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 내장된 메모장은 그자체가 태그연습장의 기능을가지구있다.
사용하던 네이버의 태그연습장이 마이홈기능으로 없어져서,컴퓨터에 내장된 메모장을 이용한 태그연습장기능을 이용해보았다.
특별히 뭘만들구할필요없이,시작-모든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메모장만열면 쉽게,태그의 실행결과를 볼수가있다.
음악이나 이미지태그등의 편집이나 실행이 정상적으로 보여지는,확인해보는용도로는 메모장을 이용하는것이,태그연습장이걸린 링크를 찾아서,확인해보는것보다,빠르구 편리하다.아래의 그림을 참조해보면,쉽게 이해가된다.
이미지나,음악등의 편집할 태그소스를 메모장에 적어준다,(여기서는 음악태그를 예시로)
메모장에서 편집이끝나서,태그의 실행결과보기를 해보려면 아래그림단계로
위에그림에서처럼 저장위치를 바탕화면으로하구,파일이름에는 임의의파일명.html,파일형식은 모든파일을선택한후,저장해주면 바탕화면에 html아이콘나타난다.여기서는 파일이름을 "아무파일명이나"예시
위에그림에서처럼 바탕화면에 만들어진,html아이콘을 선택해서실행하면,예시로,음악태그를 사용했기에,인터넷상에서 음악파일이 다운로드되어 실행되므로,보안을위해라는 노란줄아이콘이나타났다.노란줄아이콘에서 마우스오른쪽선택-차단된컨텐트허용-허용하시겠습니까? 예를 선택해주면,메모장에서 편집된,태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결과보기를 해볼수가있다.메모장에서 태그의 편집이나 결과보기를하는것이,태그연습장을 일부러찾아서 편집이나 결과보기해보는것보다,더쉽구,빠르다.
메모장활용
- 컴퓨터 메모장활용 2008.05.23
- 컴퓨터에 내장된 메모장활용 2008.05.19 8
컴퓨터 메모장활용
2008. 5. 23. 21:23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컴퓨터에 내장된 메모장활용
2008. 5. 19. 15:05
728x90
반응형
컴퓨터를 사용할때,일반상식적으로 알아두면 좋은것들이있다.
아이들이 컴퓨터를 얼마나 오랜시간 자주하는지확인해보구싶거나,
회사나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자신의 컴퓨터를 자신이 자리에없는시간에,누가사용한적은없는지,
이런경우에 간단히 컴퓨터에 내장된 메모장을 열어보는것만으루,쉽게 자신의 컴퓨터의 사용여부에대한 사실을 알수가있다.
위에그림에서의 단계처럼,먼저 시작-모든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메모장을 선택하여,메모장을 열어준다
메모장에 다음과같이 적어준다.
@echo off
echo Windows 부팅 >>c:list.txt
echo %date% %time% >>c:list.txt
echo. >>c:list.txt
메모장항목에 파일-다른 이름으로저장-파일이름(n)에 list.bat으로 적어준후,저장위치를 바탕화면으로
해주면,바탕화면에 list.bat이름을 가진아이콘이 생긴다.
위에그림에서처럼,시작-모든프로그램-시작프로그램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열기를 선택해주면,시작프로그램창이 열린다.열린 이곳에,바탕화면에 있는 list.bat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시작프로그램창안에 넣어주면 위에그림처럼 시작프로그램안에 list.bat아이콘이 들어있게된다.
자신이 없을때 컴퓨터가 언제 켜서 사용되는지,또는 아이들이,실제루 컴퓨터를 일정시간하구,컴퓨터를 하지않겠다는 약속을 잘지키구있는지등등, 확인해보구싶을때는 언제든지 ,위에 그림에서처럼,
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에보면, list.txt라는 문서가있다.이것을 열어보면,컴퓨터 사용에대한 일목요연하게 기록되어져있기에. 쉽게,간단히살펴볼수가있다.컴퓨터 관리자의 이름은 개개인의 컴퓨터마다 다를수있기에,list.txt가있는 곳을 찾지못하는경우는,시작-검색-파일또는폴더를 선택하여,list라구 검색해보면list.txt가 저장되어진 위치를 쉽게찾을수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