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가 매우느리고 바탕화면에서 마우스가 멈춘다거나 다운되는경우,cpu사용률이 100%를 왔다갔다하는 경우

대부분의 문제는 소프트웨어적인 문제가 아니라,하드웨어적인 문제로인하여 발생하게된다.그중에서 고장이 나더라도 고장인줄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불량하드로인하여 생기는 증상들이다.


방명록을 읽다보니 다음과같은 글이 적혀져있었다."구입한지 일주일이 채 안되어서 문제가 생기더니 a/s 를 받아도 계속 문제가 생기네요
 


a/s 하시는기사말로는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라고 하는데 와서 고작하는게 바이러스검사랑 호환성 잡아주는거네요......, 처음엔 안그랬는데 이삼일 지나니깐 인터넷이 눈에 띄게 느려졌어요"
이러한 문제에 어떻게 테스트하고 교체할수있는지 일반상식적으로 알아두면 나쁠게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의 고장증상은 여러가지이고 다운,컴퓨터가 느려짐,블루스크린,부팅오류등등의 증상에있어서 나타날수있는 부품들이 위에보이는 하드,메인보드 cpu및콘덴서,메모리,파워등으로 요약해 볼수가 있다.이중에서 파워나 메인보드 콘덴서로인하여 나타나는 증상은 전원이 불규칙적으로 켜지거나 안켜지는것으로 컴퓨터의 느려짐과는 관련이없다.블루스크린이 나타나는 70%이상이 메모리로 인하여 발생하고,20%정도가 하드불량으로 인하여 나머지 10%가 케이블및보드류와 관련이되어 나타난다.메모리의 불량으로 나타난다고 볼수도있지만,위에 나타나는 현상은 메모리의 불량과는 관련이 적고,대체적으로 하드불량으로인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되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드가 불량이라면,불량유무는 테스트해봐야한다.하드의 불량유무를 테스트해주는 소프트프로그램들은 많이 존재한다.그러한 프로그램들의 공통적인 스마트항목중에,UltraDMA CRC Error,Current Pending Sectors,Offline UNC Sectors의 항목이 0으로 표시되어지는것이 좋은상태를 유지하고있는 하드로 판단할수있고,숫자가 높아질수록 불량하드및베드섹터를 가진 하드로 판단할수가 있다.

여기서 베드섹터라는 말은 하드내부가 흠집이 났거나,깨졌다는 의미가아니라,베드섹터구간에 저장된 정보를 읽고,불러들여 활용하는데 더많은 시간이 걸리기에,1분이면 끝날 작업도 베트섹터구간때문에 10분이상이 걸리게된다.하드회사별로 만들어진 로우포멧 프로그램들이있고,윈도우상에서 하드를 로우포멧할수있는 프로그램들도 존재한다.

로우포멧을 하다가 시간이 너무오래걸려 중간에 꺼버리는 경우나 하드상태의 불량으로 컴퓨터가 다운되어버린경우 어떻게될까?실험해본봐 윈도우상에서 로우포멧할수있는 범용프로그램사용중 꺼져버린경우 다시부팅하여 연결해보면,로우포멧되다가 멈춘하드는 하드드라이브에 잡히지 않았다.인식이 안되므로 사용방법이 없는가하면 그렇지는않고,하드회사마다 배포하는 전용프로그램으로 다시 로우포멧을하면 정상적으로 하드드라이브로인식하고 로우포멧을 계속진행할수가 있었다.

이때에 중요한것이 하드회사에서 배포하는 로우포멧 프로그램에서 정상적인 하드로 표시되어졌다고해서 모두 정상인 하드가 아니라는점이고,범용프로그램으로 하드의 이상유무를 테스트해서 숫자가 모두 0으로 나왔다고 모두 정상하드로 판정할수도 없다는 점이다.

중요한 판단포인트는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정상적으로 사용되어지는가? 정상하드로 로우포멧프로그램들이 판단한다고해도,정상적으로 개개인의 컴퓨터에서 잘작동하지않는다면,그러한 하드는 불량하드일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개인의 컴퓨터에 장착된  하드가 정상적으로 잘 작동되어지고 있는지 확인해보고 싶다면 키보드 자판의 ctrl+delete+alt을 동시에 한번 누른후,나타나는 작업관리자창에서 성능항목의 cpu사용률이 인터넷창을 1~2개 켜는데도 100%근처에 보통 유지되고있다면 좋은하드상태가 아닌것이 100%추정 가능하다.

불량하드로인하여 발생하는 인터넷느림이나 오류들은 완전하게 사용못할정도의 상태가 되지않는한 대부분의 가정에서 컴퓨터에 장착되어진후 불량유무를 의무무상(2년)내에 일반적으로 테스트해보지않고 사용되어져,인식하지 못하게 인터넷 느려짐이나 다운,블루스크린등의 불편을 감수하기에,애시당초 좋은하드 회사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는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난한이의 윈도우7 사용해보니,윈도우7이 가지는 여러가지 기능들중에서 어떤기능을 활용하고,유용하게 사용할수있는지와

0x000000a5 블루스크린의 원인과 해결책은 무엇이며,운영체제인 윈도우7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사용할수있을 정도의 가장 최소의컴퓨터의 사양과 성능은 어느정도인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윈도우7이 윈도우xp보다 활용할수있는 기능은 어떠한것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자.

윈도우7를 테스트 사용해본 결과,윈도우7은  쓸만한 기능은,컴퓨터를 잘모르는 일반사용자들이라고해도  편리하게


컴퓨터부품이 정상과 불량을 진단하여 사용할수있는  기능을 가지고있어,하드나 메모리,그래픽등을 생산하는 제품을 만들어내는 하드웨어부품업체에는 대충,대충이 안통하게되었다.

