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웃으면 복이온다는 그 웃음중에 함박웃음 이라는것이 있다.어떻게 웃는모습이기에 함박웃음이라고 했을까,함박웃음에 대하여 살펴보고자한다.


꽃중에 함박꽃이라는 것이 있다.함박꽃=목란꽃=목단꽃=작약꽃=모란꽃 다같은 의미를 가지는 꽃인데,일상생활에서 흔히 말하는 모란은


삼국시대부터 꽃중에서 꽃이라고 불려지며,꽃의 여왕의 자리를 차지해왔는데,모란꽃무늬는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서민적인 이미지보다,귀족이나 왕족만을 위한 이미지가 강했다



아름다운 여자를 경국지색이라고도하는데,나라를 대표하는 아름다운 여자를 상징하는 꽃은
역사속에서는 모란꽃을 의미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함박꽃같은 웃음을 짓는 여자속에 담긴 의미는 최고로 아름다운 미소를 가진 여자라는 찬사가 들어있음을 알수가있는데,함박꽃의 모양으로 봤을때 다소곳하게 손을 가리며 웃는모양이 아니라,
꺼림김없이,활짝 펼쳐웃는 순진무구한 모양임을 알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날에야 장미꽃이 꽃중에 여왕이겠지만,장미꽃이 없었던 역사에서는 함박꽃이 미의 대명사였기에,모란꽃무늬를 한 옷을 입거나,모란꽃 문양을가진 물건들을 사용하는 여자들은 " 나 잘난 여자야"라는 신분을 상징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웃음은 만복의 근원이라고 한다.누구를 위해서가 아니라.자신의 건강과복을위하여 "우아하하~" 활짝웃는 모습은 자신뿐아니라,남들에게도 복과 건강을 전파하게된다.맨날 쭉상을해가지고 달에 토끼가 떡방아를 찧고있다는식이 가보면 단번에 알수있을걸,가보지는 않고 주댕아리로만 이럴것이다,저럴것이다 헛소리해봐야 아무결론도 나올수 없는것이고 쭉상들이하는  헛소리들은 자신뿐만아니라,주위의 사람들까지 진절머리나게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좋은기억과 슬픈기억들을 뒤로하고 2008년의 마지막날의 해가 저물고있네요.

새해를 맞이하면서 사람들이 누구나 좋아하는 福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라는 덕담속에 들어있는 복의 근원은 무엇일까 생각해보았습니다.

누군가 자신에게 도와달라고했을때,이것이 나에게 이득이되나,안되나라는 관점만을 가지고 살아간다면 복떨어지는 삶의 날들이 예비되어지고 있다는것입니다.

복의 근원은 댓가를 바라지않는 생각의 전환에 있는 것입니다.


자신의 시간중에 누군가를 위하여 단 10분만이라도 무엇을 바라는것이아닌,주위를 도와주는 시간을 가져보세요.현실적으로보면 돈도 안되는일에 자신의 돈을써가며 남을 도와주는게 어째서 복으로 자신에게 돌아오는가라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의 옛속담에 하찮은 미물이라도,도움을 받을때가 있는법이라고 했습니다.


속담들은 선조들의 생활의 경험의 진리에서 나오는것들이 많습니다.복은 분명하고,확실한것이 도와달라는 사람을 도와주려는 마음의자세가 일상생활속에서 만복을 불러들인다는 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신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들에대하여 댓가없는 도움을주는것이 자신의 시간과경제적인것을 소비만하고 남을 도와주는것같지만,결국 그러한 행동과마음가짐은 자신에게 자신이 생각하지못한 유.무형의 복으로 반드시 돌아온다는 것입니다.


새해에 산사나 교회가서 "제발 복많이 받게해주세요"라는 기도를 할거라면 복의 근원에대하여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더 유익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덕담으로 "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라고 건네는 의미에는 이기적인계산법으로 행하는 삶이아니라,주위에 누군가가 도와달라고하는 일들에는 "귀찮아,피곤해"가아니라,"오호,내가 복받을 일이 생길 기회"이네,아싸~하는 기쁜마음의 자세가,만복을 자신에게 불러다주는 길이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것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