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이트들에 로그인을 하다보면 간혹 아래와 같은 문구가 나타나면서 매번 로그인할때마다 번거롭게하는 현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

"보안되지 않은 연결로 리디렉션하려고 합니다.현재 사이트로 보내려는 정보가 보인되지 않은 사이트로 재전송될 수있습니다.계속하시겠습니가?"
이러한 오류현상을 해결하는데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존재하겠지만,신뢰할수있는것이 익스플로어를 만든 회사에서 제시하는 해결책일 것이다.

해결책들이야 많이 존재한다고해도 정보의 바다에서 신뢰할수있는 방법을 골라내어
빠르게 해결할수있어야 한다.


익스플로어6을 사용하다보니,나또한 해당되어 어쩔수없이 정보를 찾아내어 해결할수밖에 없었고^^,위에 나타나는 오류를 교과서적으로 해결해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로그인을 하려니 위와같이 보안경고창이 나타나는 불편한 오류가 나타났다.해결은 해야겠고,해결정보들은 많이 존재하는데 ,출처들은 제각각이고 어떤것이 운영체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신뢰할만한 것인지 해결책들의 경로인 교과서를 찾아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오류에대한 해결책의 근본은
http://support.microsoft.com/kb/883740에 제시되어있었다.여러가지 잡다한것이 설명되어있지만 결론은 아래처럼 간단히 적용하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작-실행-regedit 적고 확인,아래의 경로를 찾아서 들어간후,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Internet Settings
위에 그림처럼 오른쪽 빈공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새로만들기-디워드 값을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값의 이름을 WarnOnHTTPSToHTTPRedirect로 바꿔준다.이름바꾸기를 글자를 적어넣어도 되고,위에그림처럼 바꿀이름을 복사한후 붙여넣기해줘도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 WarnOnHTTPSToHTTPRedirect로 이름이 바뀌면 기본이 0값을 가지므로,더이상 설정할 필요없이 그대로 레지스트리창을 닫으면 된다.레지스트리의 수정사항은 즉시 변경 실행되므로,컴퓨터를 껐다가 재시작할필요가 없이,보안경고 오류가 나는 사이트를 열어 로그인을 해보면 보안경고 오류없이 정상적으로 잘되어짐을 알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난 20여년이 다 지나도록 아름다운 창녀로 알고있었다.그런데 문득 다시 살펴보니 잘못알고 있었던것이다.



왜 나는 잘못 알아듣고 있었을까? 사람이 귀로듣는 소리가 같은단어라도 사람에따라 다른단어로 알고 있을수 있음을 알았다.


나는 이렇게 생각했다."사랑하고 싶어라야,아름다운 음악이 흘러 나올때 마치,한 영화에 아름다운 창녀처럼,사랑하고 싶어라야 혼자 외로이 서있을땐......."





그런데 직접가사를 살펴보니,"한 영화에 아름다운 장면처럼"이었다.난 지금까지 사랑하고 싶어라야라는 노래를 때때로 읍조릴때는 들리는대로 아름다운 창녀처럼 이렇게 알고,그것이 올바른 노래소리인줄 알고있었다.내가 좋아하는 곡인 "유숙의 사랑하고 싶어라야"은 언제 들어도 마음이 찡해지고 가을에 가장 잘어울리는 노래라고 생각한다.


개인적 잡소리를 적어 넣어으려고 글을 쓴것은 아니고,유숙의 사랑하고 싶어라야를  갑자기 듣고싶어서 인터넷에 찾아봤더니,찾을수가 있었다.그런데 노래를 들으니 가을내내 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노래파일을 내컴퓨터에 저장해 놓고 듣고싶었다.


잡다한 소스보기나 기타 태그연습장을 이용하여 주소를 가져오는 것같은 절차없이 가장빠르게 인터넷에서 흘러나오는 음악파일을 개인컴퓨터에 저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적어 두려고한다.아래의 그림을 보면 쉽게 이해할수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인컴퓨터에 재생되는 동영상이나 음악파일은 재생되어지는 순간 그파일은 제어판-인터넷옵션-일반-설정
-파일보기
를 하면 위에 그림에서처럼 임시인터넷 파일들이 나타나게된다.이곳에서 빈공간 마우스 오른쪽버튼-아이콘 정렬순서-종류를 선택해준다.이렇게하면,그림은 그림파일대로,영상은 영상파일대로,텍스트문서는 텍스트문서대로 종류별로 나열되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에서처럼 블로그나 기타 노래파일이 재생되는 사이트에 들어갔을때 나오는 영상이나 노래파일은 임시인터넷파일에 모두 들어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에서처럼 임시인터넷파일에 들어있는 재생되어지는 음악파일을 선택한후 마우스오른쪽버튼-복사를 한다음,바탕화면의 빈공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붙여넣기를 선택해주면,구지 다음에 그 노래를 듣기위하여 다시 블로그나 사이트를 방문하지않더라도,자신의 컴퓨터에 저장된 노래를 들으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포탈이나 사이트에 로그인한후,열려진 인터넷창을 닫아 종료하는경우와 로그아웃하여 종료하는경우,사소한차인거같지만,기분나쁜차이가 존재한다.

로그인상태에서 인터넷창을 닫는방식으로 로그아웃이되었다구 생각하는것은,착각이다.

컴퓨터는 임시인터넷파일폴더가 존재하여,사용되어지는 아이디나 비밀번호,기타 보여줬던 모든것들이,임시적으로 파일폴더에 남아있게된다.


인터넷창을 닫을때,임시인터넷파일 비우기는 임의적체크로 바꿔꿀수가 있는것이기에,



로그인상태에서 인터넷창을 닫았다고,로그아웃기능을 대신한다고 생각하면 안된다.또한 이런경우,로그아웃기능이 되었다고해도 ,로그인상태에서 인터넷창을 닫는방식으로 로그아웃을하면,로그인했던 사이트상에서는 온라인상태가되기에,일반개인정보에해당하는 쿠키정보가 계속저장되어 활용되게된다.



그러므로 pc방이든,가정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이든,상관없이,로그인기능이 있는 사이트를 이용할때는,인터넷창을 닫는 방식으로 로그아웃되었다구 생각하면안되고,로그인기능은,정상적인 로그아웃한후 로그인되었던 인터넷창을 닫아줘야한다.



인터넷창을 닫는방식으로 로그아웃되었다고 생각하여 사용하는습관은,개인정보유출,개인의 사이트이동경로기록,공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일경우,그로인한 파생되는 문제점을 생각해본다면,사소한차이지만,정상적인 절차대로 로그아웃하여 창을 닫는것의 중요성을 인식할수있다.



pc방같은데서보면,어떤여자분이 사용하던 컴퓨터를 창을 닫구나갔는데,내가 그자리에서 인터넷을 우연히 하게되어서,창을 닫아더라도,창을열어보니 로그인기능이 유지되어있어,개인정보뿐만아니라,사용되었던 메모,쪽지 모든기록들을 다볼수가있었다.이처럼 로그인된 사이트를 창만닫구,나가버리는 습관이,얼마나 황당한 로그아웃방식인지를 알수가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