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궁금증에대한 질문을 읽어보다가,모니터를 수리하고 화질이 예전보다 더 나빠졌는데,이것이 무엇 때문인지에대한 내용이었다.

모니터는 생각외로 간단하게 구성되어있기에,일반인들이라도 내부의 부품의 스펙정도는 간단히 알수있고,이해할수가 있기에 스스로가 고칠수없다 하더라도,무엇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에대한 상식을 가지고 있다면,수리비를 지불하고도,안좋은 상태의 모니터를 계속사용하는 어리석은 보답은 받지 않게 된다.



모니터 바탕화면의 글씨가 가늘어지고,번진듯하게 보이거나,글자들이 가늘면서 분필로 쓴것처럼 흩어져 보인거나,영상의 재생이 흐릿해졌다든지 하는 경우들은 예외없이 컴퓨터의 본체의 선을 연결하는 모니터단자부위의 불량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모니터가 아예 안켜져서 사용을 못하는 것은 아니기에 불량현상을 참고 그대로 쓴다고해도 사용자눈이 나빠지는 단점정도가 누적된다는 정도기에,그대로 사용할수는 있다.

깐깐한 고객이라 생각한다면 수리기사는 수리를할때 처음부터 이런것을 제대로 알려 적정한 부품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단지 작동되는 수리가아닌 올바르게 고치도록 하거나,부품을 바꾸겠지만,

대강대강해도 될만한 만만한 고객이 맡긴 모니터라면,수리를함에 있어서도,어자피 수리비를 더 받는것도 아니니,세세한 부분은 모르쇠로 간단히 넘어가버리고,

고객이 수리이후에 이러한 현상이 생겼는데 어떻게 할거냐고하면,그건 또 다른부품이 고장난것이기에 수리비를 또내고 고쳐야한다는 직업윤리를 밥말아먹은 대처를 하게된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제일 먼저 모니터의 수리를 맡길때,어떠한 부분이 고장인지에 대한,상식을 표현 하지 않기에 생기는것이고,

두번째는 모니터를 수리하는 기사들의 수리전문성이 떨어지기때문에 나타난다.모니터를 봤을때,모니터는 그렇게 복잡한 부품으로 이루어진것이 아님을 한번에 알수가 있고,갈수록 수리한다는 개념보다는 단순히 고장난 부품를 교체하는것을 수리라는 개념으로 가고있는 현실이기에,

모니터의 고장증상을 딱보면,어디가 고장났을것이다라는 즉각적으로 파악할수있어,그에맞는 부품을 교체하는것은 아주 간단한데,엉뚱한 부분을 만지거나,수리하거나,교체하고는 부가적으로 나타는 위와같은 오류현상을 나타내는 부품은 교체해주지도 않았기에 나타난다.

그러므로 모니터 내부에대하여 암것두 모른다해도,단 두가지 명칭만 기억해뒀다가,그것만 말해주면 된다."ad보드불량인지,파워보드 불량인지 제대로 고쳐주세요."라고하면,암것도 모를것 같은 만만한 고객으로 보지 않기에,속이거나,안고장난곳을 고장났다고 교체해야한다거나,불량오류가 나타남에도 모르쇠로 수리가 잘되었다고,거짓부렁하는 황당한 수리를 당하지 않게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니터가 갑자기 몇초정도 나왔다가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았다.왜 이러지? 무엇이 고장난것인가하고 모니터를 분해하기로 했다.

먼저 화면이 조금보이다가 깜깜해지는것은 첫번째 메이커 모니터인경우는 ip보드=통합보드(인버터와파워가 결함된부품) 불량이고,


중소기업제품인 경우는 인버터불량으로인하여 발생한다.백라이트 어쩌구는 극히 드문경우이기에 제외해도 된다.그리고 백라이트불량이라고해도 진공어쩌구는 쓸데없는소리이고



그냥 전구다마끼우듯 바꿔서 끼워주면되기에 별어려움이 없이 누구나 할수가 있다.저가형 모니터일수록 전원선을 꼽는부분이 ad보드와 결합되고,인버터는 별도로 구성되어지며,품질이 좋은 모니터일수록 아답터가없이 220v그대로 꼽아 사용할수가 있는 통합보드인데 인버터에 파워전원부가 함께 결합되어져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장증상을 보이는 모니터는 인버터와 파워가 별도인 모델로 내부가 구성되어져있었고 인버터는 호환성이 높기에 선배열순서는 연필깍이칼로 간단히 바꿔줄수 있기에 인버터불량인가하고 정상적인 인버터로 바꿔서 전원을 켜보았으나 증상은 똑같이 나타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분명히 인버터문제인데 왜?라는 의문이들면서 ad보드문제인가하고 아무리 쳐다봐도 외관상 아무런 이상이 보이지 않았다.그러다 우연히 엉뚱한것이 문제였음을 알게되었는데 문제의부품은 아답터 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기본적인것부터 테스트해봐야하는것을,열심히 분해할 필요가 전혀없었는데 난 뭐한거지?^^;; 아답터의 무엇이 문제였기에 화면이 잠깐들어왔다가 깜깜해진것인지 불따구나서 분해해보았는데 c양이 임신을 하고있었다.배볼딱한 콘덴서들을 교체하면 비용이 전혀안들겠지만 모니터 아답터들은 만원대에 살수있는 비싸지않은 부품들이기에 하나새로 구입하는게 정신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안정성면으로 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답터불량이 화면이 몇초 나왔다가 모니터화면이 깜깜해질수도 있다는것을 알고있으면 모니터수리 보낼필요없이 외부부품이기에 직접스스로 바꿀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