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탕화면에 나타나는 아이콘의 설정과 기능들에대하여 살펴보자.

바탕화면에 나타나는 아이콘들을 세부적으로 설정해보고,어떠한 효과와 기능을 표현 할수있는지 배워보자.

바탕화면의 배경화면그림들은 기본적으로  C:\WINDOWS\Web안에 Wallpaper폴더안에 들어있다.

내문서나 기타 경로에 배경화면그림을 저장해놓고 배경화면을 꾸며도되나 경로가 바껴버리거나 삭제된 그림일경우는

다른 배경그림을 바꾼경우 원래의 경로상에 보존되어 있지않기에 원그림을 찾을수가 없고, 컴퓨터의 종료시에 이중배경화면으로 잠깐 비춰다 사라지거나,아예 단색의 배경화면으로만 표현되기에,위에 지정된 경로에 기타 배경화면 그림을 저장해두는 습관이 좋다.

배경화면의 아이콘들에 대한 기능설정은 대략과 세부적으로 나누어 설정할수가 있는데,대략적인 설정은 큰아이콘,작은아이콘등의 2가지선택이지만,세부적 설정은 다양한 크기로 설정해줄수가 있는곳이 고급화면배색아이콘항목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먼저 아이콘밑에 표시되는 이름들이 표시되지않게 하는 기능은 이름바꾸기 기능을 활용하여 만들어 낼수가있다.위에그림처럼 아이콘밑에 원래이름을 전체 선택한후 키보드자판의 자를 선택한후 키보드자판의 한자키를 선택해주면 문양을 선택하는 기호가 나타난다.이곳에 1번은 기호가 설정되어있지 않기에 1번을 선택해주고 엔터해주면 아이콘에 이름은 무채색이되어 표시되어지지 않게된다.원래대로 기본적으로 표현되었던 이름을 표시되게 해주고싶을때는 아이콘의 빈이름위에 커서를 놓고 키보드자판의 delete키를 선택해주면 원래의 아이콘이름으로 표시되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탕화면의 빈공간에서 속성-화면배색-고급-아이콘항목을 선택하면 아이콘의 크기와 아이콘밑에 표시되는 이름의 글자의 글꼴모양이나 크기를 조정해 줄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처럼 주소표시창의 쓰여지는 글자들이 진하게 표시되어 눈에띄게 구분되도록 설정하는것은 글꼴부분에서 B라고 표시된부분을 선택한후 확인을 해주면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처럼 아이콘의 다양한 세부적크기로 조정해줄수있는 부분이 크기항목의 숫자의 변화로 아이콘모양의
변화를 설정해줄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의 바탕화면을 이루는 배경사진의 위치와 활용성에대하여 알아보자.

컴퓨터의 배경화면사진은 여러가지 자신이 마음에드는 사진으로 바꿔서 사용들을한다.


그런데 간혹가다 마음에드는 사진을 바탕화면의 배경으로 인터넷에서 다운받아 사용하다가,다른 배경사진으로 바꿔버렸을때


이전에 사용하던 배경사진을 사용하고싶어도 사라져버린경우가있다.



이런경우를 방지하기위해서는 배경사진의 저장위치와 활용성을 일반상식적으로 알아두는것이 좋다.컴퓨터의 바탕화면의 배경사진은 내문서-내그림에 저장해놓거나,바탕화면의 배경사진을 저장해두는 웰페어폴더안에 넣어두어야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탕화면의 배경화면을 바꾸려고 했을때,기본적으로 내문서안에 내그림속에 들어있는 사진이나그림중에서 선택하도록 되어있다.이때에 일반적으로 내그림폴더를 열었을때는 보이지않는 기본적인 윈도우바탕화면 배경사진도 보이는데,실제로 이러한 윈도우바탕화면 기본배경사진들은 내그림폴더에 들어있는것이아니라,


C:\WINDOWS\Web\Wallpaper안에 들어있다.한글로 경로적어보면 내컴퓨터-로컬디스크(C)-윈도우폴더-웹-웰페어안에 윈도우바탕화면 기본배경사진들이 들어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웰페어폴더을 열어봤을때 보이는 이러한 사진들은 기본바탕화면에 나타나는 원본사진들로 편집하여 활용할수도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