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바다와 멸치 그리고 쓰레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방사능 먹고 죽은 멸치 대가리 사진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우리나라의 바닷가 해안가에 멸치가 이유 없이 떼죽음하는 것을 보면, 다른 연안성 정착생선과는 다르게 우리나라에서 잡히는 멸치는 일본의 후쿠시마등지를 돌고 돌아 우리나라의 연근해에서 잡히고 이렇게 해안가로 밀려와 죽는 것 같다.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잡히는 멸치들이 왜 이렇게 해안가에 밀려와 떼로 죽는 현상이 나타냐고 있냐는 점이다. 일본에서는 지진전조니 하는 핑계거리라도 붙일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런 변명을 붙일 수 있는 지질구조가 아니기에 멸치라는 생선은 확실하게 후쿠시마등 일본열도를 돌아서 결국 우리나라 연근해를 돌아다니는 생선으로 일본의 후쿠시마 현지사람들이 멸치를 안 먹는다면 당연히 우리나라에서 잡히는 멸치도 안 먹는 것이 멸치어류의 특성이나 나타나는 현상을 보건데 올바른 것 같음.

 

 

다른 건 몰라도 멸치는 우려가 아니라 우리나라 해안가에 떼 죽어 널 부려 있는 것을 두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분명한 현실임. 숭어보다 오히려 우리나라 자체의 연근해에서 잡히는 멸치의 방사능수치 검사를 반드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가자미,광어,홍어,우럭.숭어등 바다 밑바닥을 헤쳐 기생하며 살아가는 생선들은 방사능유출시 방사능 함유량이 높은 생선종류에 해당한다는 것은 일반 상식적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해안가에 떼죽음해 밀려온 멸치들은 바다 밑바닥에 기생하는 생선종류가 아닌데 왜 이렇게 많이 죽어서 널려져 있을까?

 

 

 

 

현실적 모습을 봤을 때 방사능 유출시 위에 열거한 생선종류보다 훨씬 더 멸치가 방사능함유량에 있어서 가장 취약한 넘버원 물고기 종류에 해당 할 수 있는 생선임을 미루어 추정 할 수가 있다.

 

 

 

오늘 언론기사에서 우리나라 원전주변에 숭어들이 세슘의 방사능함유량이 기타 지역에 있는 숭어들보다 엄청나게 차이나는 방사능함유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기사가 났는데, 현실에 떼죽음하는 멸치모습을 봤을 때 숭어 보다 훨씬 더 방사능취약종목 물고기로 멸치를 일반 상식적으로 알아 두는 것이 현명함임을 알 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물고기를 잡는방법에는 낚시로 잡는방법뿐아니라,나무열매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을수도있다.우리나라에서흔히 볼수있는 나무중에,때죽나무라는것이있다.


때죽나무의 열매를 물고기가 사는물에 풀어놓으면 물고기는 때죽나무의 마취성분으로인하여,마비현상으로 물고기가 수면위로 떠오르게된다.


물반고기반,그냥 손으로 주우면됀다.때죽나무의 꽃은 옆에보듯이 아름답기까지한데,열매에는 생물을 마취시키는 성분이들어있다.



아름다움것을 보면 사람이 넋이나가기두하는것처럼,아름다움과 마취라는 단어는 별상관없는것같으면서,연이있는것같다.사람들이 바다에사는 물고기들은,낚시나 도구를이용해야만 잡을수있는것같지만,손으로 직접잡을수있는물고기들두있다.대표적인게 멸치라는것이있다.멸치는 해안가에 개미보다 더많이 때로밀려온다.손만으로
도잡을수있구,둥그런 함지박만있으면 상당히많은양을 손으로잡을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닷가의 모래속에 뭍혀있는 조개를 파다가,뭔가 뱀처럼 길다란 동그란것이잡히길래,뭔가하구 끌어당겨보니
끌어당길수록 길이가 길어지더니,나중에보니 길이가 뱀만한 꽁치가 모래속에 숨어있었다.-.-;;



바닷가의 물빠진 모래속에는 조개같은 어패류만사는게아니라,다양한 어류들이 숨어서산다.혹시 조개를
파다가,뭔가 동그란게잡히면 ,kungmi처럼 신기하다구 계속끌어당기지말기를,꽁치일수도있지만 ,재수없으면 바다뱀일수도있다.흐흐흐



외국에서는 어쩐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바다뱀은 깊은바다속에서만 살구,사람이사는해안가근처에
모래속에서 숨어있지않기에,진짜 바다뱀이 튀어나오는경우 전혀없다,모래속에서 뭔가잡히면,아싸~.......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