특히 하드나 메모리등에있어,일정부분 불량인상태라도 일반적인 이용자들은 그것이 부품으로인한 불량인지,소프트웨어적인 오류에인한 불량인지,아닌지에대하여 테스트해볼 방법이 없기에,오류나 느려짐,이상현상들이 때대로 생겨도 반품교환을 하지않고 원인을 모르기때문에 무상a/s기간이라도 교체하지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흔하다.

하드나 메모리는 일정부분 불량이라도 일반사용자가 사용하는데 큰이상을 보이지않고 작동은 되기에 때때로 생겨나는 블루스크린이나 컴퓨터멈춤,재부팅현상등으로 인하여 경제적,시간적 손실을 감수하게된다.그림을 통하여 윈도우7 성능 활용을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불량품 유무의 기준을 알아두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윈도우7을 테스트해본 컴퓨터의 성능은 위에 표시되어있다.메모리 512mb,펜티엄4(2.66gh),하드80g,그래픽 지포스 5200 이다.윈도우7은 메모리의 성능이 100% 활용되고있느지,없는지에대한 판단을 표시해주는데,단순히 꼽혀져있는 메모리만을 표시하는 xp와 기능이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윈도우7에서 0x000000a5의 오류표시와 블루스크린이 나타나는 현상은,복잡하게 acpi가 어쩌구,절전전원규칙이 어쩌구의 문제로인하여 발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고,대부분은 윈도우7을 사용하기에 적합하지않은 그래픽이나 메모리등의 부품의 구성을 가지고있기에 생겨난다고 볼수있다.이러한 유형의 블루스크린이 생긴다면 컴퓨터 내부의 그래픽이나 메모리등이 접촉불량이거나 성능에있어 일정부분 불량이 있음을 의미하기에,내부의 부품을 재장착해주고,그래픽이나 메모리의 성능테스트를 해보는것이 해결책이다.극히 일부부인 acpi로 인한 문제라면 위에 그림처럼,장치관리자에서 컴퓨터를 선택하고 86으로 나타난것이라면 위에단계처럼 드라이버업데이트  컴퓨터에서 드라이버...컴퓨터의 장치드라이버 목록에서 직접선택-acpi를 선택해주면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윈도우7은 하드나 그래픽,메모리등의 정상유무와 성능유무에 대하여,xp운영체제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고,불량에대하여 한눈에 알아볼수있도록 제어한다.이러한 장점은 윈도우7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단순히 눈으로 확인하는것만으로도 좋은부품상태로 스스로가 사용하고있는지 확인할수있는 선택적 지혜를 주고있음을 알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윈도우7의 바탕화면은 활용할수있는 기능과깔끔한 면이  여러가지가 있지만,메모리나 그래픽이 저사양인 경우는 그 혜택을 운영체제가 알아서 스스로 제어하기에,낮은사양의 부품을 가지고있더라도 정상적으로 사용할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의 테스트용 컴퓨터의 성능정보의 결과이다.윈도우7의 장점은 바로위에 표시되는 각부품의 성능을 테스트해주는 기능인데,여기서 유의해봐야할 부분이 하드의 디스크 데이터 전송률부분이다.이부분이 전송률이 4.0이하로 나오거나 전송률을 계산할수가 없다는 표시가 나온다면,장착되어진 하드는 베드나 일정부분 하드웨어적인 불량을 가지고있다는 표시이기에,하드를 만든회사에 불량품으로 반품이나 교환을 요구해야한다.

그래픽부분에있어서 저사양인 경우 나의 컴퓨터는 테스트결과 최하위 점수인 1.0을 받았다.1.0~7.9까지의 점수가 부여되는데 7.9의 점수가 부여되었다면 부품의 최고일뿐아니라 최적의 성능을 내는부품임을 알수가있다.위에 정보에서 알수있듯이 저사양이면 윈도우7 운영체제 자체가 일정기능을 제한하기에,저사양 그래픽카드라고 설치해서 사용할수없지않나라고 미리 포기할필요는 전혀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 윈도우7은 기본적으로 바탕화면에 진입했을때 아무런 작업을 하지않더라도 160-190mb의 메모리를 기본적으로 운영체제구동에 사용되어짐을 알수가있다.나의 테스트용 컴퓨터는 메모리가 256만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있고 사용되고있음을 알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테스트용 컴퓨터에는 512MB가 장착되어져있지만,256MB의 성능을 내는 메모리한개는 기능이 불량이기에 장착되어만 있을뿐 불량상태임을 윈도우7의 성능정보를 통하여 쉽게 확인할수가 있다.그러므로 테스트용 컴퓨터의 메모리는 무늬만 512MB일뿐 성능의 50%만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있음을 알수가 있다.간단히 말하자면 윈도우7을 256MB의 메모리로 구동하여 사용하고있다는 말이다.이러한 상태에서 인터넷작업을하고 사용하는데 별 불편함을 느낄수없는 속도를 보여주었다.

지금까지 경제적 형편상 저사양 컴퓨터를 가지고 윈도우7을 테스트하여 사용할수밖에 없었던 가난한이의 윈도우7 사용 테스트 글이다.*^^*

윈도우7에대한 생각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각각의 하드웨어부품의 성능과 불량유무를 테스트하는데 이보다 더 좋은 도구는 없겠다라는 생각이고,XP를 사용하더라도 윈도우7의  이러한 테스트기능은 잘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알수가 있고 운영체제 사용에있어  XP와 윈도우7 둘중에 하나를 골라 어느것이 더좋은지 선택해주라면

초보자나 컴퓨터를 잘모르는분들은 윈도우7의 운영체제을 사용하는것이 현명하고,컴퓨터의 전문가급들은 XP를 사용하여,스스로 편집하고 활용하고 정리하는 습관으로 사용하는것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