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를 하려면,항상 쳐다봐야하는것이 모니터화면이다.모니터 화면의 유리처럼 보여지는 부분을 보다보니,

이것은 어떤것이 합쳐져길래 화면이 투영될까 궁금증이 생겨서 직접 모니터의 패널속을 분해해보았다.


일반인들이 패널속을 들여다 볼일이없기에 나라도 들여다 봐보자라는 생각이 들어서 실행해보았다.


재미난것은 유리처럼 이루어진 패널속에는 뜻밖의 것들이 들어있었는데.......



컴퓨터를 켜고 웹셔핑을할때 유리면속에는 무엇으로 구성되어있길래 유리처럼 보일까? 정말 유리로 구성되었을까,아니면? 해답은 아래의 사진들을 통하여 알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반 유리면을 감싸는 쇠조각부분(?)을 들어내야 그안에 뭐가 있는지 알수가 있겠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검은부분을 들어올리자 키보드위에 덮는 비닐같은 투명한 순백색의 사각형비닐이 덮여있었다.3겹으로 덮여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겹의 비닐을 치우자,밑에 유리같은 단단한 무엇인가 모습을 드러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게 무엇일까,나무토막일까,유리일까? 아니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들어서 옆으로 세워봤더니 제법 뚜거웠다.사진을 보면 패널안은 유리가 맞는가보다라고 언뜻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지만,틀렸다.저것은 유리가아니라 사각형의 뚜거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백색투명의 플라스틱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패널은 유리로 구성되어 있을것이라고 단순히 생각하는분들은 이제 본질을 알수있을것이다.패널속은 유리가 아니라 저렇게 3장의 투명한 비닐과 하나의 뚜거운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다는것을.......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껵는 다양한 경험중에는 컴퓨터의 파워버튼을

여러번 눌러야 어떨때는 켜지는 증상,생생돌아가던 게임이 언제부터인가 렉이걸리면서 화면이 꺼져버리는증상,


모니터화면의 색감이 찌그러져나오거나 색의 밝기가 어두워졌다가,밝아졌다가하는 증상,


컴퓨터가 일정시간 사용하면 제멋대로 꺼졌다가 재부팅되는 현상,



아무때나 꺼지고 켜지는 증상등은 개당100원도 하지않는 콘덴서의 불량으로 인하여 생기는 문제이다.이러한 콘덴서의 교체는 특별한 도구나 기술이 필요없는 관계로 상식적으로 알아두면 누구나 쉽게 고장난 것을 고칠수가 있다.

컴퓨터의 자판이나 그래픽카드등에 붙어있는 수많은 콘덴서들중에 간혹 불량인 콘덴서가 장착되어 일정시간이 지난후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한다.이런경우는 전체를 바꾸는것보다,불량난 콘덴서만 바꿔주는것이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현명하다.

아래의 그림을 통하여 일반가정에서 어떻게 쉽게 콘덴서를 교체할수있는지에 배워보자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 깡통형콘덴서나 일반콘덴서의 위부분이 터져있거나 위로 볼록쏫아있는경우 이렇게 생긴 콘덴서는 불량이 난것이므로 기판에 쏫아있는것들중에 이것만 빼어내어 볼록하거나 터지지않은 콘덴서로 교체해주면된다.먼저 콘덴서가 납땜된 기판을 뒤집어서 위에 그림처럼 닛빠나 칼등으로 뾰족하게 나와 납땜되있는 콘덴서의 다리부분을 깔끔하게 싹뚝 잘라서 평평하게 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처럼 콘덴서가 위치한 앞몸통부분은 집게로 잡고,콘덴서의 다리가 나온 뒷부분은 인두기로 지긋이 눌러서 열을 가하면서 콘덴서의 몸통을 잡아당기면 쉽게 빠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상적인 콘덴서를 사서 교체하려면 콘덴서 가격이100-200원이지만 그것보다는 수십배의 택배비를 부담해야하기에 배보다 배꼽이 더크게된다.모든 전자제품안에는 콘덴서가 사용되지않는 기기는 거이 없기에 못쓰는 전자제품을 뜯어보면 사용할수있는 콘덴서들이 많이 들어있다.그런곳에 들어있는 정상적인 콘덴서를 빼다가 교체해주면 된다.깡통처럼생겼던,모양이 다르게생겼던 볼트와 용량이 비슷하게 표시된것끼리는 다 호환이 잘된다.불량인 콘덴서의 볼트와용량보다 동격이거나 더큰것일수록 좋고,볼트가 낮거나 용량이 낮은것은 안좋다.

콘덴서의 다리는 두개인데 기판에 납땜해줄때는 기판부푼에 동그란모양으로 반은 찐하게,반은빈공간으로 표시되고 콘덴서에서 일정부분에 색깔이 그려진부분이있는데,색깔이칠해진부분은 -극이고,빈공간은 +극이기에 콘덴서의 색깔막대가 표시된부분과 기판에 색칠해져있는 부분이 서로방향이 같게 콘덴서를 넣어주면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납땜은 철물점이나 공구상에가보면 인두기와 실납을 1만원내외에서 구입할수가 있다.콘덴서는 축전지와같은 역할을 하기에 높은볼트와 높은용량을  머금을수있는 콘덴서가 낮은볼트와 낮은용량의 콘덴서보다 가격이 더 비싸다. 이왕이면 부품을 고를때 같은값이면 볼트와용량이 높은것을 많이 달아준것을 구입하는것이 좋다.

가전제품에 들어있는 기존부품들을 활용하면 쉽게고칠수있는데,콘덴서불량으로 전체부품을 교체해버리면 기본이 몇만원에서 몇십만원의 수리비용을 기본으로 청구받기에 일반상식적으로 알아두어 활용하면 좋다.위에 부품은 게임용으로 나온 8600gt그래픽카드의 콘덴서불량으로 교체한것이다.불량증상을 보였던 그래픽카드였는데 콘덴서 교체후 생생~새것처럼 잘돌아간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터넷창을 열때 모니터화면크기에 맞게 전체화면으로 나오는게아니라,


작은창이나 기타 모니터화면과는 불일치하는 인터넷창이 열리는 경우에


인터넷아이콘을 선택하여 인터넷창을 열때 모니터화면 크기와 동일하게 나오도록 설정해줄수가 있다


아래의 그림을보면 모니터화면과 불일치되어 인터넷창크기가 나올때 쉽게 해결해 줄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에서처럼 바탕화면의 인터넷아이콘을 선택하여 처음 인터넷창을 열었을때,모니터화면과 일치되게 인터넷창이 나오는게 아니라,작게 열리는경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 그림에서처럼,열어진 창위에 파란색부분 빈공간 마우스오른쪽버튼-크기조정을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크기조정을 선택해주면 위에 그림에서처럼 마우스커서의 모양이 사방화살표로 변한다.이 상태에서 위에 그림에서처럼 빨간색x표시 옆에있는 큰네모를 선택해준다.변화가 아무것도 없는것처럼 느껴진다고해도,이후 바탕화면에서 인터넷아이콘을 선택하여 인터넷창을 열때,모니터화면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인터넷창이 열리게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