할경우와 비교했을 전혀줄어들지 않기에,이러한 방법으로 기존자료의 보존이나,운영체제 재설치시 편리함으로 생각하는것은 우둔한 생각이다.

포멧이나 운영체제 재설치를 하는경우,저장된 사진,상용프로그램들,기타 자신에게 꼭 필요한 자료나 파일들을 포멧이나 운영체제를 재설치한이후에도 사용하기를 대부분 원할것이다.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사용은,교묘하게 자료들속에 숨겨진 바이러스나 스파이웨어들을 제거하지 못하고,다시 자료이전만하는것이에,반복되어지는 컴퓨터의 오류의 원인이되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드의 방식에있어서도 구형하드와 신형하드를 컴퓨터 내부에 혼용사용가능하다고 여러개 붙여서 사용하는데,이것또한 컴퓨터의 기타부품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는 사용법이다.

자료나 파일등을 컴퓨터의 오류에있어,포멧을했든 운영체제를 재설치했든 편리하고,제일안전하고,경제적으로 사용할수있는 방법은 보존할 자료의 하드디스크(HarD Disk=HDD)를
외장하드(External HarD Drive=EHDD)으로 사용하는 습관이다.

차선으로 컴퓨터내부에 하드를 여러개 연결하여 여분의 하드에 백업목적자료를 넣어서 사용하는경우에도,상시적으로 여러개의 하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습관은 우둔한 컴퓨터사용습관이고,백업드라이브로 사용하는 하드는 분리해놓고 하나의 하드만 사용하고,필요한경우에만 연결해서 사용하는 습관을 가져야한다.이러한 불편함을 줄여준것이 외장하드이기에,외장하드방식을 생활화하는것이 백업자료의 보호에 가장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포멧이나 운영체제를 재설치하는경우,바이러스현상이 있었거나 오류가 났던 컴퓨터의 기존자료들을 백업받아,다시 새로깔린 운영체제에 설치해주는 습관은 좋지않는 습관이기에,가정의 컴퓨터일경우는 꼭 기존자료를 보존하고 싶은경우에는,기존 사용하던 하드를 외장하드케이스에 넣어서 별도분리하여 usb방식으로 사용하거나,기존자료의 백업과사용은 "불가구나"라는 둘중에 하나라는 인식을 가져야한다.

잘못된 백업사용습관을 가진  자신의 컴퓨터사용습관으로인한 불편함이기에,임시방편적 요령으로 기존자료를 보호해본들 습관이 변하지않으면,번거로움과 불편을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될것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